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물학이 정말 우리 생활 속에 있다고? - 하루 동안 떠나는 생물학 여행 ㅣ 하루 동안 떠나는 지식 여행 5
세실리아.발레리아 지음, 파블로 피시크 그림, 윤승진 옮김, 이은희 감수 / 찰리북 / 2023년 6월
평점 :
생물학이 정말 우리 생활 속에 있다고?
저자 - 세실리아, 발레리아 / 출판 - 찰리북

생물학의 정의를 먼저 살펴보면
생물과 생명을 다루는 학문으로, 이러한 살아있는 유기체를 연구하는 자연과학입니다.
정의를 보면 아 어렵다 딱딱한 분야라는 느낌이 팍- 들었는데
< 생물학이 정말 우리 생활 속에 있다고? > 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들이
흥미를 충분히 끌만한 내용이 많아서 편한 마음으로 한장 한장 넘겨봤어요.
제가 먼저 읽어보고 그 다음, 아이가 관심있어할만한 주제를 다시 한번 읽어보며 이야기를 나눴죠.

책의 구성이 일단 재미있어요.
실제 이 책을 쓴 화학자 발레리아는 딸과 아들이 생물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자
생명공학 박사인 세시를 만나러 가며 책의 내용은 시작이 됩니다.
하루동안 떠나는 생물학 여행이라는 문구에 맞게, 차례가 시간으로 설정이 되어있답니다.
오전 11시부터 15분, 30분을 간격으로 총 20개의 생물학 질문과 그 설명이 나와있어요.


생물은 영원히 자랄 수 있느냐
이 질문은 주체에 따라 다르다고 대답하고 있어요.
사람의 키는 일정나이가 되면 멈추지만, 몸무게같은 경우는 나이와 상관없이 계속 늘릴 수 있잖아요.
나무같은 경우에도 키는 계속 자랄 수 있지만,
거기에 붙어있는 나뭇잎은 일정한 크기가 되면 더 커지지 않는다는 설명에
7살 첫째도 고개를 끄덕끄덕 하더라구요.
그렇다면 머리카락은 계속 자랄까?
아이가 "음.. 계속 자라겠지. 잘라도 잘라도 계속 기르니까. " 하더라구요.
머리카락이 빨리 길어서 한달에 한번은 꼭 미용실에 가서 정리를 하는 아이와 같이 그 해답을 보기로 했답니다.
저도 머리카락은 계속 자라는 줄 알았는데 의외의 설명을 마주하게 됐어요.
머리카락은 영원히 자라는 게 아니라 한정된 시기까지만 자란다고 하더라구요.
사람마다 그 시기는 모두 다르긴하지만, 계속계속 자라는 게 아니라는 말에 머리카락 소중히 해야겠다는 생각이..ㅎㅎ

얼마전까지만해도 집에서 키우던 파리지옥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어요.
육식성 식물은 어떻게 고기를 먹나 ?
아이가 5살때 파리지옥 영상을 너무 재미있게 보길래 사다 키운적이 있어요.
그때는 치즈도 먹는다는 이야길 들어서 곤충 줄 생각 전혀 없이 치즈랑 물만 넣어줬는데
몇 일안가 잎이 까매지더니 다 죽어버리더라구요.
그래서 작년이랑 올해는 놀이터에서 놀다가 죽어있는 곤충들 보이면 가져와서
파리지옥 감각모에 닿게 넣어주면 잎을 탁 닫더라구요.
< 생물학이 정말 우리 생활 속에 있다고? > 책 설명에서는 파리지옥은 육식성 동물로,
달콤한 향기를 내뿜어 곤충을 유인한다고 해요.
소화액을 분비해서 먹잇감을 꿀꺽할 수 있는거라네요.
아이들이 잎을 닫는게 신기해서 놀이터에 나갈때마다 곤충을 가져와서 애를 먹었지만
움직이는 식물(?)을 눈 앞에서 보니 신기하긴 하더라구요ㅎㅎ
아이도 직접 키우던 파리지옥 이야기를 책으로 접하니 더욱 흥미로워했답니다.

어린이 영상에도 가끔 나와서 아이들도 익숙한 좀비.
좀비는 살아있는걸까요, 아니면 죽은 걸까요?
살아있으면서 죽은거다! 결론은 이건데 이 뒤에 나온 고치벌 유충 이야기가 참 신선하더라구요.
나방 애벌레를 먹고 크는 고치벌 유충.
고치벌 어미는 유충이 먹을 수 있도록, 나방 애벌레를 마취시켜 못움직이게 만든대요.
죽지 않는 부위만 먹어가며 점점 유충은 번데기가 되어가고
그 사이 좀비처럼 나방 애벌레는 움직일 수 없지만 살아있는 상태로 남아있다네요.
좀비 페이지에서 이 이야길 보니 뭔가 섬뜩하면서도 자연의 섭리라 이해가 되기도 하구요.

19시 45분까지 있는 생물학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나면
뒤에는 초등 과학교과 연계된 내용들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정리가 되어 있어 좋더라구요.
동물의 한살이부터 식물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까지.
호기심 가득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는 < 생물학이 정말 우리 생활 속에 있다고? >
생물학을 재미있게 접근해가며 재미있게 배울 수 있을 것 같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