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인문으로 수를 읽다 융합과 통섭의 지식 콘서트 3
이광연 지음 / 한국문학사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 인문으로 수를 읽다]

 

 

수학, 수학하면 어려워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럼에도 우리는 살아가면서 수학을 배워야 하며,
삶의 살아가면서 이는 반드시 도움이 된다.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사고의 중심에는 수학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 책의 제목을 봤을 때, 조금 의아한 생각이 든것은 당연할지도 모른다.
수학과 인문은 전혀 별개의 학문 같은데..라는 생각으로 말이다.
나또한 다르다고 생각해 왔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수학 뿐만아니라 물리, 화학, 생물, 천문학 등도
인간의 삶과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넓은 의미의 인문학에 포함 된다고 한다.

수학과 과학은 확실한 경험을 토대로한 보편적인 법칙을 조직화한 것으로 객관적이지만,
인문학은 객관과 주관을 모두 포괄할 수 있기에 문제의 인식과 해결 방법 면에서
약간의 차이만 있을 뿐이라고 말한다.


본격적으로 저자는 수학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먼저 이야기하면서,
각 쳅터별로 수학이 스며있는 음악, 건축, 경제 등에 대해 예시를 들면서 설명해 주고 있다.
그 안에서 가우스, 오일러, 피타고라스, 피보나치, 파스칼 등 수학 시간에 한 번쯤은 들어봤을
유명한 수학자들이 대거 등장한다.


책을 읽으면서 음악부분의 잉여계와 톤네츠 부분은
내가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해주고 있어서 흥미롭게 보았고,
파동원리 등이 접목된 주가 예측 부분은 상대적으로 어렵게 느껴졌다.
(보면서도 이게 무슨 말인가..하는 부분도 꽤 되었다. 내공이 더 필요할듯하다ㅎㅎ)
그리고 영화속에서 찾아보는 수학 또한 숫자를 보면 어렵기도 하지만 재미있게 보았다.
공상영화에서만 존재할 것 같은 수학적 모습은
전혀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보여지는 영화 속에서도 속속히 숨어 있었다.
형사가 범인을 밝혀내는 방법으로 추론과 논리,
복잡한 꿈의 공간(수학적 원리-위상수학)을 그려낸 인셉션 등 아주 흥미롭게 다가온다.
어려울 수 있는 내용도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하려고 하는 모습도 보인다.
또한 빠질 수 없는 건축 부분에서는 현대건축물 뿐만아니라
우리의 전통 한옥과 관련되어서도 설명하고 있다.
그 외 유적지, 고전 속에서 살펴 볼 수 있는 수학적 사고(기하학, 카오스, 우주의 진리-천자, 암호 등),
역사속 인물들과 관련된 수 이야기, 오락 수학(마방진), 명화속에 숨겨져 있는 수학원리 등등
정말 많은 이야기를 수학과 연관되어 이야기해 준다.


이 한권이면 어느정도 수학과 관련된 것은 많이도 알게 될 것이다.
사실, 읽다보면 숨겨진 수학의 원리를 파악하는 것에 재미를 느껴서
수학과 인문의 연결점을 다시 잊곤 하게 되는것 같은데,
그래도 수학을 이해하는데, 다가서는데 있어서는 많은 도움이 되는 책인듯 하다.
한 번 읽는 것으로는 부족할 듯 하여 다음에 다시 한 번 읽어봐야 겠다고 생각이 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