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 개정판, 원문 영어 번역문 수록 현암사 동양고전
노자 지음, 오강남 풀어 엮음 / 현암사 / 199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가사상의 원조인 노자의 저술로 알려진 도덕경, 그냥 '무위자연'으로만 배웠던 노자를 알기위해 도덕경을 일독하였다. 많은 도덕경 번역서가 있지만 읽기 쉽게 풀어쓰고 분량도 적당한 현암사판 도덕경을 선택하였다.   

  도덕경이 시종 강조하는 것은 무위와 비움이다. 없음으로 있음을 만들고, 하지 않음으로써 함을 만드는 역설의 철학이다. 이는 다시말해서 있음과 함의 주류를 비판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혼란했던 춘추전국시대의 문제점을 노자는 부국강병을 달성하기위하여 법률을 제정하고 예법을 강조하는 인위적인 작위에서 생겨난 것이라고 보았다. 애초부터 주류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으로 탄생한 소수자의 목소리였던 것이다. 이것은 노자의 핵심적 역할이자 한계라고 생각한다. 현재의 진보정당이 현실에 대한 비판이나 현실문제에 대한 환기의 역할을 하지만 수권정당으로는 어려워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의 느낌이 든다 

 5천자 정도의 간결한 격언집으로 이루어져서 그런지 몰라도 해석하기에 따라 의견이 분분해질 수 있다는 생각이다. 가령 36장의 '오므리려면 일단 펴야합니다. 약하게 하려면 일단 강하게 해야 합니다. 폐하게 하려면 일단 흥하게 해야 합니다. 빼앗으려면 일단 줘야합니다.' 라는 부분은  법가에서 정적을 치는데 필요한 정략적 음모로 읽힌다. 이구절은 원래 만사 흥망성쇠나 생주이멸을 뜻하는 것이라 역자는 말하는데 그 본질적인 면보다 세상사람들에게 권모술수의 처세술로 더 많이 알려진 것이다. 도덕경을 우리가 그동안 익숙한 자구해석이나 이분법적 사고로 바라볼때는 인생의 처세술이나 뜬구름 잡는 명상록으로 밖에 볼 수 없는 것 같다. 내용을 자구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하나의 <도>라는 이미지로 크게 받아들여 깨우쳐야 하는데 쉽지않은 일이다. 

 도덕경이 이야기하는 큰도가 무엇인지 알 수는 없지만 그동안 남들과 비교하며 욕심과 소유욕의 굴레에서 스트레스를 받던 나를 돌아보고 무언가 계속 서두르며 눈에 보이는 양적인 쌓임을 성취라 자족하던 조급한 발걸음을 한박자 늦춰야 겠다는 고민을 잠시나마 하게된건 도덕경을 읽은 후 큰 소득이었다. 

더불어 비교종교학자인 오강남 교수가 번역하여 그런지 성경구절과 비교하여 풀이한 구절이 여러곳에 나열되어 있는점이 특징이다. 산은 하나인데 어느 방향에서 오르느냐에 따라 내용과 과정이 달라진다는 종교 다원주의에 대해서도 생각할 여지를 만드는 부분이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기열전 上 - 사람에게 비추어 시대를 말하다, 고전을 넘어선 고전 강의
사마천 지음, 이인호 옮김 / 천지인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기전체를 충실히 전달하는 특유의 독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제학 콘서트 2 - 우리 동네 집값의 비밀에서 사무실 정치학의 논리까지, 불확실한 현실에 대처하는 경제학의 힘 Economic Discovery 시리즈 2
팀 하포드 지음, 이진원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경제학에 관한 일반이론을 우리 일상생활에 접목해서 풀어낸 것이 <경제학콘서트1>이라면 <경제학콘서트2>는 '합리적선택이론'이라는 일관된 주제를 갖고서 실전에 응용했다. 

생각했던 문제들을 '아~ 그렇구나'라고 무릎을 치며 생각하게 만든 몇가지 이야기가 있다. 도시에 멋진여성들이 멋진남성을 만나지 못하는 이유와 놀기만 하는 것 같은 직장상가가 연봉을 많이 받는 이유등이다.

중매시장에서 여자가 돈을 더 내는 이유는 남성이란 상품 숫자가 적기 때문이다. 20명의 남자와 여자가 슈퍼마켓 안에 있다고 치자. 남성과 여성은 반드시 짝을 지어야만 마켓을 빠져나올 수 있다. 그런데 남자 한 명이 부족하다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 자칫하다가는 짝을 짓지 못할 거란 사실을 알아차린 여성은 덤핑을 시작한다. 그리고 그 순간부터 남자들의 교섭력은 크게 강화되고 여성들의 위치는 놀랄 만큼 불리해진다. 남성에 비해 여성들의 숫자가 적은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괜찮은 여자가 평범한 남자와 데이트를 하는 이유이다. 사람들은 합리적이다. 까다롭게 굴만할 때는 까다롭게 군다.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고 생각될 때는 가만히 있는다. 결국 개인의 취향보다 중요한 것은 시장에서의 자신의 위치이다 

어느 도시에나 도시는 늘 여성들이 많다. 시골에는 늘 남성들이 많다. 워싱턴DC는 남자 대 여자의 비율이 8:9다. 뉴욕은 20세에서 34세 사이의 남성이 86만 명이고 여성은 91만 명이다. 반면 알래스카나 유타에는 남성이 많다. 변변한 기술이 없는 남성은 도시에 살 가능성이 낮다. 그런 기술 없이 하는 일은 여성이 차지하고 있다. 스웨덴의 경우 남성의 임금이 높은 지역에는 젊은 여성이 많다. 여자들은 본능적으로 괜찮은 남자들이 몰려 있는 곳을 알고 이곳에 온다. 숫자는 적더라도 부유한 남성을 얻기 위해 경쟁하기로 결심한 것이다. 맨해튼에 거주하는 여성이 적당한 남자가 적다고 알래스카로 이사를 가지는 않는다.  굳이 농촌총각 예를 들지 않더라도 이미 도시화로 인해 여성의 도심이동이 늘어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인 것 같다.  여성이 남성을 찾기가 어려워지는 이유이다. 

직장의 연봉제도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 빈둥대는 직장상사가 나보다 연봉이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그 역시 합리적인 선택이다. 기업에서 보상의 기준은 토너먼트 방식이다. 즉, 똑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끼리 비교해서 누가 더 일을 잘하느냐에 따라 보상을 하는 것이다. 낮은 직급의 사람들은 높은 직급으로의 승진 기회가 있기 때문에 성과에 따른 금전적 보상이 크지 않더라도 강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하지만 높은 직급으로 올라갈수록 승진 기회는 줄어들기 때문에 승진이란 인센티브만으로 동기를 부여할 수 없다. 그래서 직급이 높아질수록 거액의 연봉을 인센티브로 제시하는 것이다. 토너먼트 이론의 주창자 에드 레이지어(Ed Lazear)에 따르면 “사장의 임금은 사장에게 열심히 일해야겠다는 동기를 부여하기보다는 부사장에게 열심히 일해야겠다는 동기를 부여한다.”고 말한다. 초일류기업 직원들의 봉급이 생각보다 많지 않은 데도 나름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 초일류기업을 다녔다는 것이 다른 회사로 이직을 하고 나중을 보장해 주기 때문이다. 판검사들이 박봉을 견디면서 일을 하는 것도 나름 합리적인 선택이다. 

이같이 평소 불합리하게 생각하던일들이 사실을 비용과 혜택을 고민하여 합리적 선택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일이라는 것이다. 여기의 합리성은 가치판단이 배제된 개념이다. 저자도 합리적인 것이 옳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무엇이 올바른가에 대한 가치판단이 당연히 정립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합리성에 이해가 선행되고 난후 가치판단이 정립되어야지 합리성에 대한 무지나 무시가 우선되어선 안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