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식물학자의 식탁 - 식물학자가 맛있게 볶아낸 식물 이야기
스쥔 지음, 류춘톈 그림, 박소정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6월
평점 :
절판


식물학자의 식탁

 

 

이 책의 저자는 중국 식물학자이다.

식물학이란 식물의 생활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생물학의 한 분과이다.

그런 식물학자가 우리에게 식물에 대해서 소개한다.

또한 예쁜 삽화도 있어서 조금 두꺼운 분량의 책이지만 읽는 내내 쉬엄쉬엄 눈이 피로하지

않았던 것 같다.

수채화풍 삽화가 나오는데 삽화가 류츈텐의 그림이다.

그림이 꽤 정감있어 좋았다.

 

저자가 중국 식물학자 이니만큼 책에 소개된 식물의 이름들이 생소한 것들이 많았다.

나의 경우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 많았다.

중국식 이름으로 표기 된게 많았던 것 같다. 그래서 어떤 것들은 인터넷으로 그 이름을

검색해보니 아, 이건 우리나라에도 있는 식물이구나, 하고 알게 되었다.

용규자배천규, 미후도, 핵도, 추규, 산규, 개말 등등 생소한 이름들이다.

우리나라식 이름도 옆에 적어 두었다면 훨씬 이해가 빨랐을텐데 하는 약간 아쉬운 점이 있다.

 

음식의 레시피는 소개되어있지 않지만 우리가 무심코 먹어왔던 식물들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나와있다.

책속에 내가 좋아하여 즐겨먹는 식물들이 있어 반가웠다.

그런데 먹는 양과 방식이 잘못되어 왔다는걸 알게 되었다.

내가 좋아하는걸 마구 먹어댄게 독이었다.

무엇이든 과하면 안되는 것을...

 

그중에 우리에게 친숙한 식물들중 몇 가지를 소개해 본다.

 

 

빈 속에는 감을 먹으면 안된다.

또한 게, 생선, 육류를 먹은 뒤에 감을 먹으면 좋지 않다.

감의 떫은맛은 열매에 들어있는 타닌에서 비롯되며 타닌은 식물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물질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적포도주의 떫은 맛도 타닌 때문이다.

타닌은 타닌산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우리의 위액에는 많은 단백질이 존재하는데 이 단백질들이 타닌과 만나면 변성과 응고가

일어난다.

게다가 감 껍질과 감 과육 같은 물질이 위에서 뒤섞이면 콘크리트처럼 변해 버리는데

이것을 위석 이라고 부른다.

공복인 상태에서 감을 다량 섭취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이다.

감의 떫은맛을 없애려면 보관시 사과와 함께 보관 하여 후숙을 하면 좋고, 또 다른 방법은

40도 온수에 담궈서 공기를 차단하여 24시간이상 지나면 감의 떫은 맛이 사라진다고 한다.

감의 특별한 효능으로는 저자가 직접 체험한 것이 있는데 저자가 하루 종일 딸꾹질이

도저히 멈추지 않아 온갖 방법을 쓴 후에 감꼭지를 차로 끓여 마셨더니 금세 딸꾹질이

멈추었다고 한다.

 

감초

약방의 감초라는 말이 있듯이 두루두루 쓰이는 감초는 차로 우려 자주 마실 경우

고혈압을 유발할수 있다.

 

은행

은행은 체내에 혈전이 있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고, 은행에 들어있는 시안화수소산은

과다 복용시 위험하니 만1세 미만의 영아는 10알 정도 먹게되면 치명적이며, 아동은

30~40알 정도 먹으면 중독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고 한다.

 

고사리

고사리의 시안화물 독성 때문에 삶은 후 아리고 쓴맛이 사라질 때까지

하루 정도 물에 담가두었다 먹는 것이 좋다고 한다.

 

카사바

최근 우리나라에도 많이 알려진 이 식물은 고구마와 생김새가 비슷 하지만 독성을

지니고 있고 생각보다 영양분은 거의 없다고 한다.

 

보통 쓴맛이 나는 식물들은 독성이 있으니 복용량을 조절하여 적당히 먹어야 한다고 하며

또한 절대적으로 좋기만한것 또는 절대적으로 나쁜것은 없으니 무엇이든 적당히

알맞은 용법으로 먹어야 할 것이다.

요즘은 인터넷검색만 하면 알 수 있는 정보가 많겠지만 인터넷상에 다 옳은 정보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정보도 넘쳐나는 홍수의 시대에 식물학자가 직접 쓴 이 식물들에

대한 정보는 정말 가치있게 여겨진다. 적어도 틀린 정보는 아닌 바른 정보라고 생각되어져

신뢰감이 들었다.

읽고 기억하며 잊어버릴만 하면 종종 꺼내어서 다시 보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