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라 서문문고 258
막스 프리쉬 지음 / 서문당 / 199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20세기의 독일어권 문학의 結晶이라고 할 수 있는 스위스 출신의 두 작가가 있는 데 바로 뒤렌마트와 막스 프리쉬이다. 이 둘은 모두 극작가이면서 동시에 소설가로서 브레히트의 서사극을 계승하고 더욱 발전시킨 인물들이다. 그러나 뒤렌마트의 경우 통렬한 풍자와 그로테스크하고 기발한 구상으로 세상의 부조리에 일침을 가한 반면, 막스 프리쉬의 경우는 좀 더 세련되고 섬세하고 유려하게 인간의 보편적 성향을 다루고 있다.

<안도라>는 프리쉬의 대표적인 희곡으로서, 서사극의 형태로 매 경(장면)마다 증언대가 설치되고 등장인물들이 하나씩 나와서 이야기를 진행시켜 나간다. 주인공인 유대인 안드리가 처형되었다는 결론이 이미 주어진 상태에서 극은 사건의 진행과정만을 보여주고, 그 속에서 관객(독자)은 서사극의 특징인 비판적 거리와 의식을 가지고 스스로에 대한 인식의 단계까지 고양되며 극에 참여하게 된다.

작품에서는 반유대주의에 대한 그릇된 인간의 편견을 다루고 있지만, 안도라라는 곳이 프리쉬의 말처럼 이 지구상에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공간을 설정한 것이고, 따라서 이 세상의 어느 곳이든 안도라와 같은 모습을 지닌 보편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속에서 군중의 상이란 것 역시 시대를 넘어서, 공간을 초월해서 아주 유사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군중의 그릇된 편견에 의해서, 한 사람을 향해서 만들어 놓은 상에 의해서, 한 사람은 파멸의 길을 가게 되고, 그 결과에 대해서도 군중 속의 개개인은 거대한 무리 뒤에 숨어서 자신의 책임을 회피해 버리고 마는 것이다. 작품의 처음과 끝에서 바르플린이 교회 벽에 흰 칠을 하는 것은 군중의 이러한 성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단 한 번의 소나기로도 교회의 벽은 돼지 피처럼 시뻘겋게 변해버리고' 그 참 모습을 드러내는 것처럼, 그리고 안드리가 희생되어서도 다시 그 사건에 대해서 모두들 책임을 회피한 채 다들 자신들만의 일상으로 숨어 들어가듯이, 항상 군중은 그 실체를 감춘 채 또한 그 구성원 개개가 인지하지 못한 채 오로지 거대한 힘 뒤에서 서로들 티 묻지 않은 사람인 양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실제 유대인도 아닌 안드리에 대해서 안도라의 사람들이 독단적으로 유대인의 상과 편견을 만들어서 한 사람을 바라보고, 안드리에게 그러한 모습일 것을 간접적으로 종용을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당시 유럽에서의 유대인에 대한 편견들이 작품에서 드러난 것으로, 인색하고 지나치게 돈만을 알고, 그래서 상업에 관련된 일에 종사하는 것이 최선이고, 지나치게 명예욕에 넘치며, 무감각하고 무감정해서 농담이나 생의 여유를 즐기지 못하고, 언제나 비겁하고 겁쟁이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일에 있어서 숙련되지 못한 미숙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편견들은 극에서 이름을 가진 등장인물이 아닌 의사나, 목수, 주인, 군인처럼 신분을 대표하는 인물들의 대사에서 묻어 나오게 된다. 이는 다수의 군중을 의미하기 위한 프리쉬의 계획된 인물설정임을 살펴볼 수 있고, 또한 바로 그들이 상정한 안드리에 대한 상은 안도라 사람들의 성향의 투영으로서 안드리를 속죄양 혹은 희생양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2)에서 계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