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리씽 에브리씽 (예담)
니콜라 윤 지음, 노지양 옮김 / 예담 / 2017년 5월
평점 :
절판


이름도 어려운 중증복합면역결핍증’, 줄여서 SCID라는 병을 앓고 있어 17년이라는 시간 동안 단 한 번도 집 밖을 나가본 적이 없는 소녀매들린그녀가 앓고 있는 병은 세상 모든 것에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어서 완벽하게 무균 처리 된 집 안에서만 생활한다졸음운전으로 남편과 아들을 잃은 엄마가 자신을 잘 보살펴주는 덕분에 매들린은 그간 별 탈 없이 잘 살아올 수 있었다매들린마저 잃을 수 없었던 엄마는 매들린에게 온갖 정성을 다 쏟고매들린은 그 기대에 부합하는 삶을 살아왔다그런데 사람 일이라는 게인생이라는 게 마음대로 쉽게 결정되는 것은 아니지 않는가.

매들린이 열일곱 살 생일을 보내고 난 뒤 얼마 되지 않아오랫동안 비어 있던 옆집에 새로운 가족이 들어 살기 시작하고부터 그녀의 인생은 활기를 띄게 된다매력적인 소년 올리에게 푹 빠져버린 매들린은 그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게 되고희망을 갖게 된다희망을 갖는다는 것이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알기 때문에 희망조차 바라지 않았던 매들린은 자신에게 바깥세상을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게 해 준 올리를자유를그리고 평범한 삶을 원하게 된다자신을 큰 위험에 빠뜨릴 수도 있는 결정을 내리는 매들린과연 매들린은 그 결정을 내리면서도 자신을올리를자신이 사랑하는 사람들을 지켜낼 수 있을까?

[에브리씽 에브리씽]을 읽으면서 열일곱 살 소년과 소녀의 풋풋한 사랑을 키워나가는 모습을 나도 모르게 웃음 지으면서 보았던 것 같다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사랑을 지키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게 가장 위험하다고 말하면서 소년에게 뛰어갔던 소녀의 용기그리고 그런 소녀를 묵묵히 곁에서 지켜 준 소년의 따뜻한 마음이 읽는 나에게까지 전달돼 감동을 자아냈다.

책 속의 인물들은 모두 다 하나씩 결점을 갖고 있었다누군가에게는 건강이또 누군가에겐 가정사가또 누군가에겐 다른 무언가가그러한 결점이 보통 한 인물을 보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곤 하지만이상하게도 [에브리씽 에브리씽]에 나오는 인물들의 결점들은 오히려 그들을 더 실제로 존재하는 인물들처럼 보이도록 했다특히 이들이 갖고 있었던 육체적정신적인 고통들을 서로 보듬어 안는 모습들이 인상적이었다.

책을 덮고 나서 벌써부터 그리워지는 [에브리씽 에브리씽]. 매들린처럼 용기 있는 선택을 할 수 있는 내가 되었으면 한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