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책 어디에 밑줄을 긋는가 - 고수들의 미니멀 독서법
도이 에이지 지음, 이자영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부터 흥미가 가는 책을 읽어보았다. 보통 서점에서 내용은 한번 보고 구매를 결정하는 편인데 이 책은 제목 때문인지 읽어보고 싶어졌다. 사람들마다 독서법이 다양하고 정답은 없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각자가 생각하는 독서법이 있을 텐데 나는 책에 밑줄도 치고 표시도 하고 글도 쓰고 막 보는 편이라 그들은 어디에 긋는지 더 궁금해졌는지도 모르겠다.
-
책에 들어가면 이런 말이 나온다
" 정보화 시대에는 정보 비평가나 해설가가 있어야 한다"라는 말인데 이 말이 저자가 자신이 하는 일을 응축한 말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책의 성격이 대략적으로 나오는데 문학이나 취미같이 재미를 위한 독서보다는 경제 경영서를 읽고 자신을 어떻게 변화시킬지를 원하는 사람이 읽으면 좋은 책이다. 저자분은 2만 권의 책을 읽고 책을 썼는데 다독에 관한 책을 읽으면 나오는 말들이 나오기도 하지만 뻔한 다독에 관한 책으로 치부하기엔 생각해볼 말들이 많이 나왔다.
-
저자에게 독서는 재미로 하는 게 아니고 가치이다. 책도 자신이 변화하기 위해서 채우기 위해서 읽는 것이므로 목적을 중요시한다. 왜 읽는지 읽고 어떻게 할 건지를 생각하는 것이다.
나름 200페이지 얇은 책인데 생각해보면 구성도 잘되어 있고 진정한 비즈니스맨이 되기 위한 책 고르는 법과 읽는 법이 소개되어 있어 회사원 친구에게 선물해줘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몇 가지 인상 깊었던 내용을 소개한다.
-
p.29 결과가 아니라 원인에 밑줄을 그어라. 이 부분이 책의 베스트다. 책에 그들이 어디에 밑줄 긋는지에 관한 내용이 많이 나오지 않는데 그들은 원인에 그었던 것이다. 평소 경제 경영서를 읽으면 결과에 밑줄을 긋고 성공담을 흥미 있게 읽었다. 왜 성공했는지 어떤 노력을 한 것인지, 다른 종목이라면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이런 걸 생각해 보고 노력해야 하는데 부족했다. 그리고 주로 좋아하는 저자나 익숙한 책을 많이 읽었는데 저자는 익숙한 문장에 밑줄을 긋지 말고 왠지 불편하고 낯선 문장에 밑줄을 그어라고 말하는데 맞는 말이다. 제4장의 제목이 아예 결과를 보지 말고 원인을 보자이고 그 원인을 찾을 때 센터핀 개념을 소개한다. 센터핀은 볼링 핀 10개 중 제일 앞 1번을 말하는데 볼링에서도 센터핀을 맞춰야 스트라이크가 나온다는 것으로 핵심 원인을 찾으라는 말로 나온다. 서점(소매업)의 센터핀은 구비 상품이라고 한다. 내가 서점을 할 때 어떻게 하면 구비 상품을 매력적으로 보이게 할지도 생각해보았다.
​-​
제3장 전체를 보지 말고 부분을 보자 자기계발서를 보면 작은 목표를 세우고 성취하면서 더 큰 목표로 나아가는 게 나오는데 비슷한 원리라고 생각된다. 책을 볼 때가 업무상에 있어서도 분야를 나누어 공부해서 장점을 키우고 약점을 없애는 방법을 소개하는데 분야가 세세하고 각 분야의 추천 책까지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마케팅만 관심 있어서 조금 읽고 나머지 회계나 재무는 관심도 없고 포기 상탠데 난 프로비지니스맨은 글렀구나 싶다.
-
부록으로 저자가 그는 44개의 밑줄과 책을 소개하는데 이런데 밑줄을 치는구나 싶었다. 책 전반에 소개하는 책들은 번역 안된 책이 많았지만 읽어보고 싶은 책이 많았다.
그럼 내가 친 이 책의 한 줄!
P17. 나는 서평을 쓸 때 내가 이 책을 통해 무엇을 얻었는가를 설명한다. 책의 내용이 아니라 나의 변화에 대해서 쓴다. 지금의 나는 부족한 부분이 있고, 그 부분을 채우기 위해서 독서를 하기 때문이다.
-
처음에는 그저 그런 자기계발서라고 생각했는데 내용도 좋고 저자의 배움에 대한 자세도 배울게 많았다. 책을 읽고 혹평하면서 자기 지식을 자랑하거나 속았다고 서평 쓰는 사람들은 왜 속았는지 그 부분에 어떤 걸 배워야 할지 생각해보라는 말이 나오는데 그 부분이 뜨끔하기도 하고 반성하게 된다. 내가 이 책에서 얻었고 변화해야 할 부분이다.  책을 좋아하거나 회사원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