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꾸는 언어 - 민주주의로 가는 말과 글의 힘
양정철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8년 1월
평점 :
품절


배려의 언어는, 진솔한 배려의 마음에서 나온다.


매일 사용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매개체, 언어. 선조들의 말에서처럼 말로 천 냥 빚도 갚을 만큼 언어는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우리에게 득을 안겨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언어의 중요성을 깊이 생각하게 만드는 부분이다.


[세상을 바꾸는 언어]의 저자는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을 보좌했던 사람이다. 그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발전하는 과정을 함께 지켜본 사람이고, 민주주의가 활짝 피기를 누구보다 간절히 바랐을 사람들 중 하나다. 그렇기에 그가 민주주의를 ‘홍보’하려고, 즉 언어를 이용해서 민주주의에 대해 정의를 내리기 위해 쓴 [세상을 바꾸는 언어]는 여러모로 참 고맙고 읽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을 저절로 들게 한 책이었다.


언제나 사용하지만 사실 생각해보면 의외로 모르는 것이 많은 존재, 언어에 대해 한 번 생각을 해 보게 되었다. 나름 바른 언어생활을 하고 있고, 또 좋은 습관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부끄럽게도 무의식중에 ‘차별’이 가득하고 ‘바르지 않은’ 언어생활을 하고 있음을 자각하게 되었다. 나의 현재 언어습관과 생활을 점검하고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평등, 배려, 공존, 독립, 존중의 언어를 차근차근 알려주면서 ‘민주화의 마지막 여정’인 언어의 민주화, 즉 ‘세상을 바꾸는 언어’를 보급하고 알리는 것에 초점을 맞춘 [세상을 바꾸는 언어]. 실제로 민주화의 여정을 하나씩 밟아 온 저자이기에 그가 말하는 민주화의 언어와 세상을 바꾸는 언어에 더 신뢰가 간다. 그가 ‘세상을 바꾸는 언어’의 보급을 통해 하루빨리 실현되기 원하는 민주화 된 대한민국은 과연 어떠한 모습일까? 우리는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는 걸까? 아니면 멀어지고 있는 것일까?


책의 내용은 불편하다. 내가, 우리가, 사회가, 더 나아가서 대한민국이 가지고 있는 특정한 이유와 고유의 문화를 토대로 세워진 것이 언어이기에 잘못된 것을 꼬집는 내용이 편할 리가 없었다. 알고 있던 것이 사실과 다르기에 깜짝 놀라기도 하고, 불편한 진실에 마음이 무겁지만 읽는 내내 한 가지 사실만 명심하기를 바란다. 민주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수단은 말과 글이고, 바른 말과 바른 글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세상과 더 나은 나라, 그리고 더 나은 내일을 꿈꾸게 하는 밑바탕이 되어 준다는 사실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