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엄마처럼 - 일등이 아니어도 행복한 프랑스식 긍정 교육법
오드리 아쿤, 이자벨 파요 지음, 이주영 옮김 / 북라이프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프랑스 엄마처럼]

 

이 책은 프랑스 엄마들의 교육방법에 대해 이야기 한 책이다.
아무래도 나도 이제 한 아이의 부모가 되다보니 아이 교육에 대해 관심이 많다.
아직은 태어나길 기다리고 있지만,
미리 어떻게 교육을 해줄지에 대해 고민을 해보게 만든다.
그런면에서 우리나라 교육방법 보다는 유럽권쪽 교육 방법에 관심이 자꾸간다.
폴란드, 아이슬란드 등 선진 교육이라고 말하는..
과연 우리나라 실정에 들어 맞을지는 모르겠지만, 우리와 어떻게 다르고,
똑같이는 힘들더라도 변형하여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해 볼 수 있어서 책을 접함에 있어서 다른 책들에 비해 호기심도 많고
기대감도 더 많이 가지면서 보게 되었다.


우리나라 교육 하면 안타깝게도 딱 떠오르는 것이 '1등' 주의이다.
내 아이가 다른 아이보다 잘 해야 하고, 1등을 해야지만 미래가 보장된다고 여기고..
그로인한 아이의 스트레스를 생각하면서도 어쩔 수 없다는 이유로
참고 견디라는 응원(?)을 하게 되는 현실. 생각만으로도 갑갑하다.
나도 우리아이가 학교에 가고 학업을 하게 되면 저렇게 변할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프랑스 또한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성적 전쟁에 시달리고, 교육열(사교육)이 높다고 한다.
그런데 책 속에서는 1등이 아니어도 된다고 말한다. 어째서?라는 의문을 갖게 만든다.
이 책의 저자는 스스로가 아이들을 양육하면서 직장을 다니던 평범한 주부.에서
심리학과 교육학을 공부하고 긍정심리학 전문가가 되었고,
그 후 10년간 상담활동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를 한다.
학교, 가정, 사회 구분없는 경쟁사회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문제점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위해서 저자들은 실제 육아 경험과 더불어 '긍정 교육법'을 내놓는다.
긍정 교육법의 기본은 존중과 기다림이다.
빨리빨리에 익숙한 나또한 기다림.이라는 것에 실천하지 쉽지 않을 것 같다는 걱정이 들지만
그들의 설명에 공감이 가면서 내 스스로부터 느긋해짐의 연습이 필요하겠다는 것을 느꼈다.
(미리미리 연습해야 겠다.)


역시, 쉽지 않지만,
모든 것은 아이 스스로가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옆에서 지켜봐 주는 것이 가장 좋은것이다.
잘못된 것은 그 후에 수정해 주고 조언한다면 아이는 스스로 변한다고 말한다.
여기에 이를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도 3단계로 나누어 이야기 해 준다.
공부할 수 있는 머리로 만드는 것, 공부할 수 있는 마음을 만들어 주는 것, 공부할 수 있는 몸을 만드는 것.이다.


음.. 위의 세단계를 놀이, 감정, 건강. 으로 정리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세상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공부는 필수적이다.
(물론 내가 말하는 공부는 시험을 잘 보기 위한 공부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삶을 슬기롭고 지혜롭게 살아가기 위한 공부.
이를 위해서는 즐겁게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재미를 느끼게 된다. 이게 바로 놀이로써의 공부가 아닐까.
그리고, 공부에 재미를 느끼면 그 감정이 호기심을 가져오고 스스로가 알고자 하는 마음이 생긴다.
또한, 무언가를 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신체는 당연히 따라와야 하는 문제이다.
건강한 몸이어야 마음껏 공부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갑자기, 이런말이 떠오른다.
아이에게 잡은 물고기를 주는 것이 아닌,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쳐 주어야 한다.는 말..
요즘 자기주도학습 이라는 말로도 우리나라에서 하나의 교육으로 자리잡고 있는것 같은데
이 또한 저자들이 말하는 긍정교육법의 하나의 발판이 되는것이 아닐까.
내 아이도 스스로 '배우고 익히면 즐겁지 아니한가'에 대해 알 수 있도록
잘 이끌어 주어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