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과 혀 - 제7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권정현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음식을 다룬 소설, 영화, 애니메이션, 웹툰 등을 모두 좋아하는 편이에요. 요리하는 과정이나 맛을 표현하는 걸 지켜보는 게 즐겁다고 느끼는 것 같아요. 그래서 <칼과 혀>라는 이 소설은 제목에서부터 호기심이 갔답니다. 대부분의 한국 소설에서 음식은 부수적으로 다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이 소설에서 음식은 다양한 이야기와 감정선을 전달하는 소재가 되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1945년 일제 패망 직전의 붉은 땅 만주를 배경으로 전쟁을 두려워하는 일본 관동군 사령관 '야마다 오토조'와 그를 암살하려는 중국인 요리사 '첸', 조선인 여인 '길순' 세 명이 번갈아가며 이야기를 들려주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역사를 소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지루하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암살을 계획하고 시도하는 데서 긴장감을 느낄 수 있고, 패망으로 나아가는 전쟁의 긴박한 분위기에 요리의 모티프까지 더해져서 볼거리가 많다고 느껴졌어요. 제재가 다양한 만큼 이야기의 층이 풍성하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야마다 오토조는 실존인물이다. 마지막 관동군 사령관으로 역사에 기록된 그는 전쟁을 좋아하지 않는 겁쟁이였다고 한다. 역설적이게도 이런 실화가 내게는 소설적 영감을 불러일으켰다. 나는 때때로 오토조가 되어 생각했다. 나에게 백만의 관동군이 있다. 본토엔 원자폭탄이 떨어지고 황제가 항복했다. 150만 이상의 소련군이 국경을 넘어오고 그 모든 장면은 꿈처럼 아침마다 의식을 뒤흔든다. 지금 당장,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아주 천천히, 부관이 가져온 아침식사를 들며 다음 할 일을 생각해보지 않을까?"

<칼과 혀>는 이번 제 7회 혼불문학상을 수상한 권정현 작가님의 작품입니다. 권정현 작가님은 2002년 '충청일보'와 '조선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소설가이신데요. 여러 장편 소설 및 소설집과 함께 아이들을 위한 역사책도 펴내신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인지 <칼과 혀>에서도 역사적인 리얼리티가 느껴졌습니다. 이 소설에는 3명의 인물이 등장하는데요. 그 중에서 관동군 사령관인 '야마다 오토조(모리)'는 실존 인물이라고 해요. 전쟁의 공포를 잊기 위해 궁극의 맛과 미륵불의 미(美)에 집착하는 유약한 겁쟁이 성격은 실제 야마다 오토조가 백만 관동군을 지휘하지 못하고 소련군에게 모두 항복시켜 칠십만 관동군을 포로로 잡히게 한 역사적 기록에 상상력을 더한 것이라고 합니다.


이 작품은 중국, 일본, 한국을 둘러싼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서술되고 있습니다. 일본군이 만주를 점령하고 전쟁의 패망으로 점차 다가가고 있던 시대를 배경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그 시기 자체에서 느껴지는 긴장감이 작품 전체를 휘감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일본인 사령관인 야마다 오토조가 우위를 선점하고 있지만 후반부에 일본이 항복하면서 첸과 길순에게로 권력의 중심이 이동하는 과정이 역사의 아이러니로 느껴지기도 했고요.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작품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지점이 반드시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여전히 말하고 싶다. 이제 우리의 내기는 끝이 났다고. 나는 무엇도 요리하지 않았고 당신은 무엇도 먹지 않았다. 우리는 다만 외로웠을 뿐이라고. 나는 요리를 했고 당신은 접시를 비웠다. 불과 싸우던 나의 시간도, 맵거나 짜거나 달콤하거나 시었을 온갖 요리의 맛들도, 우리를 아프게 했던, 시대가 만들어낸 순간의 고통일 뿐이라고. 한 접시의 요리가 깨끗이 비워지는 순간 우리는 비로소 증오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그 짧은 순간 나는 잘린 혀들이 말하는 소리를 듣는다."

이 소설에서 내세우고 있는 큰 제재 2가지는 바로 전쟁과 요리입니다. 이 글의 시작 또한 첸의 아버지와 그의 도마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되고 있기 때문에 독자는 3명의 인물 중에서도 요리사인 첸에게 집중하게 되죠. 한국 작가가 쓴 소설인데도 중국 음식을 다루고 있어서 놀랐던 기억이 있어요. 야마다 오토조에게 요리를 해주고 연명하는 첸, 자신의 요리로 그를 암살할 기회를 노리지만 음식에 대한 자신의 철학과 부딪히게 됩니다. '요리'라는 철학을 역사의 흐름 안에서 새롭게 풀어내고 있어요.


"나는 공연이 한창인 연회장 문을 활짝 열어젖힌다. 3백여 개의 의자가 대부분 채워져 있다. 스물네 개의 메인 식탁도 마찬가지다. 내가 들어서자 수레의 음식을 바라보는, 기대에 찬 제목들의 눈빛이 읽힌다. 드디어 모든 게 끝났구나. 다리의 힘이 풀려서 나는 가까스로 몸을 지탱한다. 나는 이제 아무래도 좋다. 나의 내면을 빛나게 해준 나의 도마가 나 대신 더욱 빛나길 바란다. 모든 것의 시작은 작은 도마였으니까. 삶 아니면 죽음, 인생은 그 어떤 요리보다 담백하다."

야마다 오토조가 첸을 살려놓은 이유는 오로지 미식을 즐기기 위해서였습니다. 지고 있는 전쟁 중에도 사령관이 미식과 미륵상에 집착하는 것은 수하들이 보기엔 이해할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정쟁을 회피하고 싶은 그의 심정이 공감되기도 합니다.

소설의 후반부를 읽다 보면 첸이 혀를 잃었으면서도 야마다 사령관에게 순종적으로 요리를 바치는 게 답답하게 느껴지실 수도 있어요. 하지만 그의 존재는 어쩌면 첸과 아버지의 도마 같은 것일지도 모릅니다. 수많은 목숨을 칼로 내리쳐 요리로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수없이 흠집이 나도 묵묵히 그 자리에서 그저 요리를 하기 위해 존재하니까요. 적을 넘어서 요리를 하는 사람과 그 음식을 먹는 사람으로 그들의 관계가 변해가고 있습니다.


"벌어진 아가리 속으로 내가 가진 이빨들을 모두 박아넣을 수 있다면, 그 이빨들은 눈에 보이지가 않아서 내가 살아온 모든 순간의 질투와 인내, 악몽 속에서 내뱉었던 짧은 울음, 시멘트 바닥에 등을 대고 누워 천장을 올려다볼 때의 텅 빈 고통, 겨울밤 냄새나는 변소에 앉아 울던 기억, 가죽 채찍에 벌어진 상처, 그 상처를 맛있게 핥아대던 이미 죽어버린 사내들의 기이하게 웃는 얼굴, 그 모든 장면이 뾰족하게 날을 세우고, 그렇게 세운 날로 제몸의 세포들을 죄벌리고 들어앉아 기억의 외부를 향해 밀어올리는 그 눈부신 날카로움들, 그 강하게 단련된 상처와 그 상처가 만들어낸 이빨들이 저 사내의 목덜미에 가닿을 수 있다면, 결코 쓰러지지 않는 강인한 척추 하나를 허공에 세워놓고 상대의 목덜미로 내 몸을 부수어 죽어갈 수 있다면."

길순은 <칼과 혀>에서 시대의 피해자로 정의되는 인물입니다. 야마다 사령관의 암살에 동참하게 된 이유도 그녀의 오빠가 강요했기 때문에, 첸을 위해서이기 때문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 이르기 전까지 그녀의 행동은 타인에 의해서 조종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끝까지 전쟁에 대해 어떠한 사상이나 철학도 분명히 가지지 못한다는 게 보통 서민들을 비추고 있는 것 같았어요. 야마다 사령관과 첸은 '~하다'체로 이야기를 서술하지만 길순은 '~했어'체로 서술하고 있어서 다른 인물들과는 확실히 성격에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쟁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다시금 생각해보게 만드는 인물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