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열정으로 세계를 지휘하라 - 세계인의 마에스트로 정명훈이 전하는 희망의 초대장 청소년 롤모델 시리즈 (명진출판사) 14
류태형 지음 / 명진출판사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정트리오 어머니 이원숙 여사에 대한 책을 산지 얼마 되지 않아 이 책이 나올 줄이야. 몇 주만 더 빨리 나왔다면 아마도 이 책을 우선적으로 선택했을 것 같다. 굳이 중복해서 읽어야할까 싶기도 했지만 지난 주에 집안일 때문에 라보엠 공연 관람이 무산되었던 아쉬움을 조금이나마 달랠 수 있을까 해서 사 보았다. (라보엠 공연은 워낙 기획부터 실연에 이르기까지 이런저런 잡음과 우여곡절이 많았던데다가 엄청난 적자를 보았을 것 같아서 과연 내년에 다시 할 수 있을런지...)

 

좀 닭살 돋는 제목인 이유는 이 책이 '청소년 롤 모델 시리즈' 기획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 "바보처럼 공부하고 천재처럼 꿈꿔라"를 필두로 하는 그 시리즈물을 한번도 읽어본 적은 없어서 어떨까 싶었는데 다행히 제목에서 풍기는 것처럼 - 비판적인 내용은 한 개도 없을지언정 - 지나치게 교훈 일변도의 책은 아니고, 정명훈이 어린 신동 피아니스트에서 지휘자가 되어가는 과정을 담담하고 평이한 문체로 서술하고 있어서, 특별히 거슬리는 부분 없이 읽었다. 어린 시절에 대한 부분은 이원숙 여사 책의 내용과 거의 똑같기 때문에 그 책을 읽었다면 앞의 백여 페이지는 생략하고 읽어도 무방.

 

저번 책에 대한 독후감에서도 남겼지만, 정명훈이 대단하다고 느껴지는 부분은, 선택의 여러 기로에서 명성을 높일 수 있는 길만을 쫓지 않았다는 것.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바로 줄리어드에 진학하지 않고 매너스 스쿨을 택한 것도 그렇지만, 바스티유 오페라 극장 음악감독에서 정치적인 압력에 의해 해임된 이후 뮌헨 필의 상임지휘자 오퍼를 받고도 세 아이를 원래 살던 프랑스에서 안정적으로 교육시키고 싶다는 이유에서 거절한 것이나, 실력이 원래부터 출중한 오케스트라보다는 실력이 조금 덜 완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성장할 수 있고 변화의 여지가 있는 오케스트라(산타 체칠리아,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도쿄 필 등)들을 선택해 온 것. 그리고 최종적으로 서울시향을 선택한 것. 서울시향에서 정명훈이 받고 있는 (국내 기준에 비추어) 파격적인 대우나 성과주의의 도입 등에 대해 여러가지 말이 많기는 하지만, 정명훈으로 인해 서울시향의 수준이 한단계 끌어올려졌다는 점에 대해선 크게 반박하는 의견은 없는 것 같다. (나야 정명훈 이후의 서울시향만을 들었기 때문에 뭐라 할 말은 없지만..) 외국의 유수 교향악단이 우리나라에 방문 좀 해주기를 목 빠지게 기다리고, 어쩌다 한번 와 주면 고가의 티켓 구매를 불사하는 분위기가 계속되어서는 클래식이 소수의 상류층의 전유물이라는 비난을 면할 수가 없을 것인데 마에스트로 정이 서울시향의 수준을 업그레이드시켜 줌으로써 클래식 음악에 대한 문턱이 다소나마 낮아질 수 있지 않았나 싶다. 음악을 들을 기회가 없는 사람들에게도 음악의 즐거움을 선사하기 위해 지역 주민에게 찾아가는 음악회를 시도하는 것이나, 어머니의 고향인 북한과의 음악적 교류를 꾀하는 것도 굉장히 좋게 느껴지는 부분이다.

 

다만, 조금 논란이 있을 수 있는 부분에서도 철저히 정명훈의 편에서만 서술한 것은 아쉬운 점이다. (청소년을 위한 롤모델 시리즈에서 그 이상을 기대한다는 것이 이상한 것이지만) 그리고 아주아주 사소한 오류 한 개만 지적하자면, * 203면 '로마 근교 시에나' -> '피렌체 근교 시에나'. 이건 마치 대전 근교 공주를 서울 근교 공주라고 표현하는 것과 마찬가지. 그냥 시에나라고 해도 되었을 것을 쓸데없는 사족을 붙여서 괜히 어색하게 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