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영혼, 책을 만나다 - 김영아의 독서치유 에세이
김영아 / 삼인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독서치유라는 말이 등장한지는 불과 얼마되지 않은듯하다.

하지만 이미 심리치료를 하는 목적으로 상당부분의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것을 보면 책이라는 부분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독서의 즐거움을 떠나 더욱 크게 우리에게 위안과 휴식이 되어가고 있다.

얼마전에도 우리동네 도서관에 치유를 위한 도서를 장르별로 구분해 놓고 대출해주고 있어서 관심있게 읽었던 기억이 난다.

물론 나는 치유를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단순히 분야별로 어떠한 느낌과 감상을 얻을수 있을까 기대심리로 읽기 시작했었다.

이책은 실질적으로 독서치료 지도자가 치유를 위해 모인 사람들과 책읽기를 함으로서 어떠한 느낌으로 마음을 치유해 주고 있는지 우리에게 아주 세심하게 이야기 해주고 있다.

물론 외딴방이나,우리들의 행복한 시간,나이듦의 즐거움,사람풍경등...

많은 책들이 이미 나에게는 익숙한 이야기 들이지만 이책을 통해 또다른 느낌으로 그 의미가 해석되어 다시금 감동과 함께 나도 이야기속의 사람들과 공감하며 내 마음을 다시금 정리해 볼수 있는 시간이었다.

독서치료뿐 아니라 모든 심리치료에서 명료화는 중요한 상담기술 이라고 한다.

무심코 자기가 내뱉은 말이 진정한 의미의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경숙의 외딴방을 통해 어릴적 내면에 갖혀있던 자신의 희생적인 모습이 책을 읽어감에 따라 치유가 될수 있는 부분에 참으로 많은 공감을 했다.

물론 그 옛날의 그 시절에는 여자로서 많은 부분을 희생해야 했었던것은 당연한 일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아마도 내면에 억압된 분노와 불만이 심리적으로 치유받아야 할만큼 절실해져 있을 것이란 사실은 충분히 이해가 된다.

마당을 나온 암탉을 읽고 달빛이란 분은 비로소 자기 시어머니가 이해 되었다는 말을 한다.

책속의 주인공의 일이 자신과 동일시 되거나 주인공의 역할이 때론 자신의 감정을 풀어줄만큼 크게 자리해 아마도 독서치유의 목적을 이룰수 있는 것이리라...

얼마전 큰 안방스타가 극심한 우울증으로 자살한 것도 따지고 보면 그녀안에 잠재되어 있는 심리상태를 치유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책이 단순히 읽는것으로 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옛말이다.

이젠 책을 통해 우리사회 깊숙히 자리잡은 우울증과 만성 스트레스도 치유할수 있는 역할까지 하고 있다.

이책의 작가를 통해 독서를 통한 치유가 어떻게 이루어 지는지 정말 진지하게 들어볼수 있어서 좋았던 것같다.

작가를 통해 자신안에 갖혀있던 심리적인 아픔들이 하나하나 끄집어 내어질때 나도 때론 그들과 공감하면서 이책을 읽게 되었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들여다 보면 그 안에 깨진 거울이 하나씩 있다고 한다.

그것이 바로 일그러진 자화상인데...그 이유도 가지각색이라고 한다.

어린시절의 아픔부터 현재상황의 갈등까지 어쩌면 책만이 그 마음을 다독일수 있는것은 당연한 결과란 생각이 든다.

사람의 감정은 자기 스스로만이 제일 잘 알기 때문이다.

그리고 어쩌면 책은 우리 이야기를 들어주는 유일한 친구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책을 통해 나에게 책이란 또다른 의미로 어떻게 다가오는지 세심하고 조심스럽게 생각해 보게 되었다.

아마도 내 내면에 잠재되어진 아픔들이 나도 모르는 사이에 책이라는 친구를 통해 치유되어지고 있는건 아닌지....

책속에 이야기 되어지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나에겐 또다른 위로가 된것같아 새삼 고맙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