우주의 속삭임 - 제24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보름달문고 93
하신하 지음, 안경미 그림 / 문학동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주의 속삭임




요즘은 sf가 대세다. 최근 들어 어린이문학상에서 sf 작품이 수상하는 일도 허다하다. 문학도 유행만 좇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 때 즈음

이 책 <우주의 속삭임>을 만났다. ‘우주의 속삭임’이라니! 일단 제목이 근사했다. 첫 번째로 나오는 ‘반짝이는 별 먼지’는 읽을수록 새로운 글이었다. ‘별 먼지’는 여행자들이 묶는 곳이다. ‘복권’이라는 소재가 할머니와 화자, 제로를 이어주는 매개체가 되어

인상 깊었고, 채널이 뒤엉킨 라디오의 잡음을 통해 우주로 연결되는 점이 신선했다. 게다가 화자는 청각장애가 있지만,

외계인을 만나러 우주에서 온 제로의 말은 다 들린다.

이들의 연결고리는 충분히 따뜻했고,

죽음을 넘어 지구를 벗어난 할머니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 같아서

마음이 아렸다.


다양한 시선으로 읽을 수 있는 점이 이 동화의 매력이었다. ‘타보타의 아이들’은 인간들이 모두 떠난 행성에 남은 로봇들의

이야기다. TAT-129는 홍 박사와 함께 지내던 로봇 ‘티티’다. 티티는 홍 박사가 키우던 식물들이 다 죽었다고 생각했는데, 이끼를 발견하고, 그 생명을 살리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그 이끼를 보보라 부르고, 보호하고 아낀다. 그러는 사이에 이끼는 티티의 몸에서 자라고,

티티는 자신의 몸을 희생하며 생명을 키우는데 일조한다. 사람이 모두 떠난 타보타에서 생명을 위해 애쓰는 로봇이라니. 역시나 마음이 아렸다. 이상했다. 로봇을 향한 마음이 이토록 뜨거워지다니. 그렇다면 과연 잘 쓴 글이다. ‘달로 가는 길’에서는 12세의 나이로 복제된 휴머노이드 로봇이 나온다. 세 편의 글을 읽다 보니 인간을 대체하는 로봇에 대해 연민이 느껴지려고 했다. 이 작가, 보통이 아니다. 로봇 이야기가 내 마음을 들었다 놨다 하다니. 자신이 폐기되기까지 화자가 되어 이야기를 끌어가는 동화라니. 남은 두 편의 이야기가 점점 더 궁금해졌다. ‘들어오지 마시오’에서는 드디어 외계생명체가 등장한다. 그들은 무아무아족. 그리고 그들과 이미 친밀감을 형성한

고양이 ‘장고’가 등장한다. 무아무아족은 나를 괴롭히는 지호에게 들러붙어

시원한 한 방을 날리고 사라진다. 과연 마음을 시원하게 한다. ‘들어오지 마시오; 개조심’의 몇 글자를 지운 ‘들어오시오;

걔조심’의 언어 유희도 재밌었다. ‘지나 3.0’은 태양계도 사라지고, 달도 폭발해버린 상황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아 우주를 떠도는 지나와 아빠 이야기다. 열 살의 지나는 마흔이 될 때까지,

자신의 몸을 개조하며 신호를 기다린다.


언젠가 읽었던 <나무가 된 아이>에서 ‘뇌 엄마’의 충격이 기억나는데, 이제는 그 이상의 이야기로 발전하는 시기가 온 모양이다.

이 이야기 역시 마음을 울렸다. 우주 속의 작은 존재인 우리는 문명의 발달 속에서

빛나는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또 다른 슬픔을 깊이 느끼곤 한다.

때로는 이렇게 빛나는 동화 덕분에 그런 호사를 누린다.


다섯 편의 동화 덕분에 내 마음도 우주 속에서 잠깐, 빛이 났다.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