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 독서법 - 마음과 생각을 함께 키우는 독서 교육
김소영 지음 / 다산에듀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집 1호는 책 읽기를 정말 좋아한다.

3학년 때는 책 읽기가 너무 좋아서 모든 학원을 그만두고 학교를 마치면 학교 도서관에 가서 마칠 때까지 책만 보고 오고 집에 와서도 책만 봤던 아이였다.

그래서 너는 그렇게 책을 좋아하니 나중에 작가가 되면 좋겠다고 직업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었다.

그랬더니 아이가 손사래를 치며 자기는 책 읽는 건 너무 좋지만 글 쓰는 건 정말 싫다고 했다.

글쓰기 실력을 늘려 보고 싶은 욕심에 논술학원도 보내보고 글쓰기 학원도 보내봤지만 아이는 아직도 글쓰기 자체를 싫어한다.

글씨도 날려 쓰기를 하며 글 쓰는 행위 자체를 싫어하는 것 같다.

내년이면 중학생이 되는 아이인데 아는 것에 비해 책 읽는 것에 비해 글쓰기는 너무 뒤처지니 엄마의 마음은 답답하기만 하다. .

이 문제를 도대체 어떻게 해결해야 정말 답답하기만 했다.

하지만 '말하기 독서법'을 읽고 내 문제는 너무나 간단하게 해결되었다.

첫 장부터 우리 집 1호의 이야기가 나온다.

아이가 읽기는 좋아하는데 쓰기는 너무 싫어해요.

이 한 줄만 읽고도 이 책을 집중해서 읽기에는 충분했다.

첫 단원에는 말하기가 독후감 쓰기보다 먼저인 이유에 대해 설명해 준다.

그리고 작가님께서 실제 수업을 진행하시면서 만났던 아이들의 사례를 소개해 주며 그런 문제의 해결 방법을 자세히 적어주셔서 갑갑했던 마음이 바로 해결이 되었다.

1편 책과 아이가 친해져요 에서 소개된 사례인 3학년 서진이

독후감 때문에 책 읽기가 싫어졌어요라고 하던 서진이를 보며 우리 집 1호가 떠올랐다.

서진이 엄마에게서 나의 모습을 보았고 결국 우리 집 1호를 책과 멀어지게 만드는 게 나였구나를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작가님께서 이야기해주시는 다양한 사례들에서 나의 모습을 봤고 우리 아이의 모습을 봤다.

이제 엄마는 준비가 되었으니 1호야 마음껏 이야기 하렴

지금까지 몰랐지만 이제라도 알게 되었으니 얼마나 다행인지.

우리 집 1호는 다행히 자기가 먼저 와서 대화를 걸어주었지만 아이가 먼저 대화를 걸어주기란 쉽지 않다.

그렇다면 엄마가 어떻게 아이와 대화를 하면 되는 건가? 걱정할 필요 없다.

책에서는 여러 사례들을 소개하며 동화, 동시, 그림책, 지식책을 읽고 어떤 말 하기를 하면 되는지에 대해 구체적이며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실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

책을 읽고 그냥 말하기보다 엄마와 아이가 어떻게 대화를 나누느냐에 따라 그것을 글쓰기나 잘 말하기라는 결말로 연결할 수가 있으니까.

말하기를 글쓰기로 연결하는 방법과 유형별 독서지도법은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다.

부끄럽지만 그동안 나는 너무 아이의 교육에 무지했던 것 같다.

엄마가 끊임없이 배우고 노력해야 아이가 힘들지 않다는 걸 다시 한번 깨닫게 된 고마운 책

앞으로 작가님께서 알려주신 방법으로 열심히 아이와 대화를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