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다가 보이는 이발소 - 제155회 나오키상 수상작
오기와라 히로시 지음, 김난주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7년 5월
평점 :
품절
참 안타까운 사연을 갖고 있는 인물들이 등장하는 여러 개의 단편 소설들을 모아 놓은 [바다가 보이는 이발소]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책 중 하나인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을 쓴 히가시노 게이고가 강력 추천했다고 해서 관심을 갖고 읽어 보게 되었다. 처음에는 한 권의 소설인 줄 알았는데, 총 여섯 개의 단편이 수록된 단편 모음집이었다. 시대 배경도, 상황도, 등장인물도 모두 다 다르지만 이 여섯 개의 단편들이 말하는 것은 비슷했다. ‘가족의 소중함’, 또는 ‘가족’에 대해서 허심탄회하게 자신의 입장에서 설명하곤 했다.
음주운전을 하던 단 한 명의 몰지각한 행동으로 어여쁜 외동딸을 잃은 부부가 있었다. 딸이 살아 있다면 스무 살이 되었을 것이고, 그렇다면 입었을 기모노와 참석했을 성인식을 딸 대신 가자고 결심하는, 마흔을 훌쩍 넘긴 부부의 일상을 담은 [성인식]. [성인식]을 읽으면서 내리사랑에 대해서 절절히 느낄 수 있었다. 살아 있는 것이 하루하루가 고역이었을 두 사람이, 딸을 잊으려고 부단히 노력했지만 성인식 초대장 하나로 과거의 기억이 또다시 현재를 괴롭히게 된 그 때, 두 사람은 딸의 죽음을 마침내 받아들이게 된다. 딸 대신 참석하게 된 ‘성인식’을 통해서 말이다.
열등감과 자존심으로 무장한 엄마를 16년 만에 마주하게 된 딸은, 평생 마음속에 묵혀놨던 이야기를 꺼낸다. 립스틱 하나 제대로 바르지 못하고, 자신이 그렇게 사랑했던 미술 도구 하나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즐겨 마시던 홍차도 곰팡이가 피어 있는 것을 보면서 딸은 생각에 잠긴다. 그리고 그런 엄마가 치매에 걸렸다는 것을 알게 된다. 엄마에게서 독립하려고 온갖 애를 쓰면서 살아왔던 딸은, 과연 병까지 걸린 엄마와의 간극을 좁힐 수 있을까. 두 사람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써 낸 [언젠가 왔던 길].
한때는 유명인의 이발사로, 큰 이발소도 두 개나 갖고 있었다던 한 늙은 이발사는 바다 근처에 아무도 쓰지 않는 집을 개조해서 이발소를 하나 차린다. 그리고 그곳을 방문한 한 젊은 남자 손님. 이발사는 의도치 않은 살인으로 교도소에 들어가게 됐는데, 아내와 어린 아들에게 상처를 주고 싶지 않아 이별하고 연락하지 않는다. 이발사는 젊은 남자에게 자신의 인생에 있었던 이야기를 모두 다 해주는데, 손님은 이발사에게 자신이 그를 찾아온 이유를 밝힌다. 그가 곧 결혼한다는 것이다. 이발사의 마지막 말은 내 눈시울을 붉혔다.
“저, 얼굴을 다시 한 번 보여주실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앞머리가 깔끔하게 정리되었는지 신경이 쓰여서.”
[바다가 보이는 이발소]를 차리게 된 이발사가 하는 수 없이 이별해야 했던 어린 아들이었던 젊은 손님은, 거의 평생토록 만나지 못했던 아버지와, 또 아들과 어느 말을 나눠야 할지 고민하는 모습을 그려냈다.
그 밖에도 남편에게 화가 나서 친정으로 온 아내가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에서처럼 몇 십 년 앞 사람에게서 받게 된 편지와 그에 대한 이야기를 그려 낸 [멀리서 온 편지]와, 가정 학대와 부모의 결별 등으로 힘든 시간들을 보내고 있는 두 아이의 ‘바다를 찾는 모험’을 아이들의 순수한 시각으로 표현해 낸 [하늘은 오늘도 스카이], 아버지의 유품인 시계를 고치러 찾아간 시계포에서 시계 고치는 노인에게 있었던 마음 아픈 이야기들을 시계와 시간과 연관 지어 설명한 [때가 없는 시계].
하나같이 아픈 기억들을, 추억들을 간직하고 있는 사람들이 치유되는 과정들을 살펴보면서 [바다가 보이는 이발소]의 작가 오기와라 히로시의 책에 사람들이 왜 그렇게 열광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가족에 대한 아련한 기억을 어루만지는 기적”이라는 설명처럼, [바다가 보이는 이발소]를 통해서 뻔해도 언제나 감동적인 가족의 소중함을, 귀중함을 마음 속에 새기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