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안주 미야베 월드 2막
미야베 미유키 지음, 김소연 옮김 / 북스피어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흑백이 얇아서 두꺼운 안주를 먼저 읽었는데 후회되요 흑백을 먼저 읽었어야 했다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주 미야베 월드 2막
미야베 미유키 지음, 김소연 옮김 / 북스피어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안주’는 황당하고 비현실적인 괴담이 주제이지만 섬세한 묘사와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서사의 진행, 암시와 복선이 깔려있는 대화를 통해 독자를 끌어들이는 작가의 역량을 높이 평가할 만한 작품이다. 읽는 내내 작가의 특별함과 사랑 받는 이유를 절실하게 느낄 수 있었다.

추리물에서 괴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 작가는 그들 민족성의 근저에 흐르는 애니미즘과 인류 보편의 휴머니즘을 이토록 아름답고 아련하게 그리고 흐뭇하게 자아내는 것은 일본작가지만 존경할 만하다고 생각 한다.

장르와 순수의 구분은 무의미하다고 하지만 둘의 차이는 한 번 더 읽을 수 있느냐의 여부에 달렸다고 생각한다. 식스센스급의 기막힌 반전이 있고 스릴이 있어 눈을 뗄 수 없었던 소설도 다시 읽기는 쉽지 않다. 이런 작품들은 다시 페이지를 넘기면 김도 빠지고 감동이 옅어진다.

그런데 몇 번이고 다시 읽어도 새로운 맛을 느낄 수 있는 작품들이 분명히 있다. 개인의 차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고전 또는 명작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들이다. 물론 ‘안주’가 그런 반열의 문학이라고까지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적어도 모방범, 화차 등의 전작과는 차원이 다르다고 생각한다.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등장 인물간의 심리를 섬세하고 밀도 있게 묘사하고, 그들의 전통에 대한 해박한 묘사는 몇 번이고 안주를 다시 읽게 만드는 힘을 지녔다고 생각한다. 이를 읽으며 덧붙이기를 우리의 문학에도 이러한 작가들이 많이 등장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분명히 있을 것이다. 나의 독서가 그토록 넓고 깊지 않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농농할멈과 나
Mizuki Shigeru 지음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인지상정이라는 말이 있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정서라는 말일게다. 이 책을 읽으면서 바로 그런 점을 생각해본다.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 가까운 일본이라서 더 그렇겠지만 책을 읽는 내내 그다지 많은 이질감은 느끼지 못했다. 그렇다고 일본에 대한 감정이 없다는 것이 아니다. 그나라나 우리나라나 감성은 비슷비슷하다는 말이다. 

이 책의 내용은 도깨비나 요괴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자란 세대가 특히 많이 공감할 것이다. 어렵던 시절 할머니 품안에서 듣던 구미호이야기 물귀신이야기 혀를 빼물고 다닌다는 처녀귀신 몽달귀신 등 많은 것을 떠올리게 하는 작품이다. 

주인공 게게와 농농할멈 사이에 흐르는 정과 따뜻한 마음은 한국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다. 게다가 여기는 작가의 성장과정이 잘 녹아 있다. 그리고 그의 여성(?)편력도 어린시절 홍역으로 잃은 여자친구, 폐병으로 요양온 도시 누나, 그리고 미와 세가지 에피소드에 담담하게 흐르는 정서는 황순원의 소나기를 읽어본 사람들은 다들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성격묘사가 참으로 잘되 있는 점도 이작품의 뛰어난 부분이다. 게게와 농농할멈을 차지하고라도 풍류를 좋아하는 아버지, 들켜 버린 연애편지때문에 목을 메려는 형, 동생, 어머니 모두 자연스럽고 생동감있게 그려진다. 오랜 내공을 가지고 있는 작가의 역량이다. 이점에서 우리나라 만화가들이 배워야 하지 않을까. 

그림체 역시 예전 우리나라의 만화작품과 비슷하다는 점 물론 우리나라에서 많이 참고(?)하였을 그림풍이다.  읽고난 감상을 주섬주섬 늘어놨지만 읽어보면 볼수록 빠져들게 한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애틋함과 아련한 기억들이 녹아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야식당 1 심야식당
아베 야로 지음 / 미우(대원씨아이)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심야식당이라니 영업은 밤 12시에 시작한단다 그리고 아침 7시에 끝나고 특별한 메뉴도 없고 주인장이 있는 재료로 원하는 걸 만들어 준다. 그것도 값비싼 고급 재료가 아니라 특별하달 것 없는 비엔나 소세지에 인스턴트 카레, 달걀 샌드위치 등이다.

그래서 이 식당은 아는 사람만 오는 곳이다.  밤새 1,2,3차로 달리다 쓰린 속을 풀려는 셀러리맨이나 마작같은 도박에 져서 찌뿌린 얼굴로 공기밥 한 그릇에 된장국을 깨작거리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한량보다는 주로 밤을 낮처럼 보내야하는 사람들이 모여드는 곳이다. 어쩌면 허름한 이들의 일상을 옅보는 것이 왕후장상의 화련한 삶보다 더 마음을 반짝이게 하는 지도 모른다. 얼핏 보기에 촌스러운 듯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상당히 독특하고 세련된 그림체이다.

맛의 달인이나 미스터 초밥왕과 같은 부류와는 다른 그윽한 향취가 전해지는 만화이다. 수필같이 가볍게 다가오지만 남겨지는 느낌의 여운은 참으로 깊다. 이 만화는 다른 요리 만화와는 달리 핀트가 요리에 맞춰져 있지 않고 요리를 먹는 사람에게 맞춰있다.   

한가지 덧붙이면 번역의 오류를 이야기 하고 싶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뎅이라는 것은 어묵을 지칭한다. 그러나 일본의 오뎅은 어묵을 포함하는 상위개념이다. 다시말하면 어묵과 오뎅이 정확하게 같은 의미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럴땐 오뎅이라고 해야 맞을 듯 싶다. 카레라이스를 카레라이스라고 하는것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의자 문학과지성 시인선 313
이정록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누구의 의자였을까 하는 물음을 하게하고 오랫동안 부끄러운 마음을 이기지 못하게 하는 시다. 그저 나이만 먹는다고 이러한 깨달음의 경지에 서지 못함을 잘 알고 있다. 안도현시인이 말하듯이 연탄재 함부로 차지 말아야함을 다시금 돼새겨 보게 한다. 나도 모르게 나를 의자로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음을 깨닳았다. 나를 의자로 여기는 사람들의 지친 기운을 북돋고 갈증을 해소할 수 있는 바른 의자가 되도록 노력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