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LPT N5 일본어능력시험 필수단어 400 - 박다진 센세와 함께 익히는
박다진 지음 / 세나북스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다진 센세와 함께 익히는 JLPT N5 일본어능력시험 필수단어 400

저자 - 박다진 / 출판 - 세나북스


일본은 한자사용과 동시에,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를 섞어 함께 의미를 전달하고 있는데요.

문법적으로 한국어와 문장순서가 유사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처음 일본어를 시작하면 어? 너무 익숙한데? 재밌는데? 하고 흥미롭게 첫발을 내디딜 수 있습니다.

처음엔 히라가나, 가타카나의 50음도를 외우는게 일이지만,

생각보다 적는 방법이 어렵지 않아서 많은 분들이 히라가나에 대한 어려움은 많이 없더라구요.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가 익숙해지고 재미있게 일본어를 배우다보면

JLPT라는 일본어능력시험을 따볼까 하는 생각이 나게 되죠.



JLPT는 객관적으로 자신의 일본어실력이 어느정도인지 알 수 있는 일본어능력시험을 말합니다.

N1부터 N5까지 있고, N1으로 갈수록 그 난이도는 어려워집니다.

N5는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독해), 청해로 이루어져있는데

< 박다진 센세와 함께 익히는 JLPT N5 일본어능력시험 필수단어 400 > 에서는

이 중에 JLPT의 N5 시험대비를 위한 어휘들을 알차게 만날 수 있어요.

출제 빈도가 높은 단어들을 외울수록 내 점수는 합격을 위해 수직상승되니

당연히 시험에 잘 나오는 단어부터 외워야겠죠.

이러한 단어 400개를 품사별로 정리를 해놨기 때문에 차근차근 열심히 공부할 마음만 준비되어 있다면

JLPT N5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들은 이 책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제일 먼저 나오는 명사.

한 페이지당 3단어씩 나와있는데 일단 가독성을 높여 한자 크기가 매우 큼지막해요.

한자 위에는 어떻게 읽는지 히라가나로 쓰인 후리가나가 보입니다.

한자 밑으로는 이 한자가 사용된 적절한 예문이 제시되어 있는데

역시나 이 예문 위에도 후리가나를 사용해 학습자가 읽기 편하도록 만들어놓았네요^^

あ행(あいうえお) - 아행 (아이우에오)

-> か행(かきくけこ) - 카행 (카키쿠케코)

-> さ행(さしすせそ) - 사행 (사시스세소) ~~~

히라가나 외울 때 행과 단의 순서에 따라 아마 배우게 되실텐데

이 책도 아행부터 순서대로 단어들이 나와 있습니다.



다음은 형용사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일본어 형용사에는 크게 い(이)로 끝나는 い형용사(이 형용사)와,

だ(다)로 끝나는 な형용사(나 형용사) 로 나뉘어져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사람얼굴을 표현할 때 "예쁘다"라고 많이 표현하죠.

일본에서는 사람얼굴, 동물같은 경우에 かわいい(카와이-)를 많이 사용하고,

きれいだ(키레이)는 풍경이나 식물 등 정말 아름다운 것을 봤을때나 깨끗하다는 표현을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박다진 센세의 N5 책 예문에서 그 특징이 잘 나타나있어서 좋았어요.



동사와 부사가 나온 후에 N5에서 필요한 가타카나가 주루룩 나옵니다.

일본인들은 외래어를 표기할 때 가타카나를 사용해 의미를 전달해요.

히라가나는 둥글둥글한 글씨체라면, 가타카나는 딱딱한 글씨체라고 볼 수 있겠죠.

일본어에는 한국인들보다 훨씬 많이 외래어를 일상화해서 사용한답니다.

거기에 외국어 발음은 일본화시켜 발음하고 있어서 바로 들으면 무슨 말인지 잘 모를때도 있어요.

카메라 -> 카메라 (도서 151p 참조)

카레 -> 카레

처럼 우리나라 사람도 사용하는 발음은 바로 캐치하기 쉬워요.

그런데

커피 -> 코-히-

백화점 -> 데파-또 (도서 156p 참조)

처럼 들으면 단박에 알 수 없는 발음들도 있어서

우선 가장 많이 사용되고 시험에도 자주 출제되는 가타카나 단어들을

박다진 센세의 N5 책을 통해 차근차근 학습해나가면 좋을 것 같아요.



앞서 배운 단어들을 이 미니 단어장에 모두 모아놨더라구요.

알고 있는 단어를 체크해가면서 모르는 건 다시 암기해볼 수 있도록 구성해놨어요.

우리나라도 한자권이라고는 하지만 현재는 모두 한글을 사용하고 있고,

한자로 된 한글로 의미를 전달하고 있기때문에 직접적으로 한자를 쓰고 외우는 일이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어에는 한국어와 비슷한 한자발음의 단어들도 곧잘 나오고

한자 읽는 방법이 음독이냐 훈독이냐에 따라 특별한 것들을 제외하고선 발음도 정해져있기 때문에

들으면 눈치껏 아 이거 말하는거구나 하고 알 수 있게 있게 된답니다.

이러한 자주 사용하는 한자와 히라가나, 가타카나 단어를 엮어놓고

JLPT N5에 출제 빈도가 굉장히 높은 단어들이 모여있는 책인

< 박다진 센세와 함께 익히는 JLPT N5 일본어능력시험 필수단어 400 >로

JLPT N5 합격대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


* 리뷰어스 클럽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