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 I
아트 슈피겔만 지음, 권희종 외 옮김 / 아름드리미디어 / 199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유태인..
몇 년간을 나치 밑에서 무릎 꿇고 살아야 했던 사람들.
그런 사람들이 무척이나 많았지만 그 반 이상이 노란 별의 유태인이었다.

사실 이런 세계적인 일에 대해 깊이 탐구한 다는 것은 조금 골치 아픈 것일 수도 있다.
유태인을 쥐로 형상화해서 쥐를 잡아먹는 고양이인 나치에게 쫗겨다니고 맞고 죽임을 당하고, 이용 당하며 결국엔 비참함이 남는 다는 것. 아트 슈피겔만은 이런 여러 점을 쉽게 풀어서 썼다.

블라덱은 아직 살아있는 아우슈비츠의 생존자이다.
그는 같이 아우슈비츠에서, 멀지만 아직 죽지 않았다는 것에 기뻤던 자기 아내 아냐가 죽고 말라와 재혼해 자기 아들<물론 이 아들은 아냐의 자식이다.>에게 이 이야기를 회상해 얘기 해준다.

사실 이게 만화로 만들어졌다 하더라도 작가의 의도를 알기란 조금 애매하다.
1940년 대로 가는가 하면, 다시 아들<아티>과의 일상적이 생활을 그리기 때문이다.
상당한 부자의 딸인 아냐와 결혼해 자기의 공장을 갖게 된 아티는 도망치는 중에도 상당한 보석이 있어서 어느 정도는 먹을 수 있었지만 일부 폴란드인으로 부터 속임을 당해 수용소, 제일 악명이 높은 아우슈비츠에 자기 아내와 가고부터 나치에게 짐승보다 못한 취급을 받게 되었다.
자기 첫번째 자식도 죽고...
아냐의 엄마,아빠도 가스실로 끌려갔다.
이런 고통으로 아냐는 못 견뎌 했지만, 남편.남편을 의지하며 빛을 위해 살아갔다.

다행히 블라덱이 영어도 할줄 알고 여러 일을 다뤄서, 다른 유태인 보다 많이 먹었고 그의 힘으로 아냐도 조금 편한 곳으로 올 수 있었다. 결국 아냐는 자살했지만..
사실 남자라고 해서 그 불운한 운명에 더 잘 맞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는 아냐 못지 않게 말랐지만 꾀로 가스실로 끌려 가지 않았다.

당시의 처참했던 생활로 블라덱은 근검 절약하다 못해 다른 사람들의 불만을 들어야 했다.
그 재산은 말라에게가 아닌 아티에게 돌아갔다.
말라 입장에서는 불공평한 일 일 수도 있다.
몇 십년간의 생활습관도 몇 년간의 정말 죽어서도 잊혀지지 않을 정도의 일이 생겼다면 그때 생긴 버릇은 계속되고 생생하다..

이 시대에도 그런 일이 생길 수 있을까?
가스실에서 가스가 나오자 뛰쳐 나오려고 문을 박박 긁으며 죽어갔던 사람들.
히틀러.. 그에게 그런 많은 사람을 죽일 자격이 정녕 있었단 말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