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 공화국, 누가 우리 아이의 재능을 죽이는가
안드레아스 잘허 지음, 송경은 옮김 / 서돌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스트리아와 한국의 교육 사정이 어쩌면 이렇게 비슷한지 놀랍다. 책을 읽으면서 종종 우리나라에서 쓰인 책으로 착각이 들 정도다.




이 책에서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제품을 컨베이어벨트에서 똑 같은 모양으로 대량으로 만들어내는 공장에 비유하였다. 이런 학교 교육 방식은 100년 전이나 지금이나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우리가 흔히 보듯이 개성과 창조성이 넘치고 재기발랄하던 아이가 자라면서 그것을 다 잃어버리고 그저 평범한 사람이 된다. 그 이유는 학교라는 교육 공장을 거치면서 들쑥날쑥한 개성이 모두 깎여 버리고 일정한 모양으로 되기 때문이다. 학교의 목표는 뛰어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아이들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어떤 물건을 사거나 서비스를 받을 때 지불하는 금액에 비해 형편이 없으면 우리는 그것을 시정하라고 요구한다. 하지만 교육이라는 서비스를 받을 때는 그렇게 하지 않고 그저 과거로부터 전해내려 온 제도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인가? 더 이상 이런 부조리한 교육 제도가 계속되도록 좌시해서는 안 된다.




교육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이 책에서는 가장 먼저 교사의 역할을 들고 있다. 또한 교사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우선 자질이 뛰어난 사람을 선발하여 교사 임무를 부여한다. 사회적으로 교사를 존경하고 충분한 보수를 준다면 우수한 사람이 교사가 되려고 할 것이다. 그리고 꾸준한 재교육을 통해 교사의 실력을 높여야 한다.

교사의 제일의 임무는 자질이 뛰어난 아이들을 볼 수 있는 안목을 갖는 데 있으며, 그런 아이들이 충분히 그 재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것이다.




어떤 아이가 잠재된 재능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재능을 발견하고 키워주는 환경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그 잠재력은 결코 피어나지 않는다. 또 그 재능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주지 않으면 오히려 사회에 해악을 끼치는 인물이 될 수도 있다.




아이에게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사람은 바로 부모이다. 교육은 오직 학교에서 이뤄진다고 아이들을 학교에 전적으로 맡기는 부모는 한마디로 부모로서의 자격이 없는 사람이다. 저자는 후렐만 교수가 주장하는 ‘부모면허증’을 지지한다고 밝히고 있다. 즉, 부모 교육을 이수하여 자격을 취득한 부모에게 육아보조금을 지급하자는 말이다. 그만큼 아이에 대한 부모의 영향이 크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부모는 아이가 무엇을 할 때 기쁨을 느끼는지 스스로 깨닫게 해주어야 한다. 바로 그 기쁨을 느끼게 하는 행위가 그 아이의 우수한 재능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미래에 가장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은 무엇일까? 매우 포괄적인 대답이지만, 인적 자원을 개발하는 것이 어떤 것보다 더 많은 이익을 줄 것이다. 우리나라는 자원이 매우 부족한 나라이다. 이 불리한 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인적 자원을 개발하여 우수한 인력을 생산하는 길밖에는 없다고 본다. 즉 ‘교육’에 그 해답이 있다는 말이다.

교육을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고 한다. 그런데 오히려 우리나라는 ‘교육망국론(敎育亡國論)’이라는 말이 더 많이 회자된다. 이런 아이러니가 왜 생겼을까?

우리는 교육의 본질에 대해 더 깊이 더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