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1930 한국 명작소설 1 - 근대의 고독한 목소리 한국문학을 권하다
이인직 외 지음 / 애플북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소설특히나 이 책에 실린 명작들이 쓰인 연대의 작품들은 대부분 교과서나 문제집에서만 주로 접했지읽겠다고 마음먹은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오직 시험을 위해 문장들을 해부하고분석하는 과정 속에서 싫증을 많이 느꼈다정답은 없다고 하지만모범답안을 써 내기 위해서 달달 외우고 있는 내 자신에게도 화가 났고그 때문에 한국 문학 작품들과는 멀어지게 됐다하지만 [한국 명작소설 1]을 통해서 의식적으로 작품들과 친해지려는 노력을 하다 보니 전보다는 반감이 많이 줄어들게 된 것 같아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교과서에서만 보던 작품들을 이렇게 본다는 것 자체가 참 새로운 경험이었다특히나 1900-1930년대는 우리나라의 국권이 침탈된 시기였기 때문에 문학 작품 속에서도 그 시대적인 배경이 묻어나오는 게 많은 배움도 함께 주지 않았나 싶다이야기만 실린 것이 아니라 작가의 인생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서술해놓아 작가를 알게 되고 작품 속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어서 참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국권 회복에 앞장서서 펜을 들었던 위인들과나라를 일제에 넘기는 데 앞장섰던 사람들의 소설을 읽으면서 참 많은 생각이 들었다친일파 이인직이 쓴 [혈의 누]에는 일본을 찬양하고 제국주의에 협조해야 한다는 말을 내포하고 있었던 반면조명희는 일본과 조선 사이의 대립을 보여주면서 민족 해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의 [낙동강]을 쓰기도 했다.

국권을 다른 나라에 넘기기 위해서 애를 썼던 사람들은 나름대로의 민중을 깨우겠다는 계몽 의식을 갖고 책을 썼을 것이고국권 회복에 앞장섰던 사람들은 나라를 빼앗기면 안 된다는 의식을 민중들에게 심어주기 위해또 다른 계몽을 위해 펜을 들었을 것이라는 걸 깨달았다그들 덕분에 그 당시 사회의 모습을 알 수 있었고소설이 근대화되는 과정 속에 있었던 그 변하는 모습들을 보며 문학을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참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