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가요, 역사로 읽기 - 이주와 이산의 노래 서강학술총서 112
허부문 지음 / 서강대학교출판부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단 재밌다. 차분하지만 문장의 리듬감이 있어 읽는 재미도 솔솔하다. 특히 이주와 이산이라는 신선하고 설득력있는 키워드로 전체 주제를 이끌어가는 힘이 만만치 않다. 관부연락선에 얽힌 비애 부분에서는 우리 근대사의 깊은 페이소스가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놈의 경제가 사람잡네 - 프란치스코 교황의 선한 사람들을 위한 자비의 경제학
안드레아 토르니엘리.자코모 갈레아치 지음, 최우혁 옮김 / 갈라파고스 / 2016년 2월
평점 :
품절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어쩔 수 없다.˝는 체념이나 왜곡된 경제관을 넘어, 인류의 공동체적 삶을 위한 진정한 경제의 원리와 가치, 운영방식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이었습니다. 비단 신자들만을 위한 책이 아닙니다. 불공평하고 불의한 세대를 살고 있다고 느끼는 모든 사람들이 읽어보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우스 브로드 1
팻 콘로이 지음, 안진환 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뛰어난 성장소설 그리고 서정적이면서도 정치한 문장의 백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전 - 한국현대사를 온몸으로 헤쳐온 여덟 인생
김서령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에 연극배우 박정자씨의 인터뷰를 읽은 적이 있다. "앞으로 어떤 여자가 되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그녀는 이렇게 대답했다. "나는 이미 여자이다. 앞으로 또 어떤 여자가 되어야 하는가?"

 

이 책에는 여덟 명의 여자가 나온다. 그녀들의 내밀한 이야기들을 듣고 나서, 나는 사람이 역사보다 강하고 위대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니 역사로 부터 무엇을 배운다는 말 자체가 우스운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역사로 부터 배워 또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 우리는 이미 사람이 아닌가! 사람.. 그 사람이라는 것이 어떤 존재인지 또 많은 생각을 하게 되지만, 이 책을 읽고난 뒤의 느낌은 오래 집을 떠난 아들이 먼먼 길을 돌아 어머니의 무릎팍에 얼굴을 묻고 한참을 울고 난 뒤 찾아오는 후련함 같은 것이었다.

 

책을 읽기전 제목에서 연상했던 여성성 같은 것에 대해서는 별다른 이해나 느낌이 없었다. 그냥 읽어 가는 내내 사람이라는 게 이렇게 아름답구나, 하는 새삼 느끼는 사람에 대한 신뢰와 연민 그리고 묵직한 힘같은 것이었다.  이 책은 어려운 시절, 폭력과 야만, 불운과 불행, 비참함이 횡횡하던 시절에 인간이 가진 존엄이라는 것을 지킨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였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도도하고 거대한 역사란 그저 그 밑에 옅게 깔리는 배경같은 것일 뿐이었다.

 

개인적으로 최옥분 할머니의 이야기를 읽는 내내 나는 코끝이 싱긋했다.

"나중에 합장하실 건가요?" "예, 그러려고요.."

수줍게 대답한다. 그들은 살아서 단 한달을 함께 살았다. 한달.. 평생에 한 달, 그 짧은 인연이 영원을 만들고 있다. 세상에는 수십년을 살아도 함께 살다가 원수가 되어 헤어지는 인연도 있고 한달이 영원으로 이어지는 인연도 있다. 영원이란 살아 있는 인간이 도무지 예측할 수 없는 미지이다. (본문 176쪽)

 

덧붙여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저자 김서령씨의 무겁지 않으면서도 내밀한 문체가 아닌가 싶다. 그녀는 독자의 호흡과 감정의 리듬까지도 적절히 풀었다 쥐기를 반복하며 이야기를 풀어간다. 정갈하고 정겨운 문체이다.

 

- 한올 2007. 4. 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