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라 서문문고 258
막스 프리쉬 지음 / 서문당 / 199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
안드리 자신은 처음에 자아의 정체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즉 조직 속으로의 소속을 통한 자아의 확인을 꾀하지만, 목수의 일자리를 얻는 것에서도, 축구부에 가입하는 일에서도, 그리고 바르플린과의 결혼의 계획에서도, 사회가 혹은 군중이 만든 상과 편견에 의해서 거부되어지고서 끝내는 자신이 유대인이라고 믿어버리고 인정해버린다. 카프카의 성에서와 같이 끊임없이 하나의 조직 속으로 자신을 넣으려고 하지만, 끝내는 거부당하고 거기에서 자아의 정체성은 상실되고, 파멸로 이르게 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프리쉬의 일기에서도 '우리는 다른 사람을 만드는 제작자이다'라고 말하면서 우리가 만든 혹은 사회가 만든 상이나 편견이 가진 실로 오만하고 왜곡된 힘을 느끼게 하고 각성하게 해준다.

그리하여 안드리는 검은나라의 침입으로 유태인 검열에 걸리게 되고 처형을 당한다. 그리고 모든 인물들의 증언대의 부분에서는 '일이 그렇게 된 데에는 자신은 책임이 없다'라고 말하며, 자신들은 단지 안드리 즉 유대인에 대해 이러한 말만을 했을 뿐, 자신들이 직접 안드리를 처형하는 데 동참하지 않았기에 책임을 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비록 실제 안도라가 스위스를 모델로 하고 있고, 검은나라가 나치 독일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은 프리쉬 자신이 스위스 국민의 성향에 대해 비판하던 것을 보아서도 충분히 알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모든 상황은 공간과 시간을 초월하여 의미를 전하고 있다.

우리의 주위에 대해서도 우리는 수 없는 투영의 과정을 통해, 자신의 가장 초라하고 열등적인 성향을 하나의 희생양을 선정하여 고정된 상을 만들어 버리고 있다. 한사람에 대한 평가나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를 말함에 있어서 우리는 우리 자신의 눈으로 다른 사람의 실체를 확정시켜 버린다. 프리쉬는 확정된 삶은 이미 죽은 삶으로 간주하고 있다. 즉 우리는 그렇게 다수의 혹은 군중의 속에서 수없이 많은 상을 만들고서는 누군가를 죽음의 삶으로 몰고서 어떠한 권한도 없이 그들의 참된 정체성을 빼앗고 있다. 그리고 어떠한 책임감이나 죄의식도 느끼지 못한다. 그것은 우리가 직접적으로 행동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이고, '다들 그렇게 말했기에 나도 그냥 그렇게 했다'는 군중의 등뒤로 숨어버리기 때문이다.

프리쉬는 인간의 상을 만들지 않기 위한 방법으로 그의 일기에서 '사랑'을 강조한다.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를 말하는 것에 있어서 최소한으로 밖에는 진술할 수 없다는 것에 사랑의 경탄이 존재한다고 한다.' 즉 어떠한 객관적인 시선으로 타인을 대할 때에 생기는 수없이 많은 그릇된 상이 사랑에서는 존재하지 않음으로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몇 마디 할 말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이다. 즉 인간이 사랑을 하게 되면 언제나 상대방이 무한한 변화와 발전의 가능성을 지닌 존재로서 생각하고, 따라서 그는 지금 현재 어떠한 고정된 상을 가질 수도 없고, 만들어질 수도 없는 유동적이고 살아있는 삶 속에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랑만이 그때 그때의 상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켜 주는' 것이다.

<안도라>는 현대에 등장한 군중이란 거대한 힘에서의 개개의 인간들이 만드는 수많은 상에 대한 날카로운 지적과 서사극이 주는 독자(관객)의 인식의 촉구라는 적극적인 효과가 맞물려서 커다란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그리고 오늘도 우리는 누군가에 대해서 어떠하다는 말을 하면서 끊임없이 누군가를 고정된 삶(죽음의 삶)으로 몰아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