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Angular 2 컴포넌트 마스터 - 컴포넌트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작 acorn+PACKT
기온 쿤츠 지음, 이승준 옮김 / 에이콘출판 / 2016년 12월
평점 :
절판


입문자용으로는 생략된 내용이 많다. 특히 npm 설치부분 언급 없어서 좀 해매게 된다.
npm은 https://nodejs.org/en/ 여기 가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live-server 명령어 먹지 않아 실행 결과를 확인 할 수 없다.
일단 이 책 말고 다른 책 부터 사보려고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마존 웹 서비스 클라우드 디자인 패턴 구축 가이드 I♥Cloud (아이러브클라우드) 7
오오사와 후미타카 지음, 박상욱 옮김, 타마가와 켄 외 감수 / 제이펍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기대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ET 프로젝트를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설계 - 분석 설계에서 서버 구축까지
한창현 지음 / 정보문화사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프로젝트와 데이터베이스 설계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다 둘다 놓친 꼴이다. 사실 두마리가 아니라 세마리, 네마리 더 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프로젝트에 필요한 모든 것을 언급하고 있다는 말이다. 그러면서 데이터베이스에 좀 더 무게를 둔 서적이다. 이 책은 정리용이지 학습용은 아닌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ead First Servlets & JSP - 상상력을 자극하는 몰입의 학습법, 개정판 Head First 시리즈
케이시 시에라 외 지음, 김종호 옮김 / 한빛미디어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기술서적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 된다고 생각합니다.

첫째는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책

둘째는 레퍼런스를 목적으로 하는 책

이 책은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책 입니다.

레퍼런스를 목적으로 하기에는 다소 난잡한 면(대화체를 사용하기에)이 있습니다.

 

이 책의 장점은 양파 껍질 벗기듯 설명하는 데에 있습니다.

처음에는 대략적인 윤곽을 보여주고, 점점 상세하게 설명을 풀어 갑니다.

 

이 책의 단점은 장점에서 비롯 됩니다.

같은 주제를 되풀이 하여 설명하는 방식 때문에 학습시간이 타 서적보다는 길어지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서블릿과 JSP의 이해도를 높이는데에는 탁월한 서적임이 분명합니다.

제일 감명 깊었던 부분은 톰캣-서블릿-JSP 간의 복합적인 설명과

클래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설명 때문에 프레임웍에 대한 이해도가 전반적으로 높아졌다는 것입니다.

나중에 뭔가 설계할 때 나도 그들 처럼 해야겠다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마지막으로 시험대비 모의고사 나오는데, 왜케 잘 틀리는지 몰것네요. 뭐, 전 시험볼게 아니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로그래머, 열정을 말하다
채드 파울러 지음, 송우일 옮김 / 인사이트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사가 주는 안정감 때문에 장인에 대한 열망은 천천히 식어갔다.

가끔씩 열망이 되살아 나곤 하지만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모르니깐 기분만으로 끝나는 날이 많았다.

 

이 책은 비범한 프로그래머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다수 소개한다.

그 방법들은 어떻게 보면 현대 프로그래머가 갖추어야할 소양이나 덕목 같은 것들이다.

 

그런데 가장 중요한 것은 책의 제목이 그렇듯 열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음속 깊은 곳 까지 프로그래머라는 열정이 새겨져 있는 자들에게는 보석같은 책이 될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라지 2016-08-29 2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구체적 실천 방법-



기술스펙트럼을 만들고, 강약 구분하기



구직 사이트를 통한 기술 수요와 공급 파악하기



자신이 속해있는 비즈니스 업계의 관련 잡지 읽어보기



높은 수준의 오픈 플젝 참여하기



전문가가 되기 위해 관련 기술을 총체적으로 알아가기



한 프로젝트를 서로다른 두가지 기술로 각각 만들어보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