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창작과 비평 203호 - 2024.봄
창작과비평 편집부 지음 / 창비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은 연변 출신의 초점화자가 서울에서 연변에 계신 아버지에게 편지를 보내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경어체를 통해, ‘나’는 서울 생활에 대해 정돈된 어투로 근황을 전하는 셈이다. ‘나’에게 서울 생활은 ‘마늘 기름과 해물을 넣은 매운 볶음면’이 ‘스파이시 씨푸드 알리오 올리오’로 깔끔하게 발음되어야 하는 세계이다. 그것은 중국어에서 한국어를 경유하여 영어에 적응해야 하는 과정을 통해, 중국과 한국, 그리고 미국이라는 글로벌한 세계의 낯선 감각을 익혀야 하는 당위로 남겨진다. 그러나, ‘나’는 서울에 살게 되면서 연변이라는 지역과 역사로 인식되거나 혹은 중국이나, 티벳 문제와 같은 국제적 이슈로 설명되어야 하는 존재가 된다.
그것은 주체성, 비판적 사고방식, 정체성과 같은 것들을 요구하는 것이었고, 이에 ‘나’는 서울에 사는 그들과 ‘나’의 차이에 항변한다.

고조할아버지가 만주에 건너갔으면 조선족, 러시아에 끌려갔으면 고려인, 일본에 강제징용당했으면 일본 교포, 남쪽에 남았으면 한국인, 북쪽에 갔다오면 새터민 아닙니까(248쪽)

사회주의자가 아니지만 당원으로 살아가는 아버지에게, ‘나’는 안녕한 서울 정착기를 전하면서 여전히 서울의 타자로 남겨진 존재를 긍정하려 한다. 그것은 여전히 세계 곳곳에 글로벌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편지인 것이다.

#창비 #스위치 #2024 #전춘화 #여기는서울 #창비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금, 쓸쓸한 기록 - 당신은 어느 긴 길 위에 있습니까
김연 지음 / 우리글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금 쓸쓸한 기록‘은 영화, 철학, 역사, 시대, 여행을 오고가면서 자신이 지향해온 삶의 가치와 방향을 드러낸다. 별반 없을 것 같은 삶을 의미있게 받아들이려는 감성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토박물관 순례 1 - 선사시대에서 고구려까지 국토박물관 순례 1
유홍준 지음 / 창비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홍준의 <국토박물관 순례 1>는 선사시대부터 고구려 시대까지의 유적지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중 부산 영도의 동삼동 패총에 관한 이야기를 읽다보니 흥미로운 대목이 있었다.

"1945년 8·15 해방을 맞이하면서 해외로 나가 있던 동포들이 귀국선을 타고 돌아와 부산에 도착하여 일단 자리 잡은 곳이 걸 영도의 산비탈과 동래의 복천동 산자락이었다. 서울까지 올라간 사람들이 후암동 남산 아래 있던 일본군 야전부대 자리에 터를 잡아 '해방촌'을 형성한 것과 마찬가지로 절영도엔 판자촌이 난립했다.
그리고 1948년, 제주4·3민주항쟁 때 제주도를 탈출한 주민들이 무작정 부산으로 건너와 절영도의 빈터에 자리 잡고 살았다. 본래 제주도 해녀들은 일제강점기부터 '바깥물질'로 영도에 많이 와서 일했고 또 '출향해녀'가 영도에 정착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이민진의 소설 『파친코』의 주인공 선자가 영도 출신인 것도 이런 배경에서 나온 것이다. 지금도 여전히 해녀가 물질을 하고 있어 2019년 6월 기준 등록 해녀의 수는 동삼어촌계에 105명, 남항어촌계에 46명이다.
이런 이유로 영도엔 제주도가 고향인 사람이 많다. '2021 부산민속문화의 해'를 맞이하여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간행한 '영도 민속조사 보고서' 제5권 『영도에서 본 부산의 해양문화』에서 제시하는 자료를 보면 영도 인구 12만 명 중 4만 5천 명이 제주도 출신이라고 한다. 이리하여 영도에는 제주도민회관도 있고 제주은행의 부산지점도 있으며 제주 흑돼지, 제주 자리돔 식당들도 볼 수 있다.('피란민과 제주도민의 안식처', <국토박물관 순례 1>, 76-77쪽)"

영도의 현재는 우리의 근현대사를 반영한다. 제주민의 이동은 일제강점기와 제주 4.3 사건의 혼동으로 인한 것이었고 이는 현재 영도에 많은 흔적을 남겼다.

영도해녀문화전시관이나 제주할망들의 제주어를 들을 수 있는 해녀촌의 존재가 이를 말해준다. 부산에 유일한 제주은행인 제주은행 부산 지점의 존재도 그러하다. 부산제주특별자치도민회관도 있다.

게다가 봉래산 정상에는 영도할매바위가 있는데, 이 여신 설화는 제주의 설문대 할망을 닮았다. 영도 할매귀신의 기원이 탐라국 여왕이라는 설도 있다. 사람이 움직이면 문화와 전통도 함께 움직인다. 그것은 비단 근현대사만은 아닐것이다.

구석기에서 신석기 고구려로 이어지는 시간동안 사람들은 자신의 삶 전체를 그러한 이동과 옮겨다님으로 전파했을 것이다. 부산 영도가 이를 잘보여준다. 영도배경의 소설 파친코도 그러한 특징을 잘보여준다. 소설을 보면 영도에서 오사카로 이동한 주인공 선자는 우리의 문화와 정신을.일존 오사카 함께 이동시킨다.

이 책은 이렇게 장소를 과거만의 것으로만 보지않고 그 곳의 현재까지 연결하여 국토를 순례하고 있다.

#국토박물관순례 #유홍준 #창비 #스위치 #서평단 #선사시대 #고구려 #부산영도 #제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흔살 위로 사전 - 나를 들여다보는 100가지 단어
박성우 지음 / 창비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흔살 위로 사건
나를 들여다보는 100가지 단어

마흔의 나이, 우리는 어디에서 위로받을 수 있을까

시인 박성우는 마흔까지의 삶을 통해 느낀 삶의 공감을 불러올 단어들을
우리에게 꺼내 놓는다.
이 100가지 단어에 수많았을 고됨과 당혹과 기쁨과 같은 온갖 감정이 담겨 있다.
감정은 감정을 위로한다.
감정의 공유는 우리가 살아온 날들에 대한 위로이자 격려가 된다.

우리가 삶에서 느끼는 소통하기 힘들었던 순간들은
이제 그의 사전으로 남겨진다.
우리 모두 비슷한 순간에 비슷한 감정을 느끼고 살아가노라
말해준다.

마흔 살이 될 때까지 다져온 감정들은 나와 타자를 이해하는 토대이다.
그렇게 함께 우린 살아간다.
그것만으로도 박성우는 위로가 된다고 말한다. 그것이 위로가 되는 세상이다.

#박성우 #마흔살 #위로 #사전 #창비 #스위치 #마흔살위로사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주도우다 1~3 세트 - 전3권
현기영 지음 / 창비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기영의 제주도우다1-3은 제주 조천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제주 빈민을 구제하기 위해 조천항을 떠났 쌀을 구하려 나주 땅을 향했던 순흥 안씨, 안선주는 폭풍 속에서 쌀을 지켜주었던 누런 대맹이를 업신으로 모신다. 오로지 먹을 양식을 바랬던 가난한 제주의 민중들은 그저 이 대맹이를 새콧알할망당에 모시며 살아가는 사람이었을 뿐이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해방의 역사적 풍랑을 만나면서, 새콧알할망의 신통력은 쇠퇴하게 된다.

"새콧알 할마님! 불쌍한 이 자손 부디 무사하게 도와주십서"

제주민들은 그저 이 고난 속에서도 새콧알할망에게 무사안일을 빌며 이 고난이 그저 무탈하게 지나가길 바란다.

그러나 일제 강점을 지마 해방이 된 이후에도 조천은 그저 먹고 사는 일이 중했던 시절로 돌아갈 수가 없다. 일본군이 물러가고 새나라를 위해 다시 제주도 밖으로 나갔던 청년들이 돌아왔지만, 소련과 미국의 이해관계에 나라는 갈라지고 자생적으로 생겨난 인민위원회는 거부당하고 친일파가 재등용되는 어처구니없는 해방공간을 맞이한다.

서청의 횡포와 남한의 단독 선거에 맞선 제주도민의 외침은 그저 하나를 말한다.

남도, 북도 아니고 제주도우다

해방 공간에서 이 외침을 외치려다 무수하게 학살당한 조천을 포함한 제주민의 절규 속에서, 그들은 여전히 마음 한 구석에 그저 빌어본다.

"새콧알할마님, 새콧알 할마님! 불쌍한 이 자손 부디 무사하게 도와주십서"


#현기영 #제주도우다 #4•3 #조천 #창비 #스위치 #제주 #해녀투쟁 #새콧알할망당 #해방 #서청 #인민위원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