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고마워 책방 - 홍대 앞 동네서점 땡스북스 10년의 이야기
손정승.음소정 지음 / 유유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에겐 추억이자 삶이자 기록이였던 땡스북스의 이야기. 흘러온 시간을 읽으니 기분이 몽글해지고 좋네요. 앞으로도 오래, 함께하면 좋겠어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곁에 있다는 것 (양장)
김중미 지음 / 창비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중미 작가님 작품은 늘 깊은 울림이 있는 것 같아요. 기대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일을 위한 내 일 - 일 잘하는 여성들은 어떻게 내 직업을 발견했을까?
이다혜 지음 / 창비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작 <출근길의 주문>도 인상 깊게 봤는데, 이번 내용들도 참 좋네요. 윤가은 감독님 영화들 감명깊었는데 감독님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다른 인터뷰이 분들의 이야기가 앞으로의 길을 잡아가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더독 꿈꾸는돌 15
다케우치 마코토 지음, 윤수정 옮김 / 돌베개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10년 전, 그러니까 초등학교 시절 읽었던 <안내견 탄실이>는 성인이 된 지금도 기억하는 몇 책들 중 하나이다. 시각장애가 있는 소녀와 그녀의 길에 함께하는 안내견 탄실이의 이야기였는데, 어린 소녀 춘양의 마음에 어찌나 감동을 주었는지 지금까지도 기억에 남아있는 것이다. <원더독>을 만나고 그 시절 감성이 새록새록 떠오르는 걸 보니 아마 이 책도 오래도록 기억될 것 같다.

  줄거리는 대략 이렇다. 소라자와 고등학교 입학식이 진행되고 있는 운동장. ‘겐타로라는 남자 신입생이 유기견 원더와 함께 등장한다. 당시에는 이름도 없었던 이 강아지에게 마음이 쓰이는 겐타로, 하지만 키울 여건이 되지 않기에 강아지를 맡아줄 사람을 찾아다닌다. 그러던 중, 학교에서 텐트 치고 야영을 하던 반더포겔부(이하 반겔부)원들과 담당교사 다이치선생님을 만나게 되고 반겔부원이 된다. 그리고 단호하게 키울 수 없다는 교감선생님과의 신경전을 이겨내고 원더는 학교의 상징(?)으로서 자리 잡고 반겔부와 함께 지내게 되는 이야기이다.

 


 

 

 

부러웠던 그들의 문화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여러 책과 영화들을 보면 일본은 고등학교 동아리 문화가 활성화되어있는 것 같다. 특히 인터하이라는 전국 고등학교 종합체육대회가 있는데 <원더독>의 반더포겔(Wandervogel, 말하자면 등산·캠핑 동아리)부가 여기에 속한다. 질풍노도의 시기, 또래들과 같은 활동을 하며 갈등을 빚기도 하고 함께 어려움을 헤쳐가기도 하면서 여러 경험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자유롭게 주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내 고교시절과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들을 보면, 수능 공부에만 매여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나마 동아리 활동을 하더라도 스펙을 쌓기 위함이 대부분일 것이다. , 대학이 뭐길래. 가끔 고등학교 친구들을 만날 때면 할 이야기가 야간자율학습시간에 관한 추억뿐이다. 야자 땡땡이쳤던 기억, 야자시간에 선생님 몰래 치킨 시켜 먹던 기억 등등. 우리 세대는 공부에 관한 추억(?) 빼면 이야기할 것이 그리 많지 않다. 그래서 <원더독>을 읽으면서 문득 부러웠다. 일본의 고교 동아리 문화가.


   

 

원더를 만나 성장한 것은 학생들만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등장하지만 내가 주목한 사람은 교장선생님이다. 크게 주목받거나 이야기의 중심인물은 아니지만, 그가 퇴직하기 전 마지막 졸업식 송별사에서 했던 이야기가 기억에 남는다. 예상치 못 했던 인물이기 때문이다.

퇴직하신 야기 교장 선생님 이야기인데, 마지막 졸업식 때 그런 말씀을 하셨지요. 졸업생 송별사를 하시던 중에 좀 이상한 이야기를 하겠는데요. 마지막으로 교문을 나설 때, 기둥 밑을 봐 주세요.’ 하고.”


()

원더가 날마다 거르지 않고 영역 표시를 한 탓에, 콘크리트 기둥은 거기만 색이 변했다. 원더가 처음 한쪽 다리를 들어 올렸을 때부터 지켜본 겐타로에게는 익숙한 광경이었지만, 야기 교장이 그것을 졸업식 화제로 골랐다는 건 뜻밖이었다.


()

"‘조그만 원더조차도 날마다 거듭해서 자신이 살아가는 증거를 새기고 있습니다. 하루아침에 되는 일이 아니라, 이 소라자와 고교에서 오랜 세월을 보낸 성과겠지요. 여러분도 마지막으로 한 번 더 그것을 보고, 자신이 이 학교에서 갈고닦은 노력의 성과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주지 않겠습니까?’ 하고 말씀 하셨어요.”

 

학생들 반응은 어땠나요?”

 

원더 오줌 얘기란 걸 알았을 때는 역시나 웅성거렸지요. 엄숙한 식장에서 그렇게 웅성거리는 것 자체가 얘기를 흘려듣지 않았단 거잖습니까. 교장선생님 마음은 전해진 것 같았고, 끝으로 부디 소라자와 고교에서 지낸 날들을, 앞으로의 인생에서 살려 나가기 바랍니다.’라고 말했을 때는 박수가 일었지요.”

학생들뿐 아니라 교장선생님까지도 원더를 통해 성장하고 성찰했던 것이다.

 

그래, 그리고 나는 꾸준히 살아가며 증거를 남기고 있는가.

      

<원더독>을 읽은 느낌을 말하자면 뭔가, ‘고쿠센같은 드라마 한 편을 본 느낌이랄까. 새끼였던 원더가 성견으로 성장할 동안 학생들도, 교장선생님도, 그리고 나도 함께 성장했다. 이제 이 책은 책장에 꽂아두고 언젠가 원더가 필요할 때 다시금 꺼내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래네 꽃놀이 - 화전놀이 우리문화그림책 온고지신 19
김세실 글, 윤정주 그림 / 책읽는곰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부터 화사한 핑크빛 진달래 꽃을 먹고있는 소녀(달래)그림이 엄마도, 아이도 '와 이쁘다!'라는 감탄사를 자아낸다.

강남갔던 제비도 돌아온다는 삼짇날에 화전 만들어먹는, 엄마들은 다 알고 있는 우리나라 옛 문화지만, 요즘 아이들은 모르는 이야기를 예쁜 그림과 깔끔한 글씨체로 그려냈다.

개인적으로 책장에 꽃아두면 두고두고 펼쳐보고 싶은 그런 책.


 
책읽는 곰 출판사의 <달래네 꽃놀이>를 읽고 SBI 마케터 팀원들과 함께 독후활동을 기획해 보았다.
팀원 : 김사룡, 김은지, 유수지, 최다은

5~7세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까지 선생님/부모님과 함께 할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했다.

목표
1)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교육적인 효과
2) 시각, 촉각 등 두뇌를 발달시킬 수 있는 놀이
3) 무엇보다 안전해야한다!


 

사진 업로드 오류로,

 

활동 사진은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eunnest8/220412605650

 

1. 단어놀이


책에 나오는 아이들에게 익숙하기도 하고 새롭기도 한 단어들을 단어카드로 만들어 놀이로 학습한다. 언어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교육적인 효과도 기대한다. 샘플로 제작했지만, 그림으로 그려도 되고 실사로 만들어도 된다.



 

2. 지점토 화전놀이


지점토를 이용한 화전놀이를 구성했다.


준비물 : 한지나 색종이로만든 꽃잎, 물풀, 지점토


 




점토를 동그랗게 만들고 꽃잎을 붙여 완성한다.


직접 화전을 만드는 것 보다 안전하고, 점토를 만지며 촉감발달에도 도움을 준다.

완성시켜 굳힌 후, 장식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3. 가정통신문 (선생님용)


화전을 지점토로 만들어 봤으니, 직접 가족과 함께 실제 화전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한다.

내용은 모두 책에 나와있는 내용을 기반으로 한다.


더불어 부모에게는 삼짇날에 관한 향수를 느낄 수 있고, 아이들은 자연스레 삼짇날을 알아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