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전문은행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무점포 은행
2. ATM 기기, 인터넷 카페와 같은 간편 업무를 볼 수 있는 지점, 디지털 키오스크의 점포 역할 수행
3. 오프라인의 비용을 절감하여 예금 및 대출금리에 우대금리 적용
4. 시공간에 제약이 없는 편리한 서비스 제공
5. 빅데이터를 분석한 고객별 맞춤 서비스 제공
고객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은 낮은 수수료와 중금리 대출이라고 한다. IT 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3 세대 인터넷 전문은행은 고객 데이터와 금융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여 제휴한다. 서로의 장점을 특화하여 극대화하는 것이다. 국내의 인터넷 전문은행은 카카오 컨소시엄(카카오 뱅크)에 참여 중인 KB국민은행, 한국투자금융, 넷마블, SGI서울 보증, 우체국, 이베이, 예스 24이다. 컨소시엄은 카카오톡의 엄청난 고객, 우체국의 물류망, 지마켓, 옥션 고객의 빅데이터 분석, 서울보증의 신용정보, 김기사 내비게이션을 통한 행동 분석 등을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한다.
고객은 카카오의 금융 봇과 친구와 채팅하듯이 편안하게 대화를 할 수 있다. AI는 자동으로 언제든지 대답을 할 수 있으며 마치 개인비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금융 서비스를 게임하듯이 이용할 수 있으며, 카카오톡으로 언제든지 편안하게 대출을 받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왜 인터넷 전문은행일까? 인터넷뱅킹은 구시대의 산물이다. 인터넷은 현재 모바일로 대체 중이다. 96년도에 탄생한 인터넷 뱅킹이 처음에 성공적으로 정찰할 수 있었던 이유는 수수료의 혁신이었다. 현재까지는 예금잔액조회, 거래명세 조회, 자금이체 정도로 국한되고 있지만, 누구나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폰으로 24시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 모바일의 성장은 예측 불가능할 정도로 기하급수적으로 팽창하고 있으며, 저성장 트렌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은 모바일이라는 것, 핀테크의 중심에는 모바일이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