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장
윤흥길 지음 / 현대문학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완장’은 작가 윤흥길의 작품이다. 윤흥길은 『아홉켤레 구두로 남은 사내』,『장마』 등의 작품을 통해 사회적 모순을 비판적 시선으로 썼다. ‘완장’은 권력에 대한 비판 의식을 나타내고 있다.

주인공 임종술은 서울을 돌아다니며 쌈질로 잔뼈가 굵은 건달이다. 고향으로 내려와 지내다 우연히 마을 벼락부자 최사장 소유의 저수지를 임씨의 추천으로 감시원이 된다. 처음에는 거절을 했지만 완장을 해 준다는 말에 승낙한 것이다. 완장은 종술에게는 사뭇치는 것이다. 그동안 건달 짓을 하며 완장을 찬 사람들에게 당했던 모욕. 그는 완장의 힘을 보았다.

종술은 완장을 하면서부터 너그러운 모습을 보여준다. 완장의 소식을 어머니에게 보여주기도 하고 첫월급을 타면 딸 종옥을 위해 텔레비전을 사주기로 약속을 한다. 또한 부월이가 같이 도망을 가자는 말을 했지만 자신이 돌봐야 하는 가족을 걱정한다.

종술은 완장의 힘을 보게 된다. 완장이 없을 때는 자신의 이름이 자부심이었고 힘이었다. 완장은 굳이 말하지 않아도 사람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 있다.

종술이에게 완장은 꿈꿔 온 권력이었다. 저수지에 놀러온 서울사람들을 혼내 쫓아 보낼 수 있었고, 친군 준헌의 도둑질을 아비의 아픔을 공감하며 더 이상 묻지 않고 용서해줄 수 있는 권력이었다.

완정의 힘은 저수지로부터 나온다 저수지가 사라지면 완장도 사라진다. 그래서 종술은 저수지를 지키기 위해 가뭄으로 고생하는 마을에 물 대주기를 막는다. 또한 최 사장조차 낚시 하는 것을 방해한다. 결국 경찰까지 충돌하며 임종술은 숨어 지낸다.

부월이는 종술이를 찾아와 설득한다. 딸과 함께 도망가자고 완장이란 허세라고 말한다. 그리고 부월이는 종술이 몰래 완장을 저수지에 버린다. 그리고 함께 도망을 간다.

작가는 완장이란 권력 중에서도 아주 작은 권력이지만 종술이란 인물을 통해 권력이 사람을 변하게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양한 사회문제로 완장은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정운호 게이트’의 전관예우 사건, ‘메르스 사태’때 대형병원에서 있었던 의사들, 아부그라이드에서의 미군들 모습, 권력은 사람들이 본래 그런 인성을 타고 난 것처럼 포장을 한다.

스탠포드 대학의 ‘모의 형무소 실험’은 사람이 권력에 의해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감시자 즉 권력자는 사디스트(상대에게 고통을 주면서 쾌락을 느끼는 사람)에 빠지고 죄수자, 즉 약자들은 마조히스트(상대에게고통을당하면서 쾌락을 느끼는 사람)으로 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완장‘에서는 또 다른 권력을 보여주고 있다. 바로 다수의 권력이다. 

마을 사람들은 저수지의 물을 빼 자신들의 논밭에 물을 대었기 때문에 종술이를 제외한 사람들 모두가 행복한 삶을 살게 되었다. 하지만 저수지의 물을 빠지며 종술이는 직업을 잃게 되었다. 누구도 종술이에게 의견을 묻는 자가 없었다. 단지 제레미 벤담의 공리중의 원칙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에 따라 마을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소수의 권리가 무시된 것이다. 과연 이 선택이 옳다 라고 말할 수 있을까.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다음과 같이 이유로 옳다고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첫째, 개인의 권리가 무시되었다.

둘째, 가치를 나타내는 단일 통화로는 계산해서는 안 된다.

종술이는 권력에 의해 조종된 사람으로 보기도 하지만 반면 다수의 권력 앞에 무참히 짓밟힌 개인의 모습도 함께 보여주고 있다.


◆ 발췌

◌ 내 일신 호의호식허자고 이 난리 꾸몄다면 내가 자넷 뱃속으로 빠져 나온 놈이겠네. 내년에 저놈 중핵교 보랠라고 헌 짓이라네. 못난 조상 만난 죄로 지 애비나 애비에 애비나, 애비에 애비에 애비맨치로 한펭생 땅만 파목고 살게코롬 맨들 수애 없잖었는가? 가난이 웬수로 그놈 그 지긋지긋한 가난이 도적이지. 여보게 종술이, 지발덛덛 좋은 일 조깨허소! (p142)

 

◌ ‘팔에다 차는 것만이 완장의 전부는 아니었던 것이다. 심지어는 도둑질도 서슴치 않으면서까지 김준환이 필사적으로 손아귀에 넣고자 하는 것 또한 완장의 하나였던 것디아.

“권력 한 가지가 다는 아니여.”

이 세상에는 빛깔 다르고 소리와 냄새도 다른 수많은 완장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땅도 완장이여.”

땅도 완장이었다. 없는 땅, 처지식 먹여 살리는 데 턱없이 부족 한 땡 때문에 여태껏 얼마난 많은 사람들이 피를 흘리고 눈물을 흘려왔던가.

“돈도 완장이고 지체나 명예도 말짱 다 완장이여.”

그런 것들도 틀림없는 완장의 한 종류였다. 남들로부터 부러움을 사는 것, 남들을 큰소리로 부리고 남들 앞에서 마냥 뻐겨댈 수 있는 거라면 뭐든지 다 완장이었다.

“지집까장도 여부없는 완장이여.”

게집도 완장이었다. 사내들이 계집을 후리려고 기를 쓰는 이유는 그것을 보아란 듯이 팔에다 두르고 다니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예쁜 계집, 잘란 계집을 꿰찬 사내일수록 남들 앞에서 기를 펴고 그렇지 못한 사내는 으레 기가 꺾이게 마련이었다. (147~148p)

 

완장이란 타인의 부러움을 사는 것이며 상대를 누룰 수 있는 힘으로 다양하다. 우리가 다른 사람들이 얻고자 하는 지위, 학교, 눈에 보이는 것 모두 사치품으로 다른 사람들과 구별되어 지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종술이에게 완장은 저수지의 또 다른 힘이다. 저수지의 물고기나 물을 자신의 승낙하여 사용할 수 있는 권력이다.

 

◌ 기회란 놈은 본시 대가리만 있고 꼬랑지는 없는 법이니라.

종술은 기회를 절대로 놓쳐서는 안 된다는 듯으로 충무공이 남긴 교윤을 다시 한 번 야금야금 음미해보았다. 그리고 완장의 형태로 어렵사리 붙잡은 자신의 기회를 어떤 일이 있더라도, 천하없는 무리를 해서라도 결코 놓쳐서는 안 된다고 혼자서 다짐을 주고받았다.(p148)

 

◌ "아니다. 모자란다는 뜻이다. 모자란 만침 아직도 더 채울 것이 있는 사람이란 표시니라.“ (p275)

 

◌ 영락없는 제 아비였다. 남편도 막판에는 그랬었다. 눈에다 쌍불을 켠 채 불구의 오른손에 피를 묻히지 못해 안달이었다. 사람 아닌 완장이 시켜서 하는 패악질이었다.

완장이 결국 남편을 앗아가버렸다. 없어진 남편 대신 남편을 꼭 닮은, 남편만한 크기의 붉은 완장만이 덩그렇게 남아 있었다. (p299)

 

◌ "나도 알어! 눈에 뵈는 완장은 기중 벨볼일없는 하빠리들이나 차는 게여! 진짜배기 오나장은 눈에 뵈지도 않어! 자기는 지서장이나 면장 군수가 완장 차고댕기는 사장님이나 교수님 봤어? 권력 중에서도 아무 실속없이 넘들이 흘린 뿌리레기나 주워먹는 핫질 중에 핫질이 바로 완장인 게여! 진수성찬은 말짱 다 뒷전에 숨어서 눈에 뵈지도 않는 완장들 차지란 말여! 우리 둘이서 힘만 합친다면 자기는 앞으로 진짜배기 완장을 찰 수도 있단 말여!“(p3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