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아는, 우리만 모르는 - 위키리크스가 발가벗긴 대한민국의 알몸
김용진 지음 / 개마고원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헐적으로 위키리크스에 의해서 노출된 비밀들에 대해 접하긴 했지만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는 않고 있었는데, 로쟈 님 서재에서 위키리크스에서 공개한 정보 중에서도 우리나라와 관련이 있는 내용들을 엮어서 낸 책이 나왔다는 따끈따끈한 정보를 입수하고 바로 구매했다. 현재 울산 KBS에 근무하고 있는 저자의 탐사보도 전문기자로서의 약력과 울산까지 내려가게 된 경위도 책과는 별개로 꽤나 흥미로운데, 궁금하다면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2874에 가 보시길.

 

위키리크스에 대해서 마냥 찬사를 보내야 할지, 줄리안 어산지라는 사람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지는 아직까지 잘 모르겠지만, 정부가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궁금해하나 도저히 알 길이 없는 평범한 국민들이 위키리크스의 덕을 톡톡히 봤다는 것만큼은 부정할 수 없을 것 같다. 대미관계와 자원외교, 한미 FTA에 관한 장은 누구에게라도 반드시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을 정도이다.

 

특히 대미관계와 관련해서는 주한 미대사관에서 직접 작성한 전문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새로운 한미동맹'(이명박 대통령 당선 이후 견고해진 한미동맹을 말한다)이 도출해 낼 일곱가지 미국의 이익에 관한 보고서의 내용이 흥미롭다. 중국에 대항하기 위해 아시아 본토의 유일한 미군 부대를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 북한의 군사적 야망에 대한 억지력을 지속시킬 수 있다는 것, 주한미군을 두면 한국 정부에 대한 파병 요청이 좀더 용이해질 수 있다는 것, 한미 FTA 등으로 상호 무역관계가 증진될 것이라는 것, 환아시아 경제그룹을 구축하고자 하는 중국의 요청에 거부 의사를 보이는 한국 인사들의 입지를 강화시켜 줄 거라는 것(대체 이건 왜 미국의 이익이란 건지 모르겠지만;), 동북아시아 지역의 민주주의를 고취시킬 수 있다는 것, 이렇게 여섯 가지가 있고, 나머지 한가지는 너무 노골적이어서 좀 충격적이기도 하므로 원문을 그대로 옮겨 보자면, "한국은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미국산 무기 고객이다. 무기체계 상호운용성은 우리가 한국 정부에 미국산 무기 시스템을 사도록 설득하는 데서 핵심적인 판매 포인트이다. 동맹의 지속은 갈수록 치열해지는 무기 시장에서 한국군이 계속 우리의 최고 고객이 되는 것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라는 것이다. '우방'이라는 낭만적이고 우호적인 말 뒤에서 미국은 이렇게도 철저히 실리 위주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리 정부가 미국과의 각종 협상을 하면서 보이는 '이중적 태도'에 관한 기술 부분도 대단히 흥미롭다(기보다는 씁쓸하다). 주한 미 대사관에서 미 국무부에 보낸 전문 중에 또 이런 게 있다. "미국 정부의 압력에 굴복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그 부정적인 정치적 후폭풍의 잠재력은 막대하다. 한국 정부 당국자들이 아프간을 위해 미국 정부가 한국에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모르겠다고 주장할 때는, 그들의 의도가 미국 정부의 요구를 무시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언론에서 그 이슈가 논의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미국의 요구를 들어주고는 싶지만, 국민들에게 지나치게 친미적이라고 비판당할 거 같으니 대외적으로는 좀 덜 친한 척 해도 양해해 달라는 게 한국 정부의 입장이라는 것이다. "이명박팀은 한국의 4월 9일 총선 전에 자신들이 쇠고기 문제로 미국과 협상하는 장면을 노출시키는 것은 정치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했다. 쇠고기 문제의 정치성은 농민 유권자에게 너무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한국의 통상팀은 우리의 요구들을 충족시키는 합의를 도출해서 이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맞춰 발표될 수 있도록 무대 뒤에서 열심히 일하고 있다."는 부분도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니, 약소국민으로서의 서러움도 좀 느껴지고, 미국의 힘에 어느 정도 기대는 게 필요하다고 인정하더라도, 우리의 실리를 조금이나마 챙길 수 있거나 덜 내줄 수 있는 상황에서도 방법을 모색해 보지 않고 그냥 요구하는대로 다 내주기만 하는 건 아니었는지 아쉬움이 많이 생긴다(예컨대 대만이 쇠고기 개방을 한 뒤에 우리나라처럼 반대 시위가 거세지니까 국회에서 그냥 위험부위 수입을 금지하는 법률을 일방적으로 제정해 버려서 쇠고기 협정을 뒤엎어버렸고, 그래서 미국은 혹시 우리나라에서 대만을 무기로 삼아 재협상을 요구하지 않을까 엄청 걱정을 했는데 한국 언론은 대만 상황에 아무도 관심을 안 기울이고, 한국 정부는 오히려 미국한테 걱정하지 말라는 말을 했다는 그런 경우 말이다). 지금이라도 이런 정보들에 대하여 알 수 있게 해 준 줄리안 어산지와, 하나하나 흩어진 자료였다면 읽을 수 없었을 자료들을 엮어서 훌륭한 책으로 만들어 준 김용진 기자님에게 감사의 뜻을 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