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배님의 로맨스
이은교 지음 / 다향 / 2017년 6월
평점 :
품절


< 내 맘대로 키워드 >

: 현대물, 잔잔물, 재회물, 상처남, 연상연하, 사제관계, 순정남, 다정남, 존댓말남주, 디자이너, 사내연애


< 주인공 소개 >


# 정소은(23~34) : 전직 미술교사 & Top Queen 신입사원

- 쥬얼리 디자이너가 되고 싶었으나 확실하지 않은 전공으로 보내고 싶지 않았던 부모님 덕분에 꿈을 포기하고 미술교사가 된다. 18살 아이에게선 흔히 느낄 수 없는 고단함과 서글픔이 느껴지자 신경쓰이고, 아이가 미술에 관심있다는 소리에 다시 미술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학교에서 벌어진 사건으로 인해 담호가 학교를 그만두고 자취를 감추자 그의 소식을 전혀 들을 수 없었고 11년 뒤, 간절하게 다니고 싶었던 직장에 입사하면서 그와 다시 만나게 된다.


# 이담호(18~29) : Top Queen 대리

- 알코올 중독자인 아버지 밑에서 늘 폭행을 당하면서도 도망간 엄마를 기다리며 살아온다. 좋아하던 미술 조차 아버지의 반대로 하지 못하고, 지옥같은 환경에서 하루하루를 버텨오던 담호는 아무리 거부하고 밀어내도 다가오는 소은이라면 자신의 꿈을 지켜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갖게 된다. 하지만 학교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인해 결국 학교를 자퇴해야만 했고, 그녀와 다시 만나고 싶다는 생각에 쥬얼리 분야에 취직한다. 11년 뒤, 신입사원으로 들어온 그녀와 다시 마주하면서 그녀를 자신의 곁에 두리라 다짐한다.


< 줄거리 >


어렸을 때부터 꿈이였던 쥬얼리 디자이너를 포기하고 부모님의 권유로 미술교사가 된다. 첫 부임날 18살 아이에게서 볼 수 없는 묘한 분위기를 가진 아이를 보게 되고, 담임에게 그 아이가 폭력적인 가정에서 맞고 지낸다는 소식을 접하게 된다. 비어있는 담호의 자리가 신경쓰였던 그녀는 담호를 찾으러 나가고, 내려오라는 말에도 내려오지 않는 아이를 보며 생각보다 더 쉽지 않은 아이면 어쩌나 하고 걱정한다. 소은은 그를 통해 그의 아버지가 담호를 때리는 모습을 떠올리며 담호를 안쓰럽게 바라보고, 그의 덤덤한 말에 마음이 아려온다. 그가 자신의 꿈 마저 잃은 채 사는 것을 보고싶지 않았던 소은은 담호의 꿈을 찾아주기로 하고, 담호가 미술에 관심있었다는 걸 듣게 되면서 그가 다시 미술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소은으로 인해 꿈을 꾸었지만 학교에서 벌어진 불미스러운 일로 꿈과 학교를 포기해야만 했던 그는 자취를 감추고 11년 뒤, 쥬얼리 디자이너를 꿈꾸며 입사한 회사에서 두 사람은 서로를 마주하게 된다.


< 감상평 >


많은 이은교 작가님의 작품중 이 작품은 유독 좀 가슴 아프게 다가왔다. 담호가 덤덤하게 그 지옥같은 곳에서 어떻게 내가 꿈을 꾸겠냐고, 어차피 잠깐 관심주다 신경끌거 신경쓰지말아라. 나 좀 내버려둬라! 라며 울음섞인 말투로 말을 하는 그 모습이 얼마나 울컥하게 만들던지. 더 가슴 아팠던 건 좋아하던 미술을 포기하고 더이상 꿈을 꾸는 걸 두려워하는 것과 언제나 비난섞인 말투와 시도때도없이 날라오는 폭력으로 상처가 가시는 날이 없음에도 도망간 엄마가 자신을 데리러 올거라며 믿고 기다리는 담호의 모습이었다. 다른 애들은 오히려 학교보다 집을 더 좋아하는데 그에 비해 담호는 집보다 학교를 더 좋아해 졸업하고 나면 더이상 갈곳이 없어질까봐 학교도 잘 안오려하고, 수업도 자주 빼먹으려고 하는 것 같아 많이 안타까웠다.


소은이는 담호의 모습에서 아마 자신의 모습을 떠올렸던 것 같다. 그래서 담호만은 꼭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옆에서 서포트 해주고 싶어했던게 아닐까 싶다. 그리고 담호가 꿈을 이루는 모습을 보면서 간접적으로나마 자신도 성취감을 느끼고 싶어했던 것 같기도 하다. 자신에게 관심을 가져주는 척 하다 말처럼 쉽게 잘 되지 않자 자신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이 보았기에 더는 선생이란 존재에게 실망하고, 상처받고 싶지 않아서 소은이에게 기대감 조차 갖지 않으려고 했던 건 아닐까. 하지만 다른 선생들과는 다르게 자신의 궂은 말에도 몇번이고 다가와 꿈을 다시 꿀 수 있도록 도와주려는 소은이의 정성에 이 사람이라면 자신이 지켜온 꿈을 꿀 수 있겠다는 희망을 가지게 되어, 다시 그림을 그리는 담호의 그 모습이 인상 깊었다.


담호가 그리는 그림을 보며, 자신도 포기했던 쥬얼리 디자이너라는 꿈을 다시 꾸는 소은이의 모습이 비춰지는데 서로가 서로에게 희망이 되고, 꿈이 되는 그 장면은 참 뜻깊게 다가왔다. 앞으로 내가 살아가면서 내가 하고자 하는 일, 내가 꿈꾸자 하는 일을 아무런 말 없이 응원해주고, 지켜봐주고, 이해해주는 사람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다른 사람들이 다 안돼! 라고 외칠 때, 단 한사람이라도 날 믿고 응원해준다면 마치 천군만마를 얻은 듯해 무척 뿌듯할 것 같다. 아직 확실한 꿈을 가지고 있진 않지만 내가 꿈을 꾼다면 담호의 꿈을 응원해주는 소은이처럼, 내 꿈도 자신의 꿈처럼 열심히 믿고 응원해주는 사람이 있으면 정말 좋겠다. 과연 그 날이 언제쯤 될려나.


제자의 꿈을 응원해주고, 자신의 꿈을 이룬 소은이라는 캐릭터도 좋았지만 이상하게 난 담호가 더 좋았다. 11년 이란 오랜 시간동안 한 여자만을 가슴에 품어온 순정남이면서, 사랑하는 여자에게 더는 제자로 보이고 싶지 않아 남자로 다가가고자 호칭정리를 하고, 어떻게 해야 남자로 보여질 수 있는지 친구들과 진지하게 상담하는 그 모습이 너무 귀여웠다. 다시 만난 담호의 모습에서 소년의 모습은 없었지만 남자다움 그 속에서 얼핏 보이는 소년스러움이 담호의 매력을 더 어필해주는 것 같은 느낌도 들었다. 연하남이라고 하면 철이 없어서 신경쓰고 돌봐줘야 하는 이미지가 대표적인데 여기에서 보여지는 연하남은 무척 세심하면서도 어른스러운, 그리고 담담하게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가슴 따뜻한 남자였다. 그래서 담호라는 캐릭터가 더 돋보였던 것 같다.


책 속에 나오는 인물의 과거사를 보며 눈물 흘렸던 적이 별로 없는데, 담호의 아픈 환경이나 담호가 당해온 그 취급들이 너무나도 맘에 걸려 보는 도중 눈물을 흘리고 말았다. 꿈을 꾸는 담호에게 넌 꿈을 꿀 가치도 없다며 잔인하게 짓밟고 때리고, 그저 옆에서 잘 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해준 것 뿐인데 그걸 매도하고, 자신의 아들이 떨어졌다며 아이에게 협박하고, 그 아이를 떠나 보내야 한다며 잔인하게 몰아내는 학부모. 이기적인 어른들로 인해 아이는 더이상 떨어질 곳도 없는 낭떠러지도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 이야기들을 보며, 얼마 전 읽었던 변호사의 품격에서 아이들을 데리고 장난치는 이기적인 어른들의 모습이 생각나 조금 씁쓸하게 다가왔고, 부디 어른들이 나잇값대로 행동했으면 하는 바람도 살짝 들었다.


이러한 과거들이 있었기에 두 사람의 만남이 좀 더 특별하고, 빛이 났던 것 같다. 제자에서 남자로 보이는게 맘처럼 쉽지만은 않았지만 어떻게든 남자로 다가가고자 자신의 매력을 어필하고, 제자였던 담호의 매력에 빠져 남자로 바라보는 소은이의 모습까지 달달했다. 특히 담호를 다른 친구들과 비교하지 않고, 평범한 친구처럼 대해주는 연우와 태조를 보며 담호가 정말 친구 하나는 잘뒀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처음 본 담호를 자신의 가족처럼 따뜻하게 맞아주며 대해주던 소은이의 가족들과, 소은이의 가족들을 통해서 가족의 따뜻함이 무엇인지를 느끼는 담호의 모습이 너무 보기 좋았다. 나중에 두 사람이 결혼하겠다고 양가 집을 찾아갔을 때는, 정말 가족이 된 것 같아 보여 절로 뿌듯하고, 기분좋게 다가왔다.


사제관계에서 연인관계가 된 두 사람. 단순히 관계만 바뀌었을 뿐이지. 두 사람이 함께 걸어온 시간이나 그 추억들은 아마 가슴속에 좋게 담겨있지 않을까 한다. 작가님의 후기를 보면서 좋아하는 일을 포기하지 않고 꼭 이루었으면 한다는 그 말이 무척 와닿았다. 내가 과연 작가님처럼 좋아하는 일을 만나 그 꿈을 이룰 수 있을까 하는 걱정도 들지만 포기하지 않고 여러번 도전하다보면 내가 좋아하는 꿈도 이룰 수 있는 날이 언젠간 있겠지?. 꼭 작가님처럼 나도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며 행복하게 웃는 그 날을 꿈꾸며 기다리고 싶다. 쓰실 때마다 나날이 필력이 좋아지는 우리 작가님. 작가님의 모습을 보고 있으면 난 그저, 아직 하룻강아지에 불과하구나 싶은 생각이 든다. 작가님이 앞으로 열심히 나아가는 것처럼, 나도 작가님에게 지지않게 앞으로 꾸준히 전진해나가야 되겠다.


< 이은교 작가님께 책을 지원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