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우연들 (리커버 에디션)
김초엽 지음 / 열림원 / 2022년 9월
평점 :
품절


김초엽 작가의 에세이라니! 읽지 않을 수가 없었다. 

처음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으로 알게 되었는데, SF 장르를 읽지 않던 내가 그 책을 시작으로 김초엽 작가의 책은 거의 다 읽어 본 것 같다. 작가에게 그토록 끌렸던 이유는 아마도 이전과 다른 새로운 소재와 이야기를 풀어 가는 방식이 아니었을까. 과학을 전공한 사람이라 SF를 잘 쓰는 건가 그냥 막연히 생각만 했었는데, 제목도 '책과 우연들' 이라는 에세이라니. 

책을 쓰는 사람이 만난 책 얘기인가... 로 시작했지만 책을 쓰게 된 과정, 소재를 찾아가는 방식 자료를 찾는 방식, 글을 쓰는 방식까지 김초엽 작가의 다양한 모습을 보게 되었다. 


식물에 관한 이야기를 쓰겠다고 '인간 없는 세상에서, 무엇이 가장 번성할까' 란 생각을 시작으로 자료를 찾고 사고를 확정하는 과정. 그렇게 태어난 책 <지구 끝의 온실>.

<사이보그가 되다> 라는 작품의 협업 과정도 이 책에서 볼 수 있는데, 작가가 글을 어떻게 쓰고 어떤 과정의 퇴고를 하고 고민하는지 책속에서 작가의 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이밖에 내가 읽었던 여러 소설들을 쓰게 된 이야기도 있어서 더 가깝게 느껴 지기도 했다.


학생 때 글을 쓰게 된 계기가 대회에 입상할 때 주는 상품에 관심이 많아서였다는 얘기도 재미 있었고, 중간에 작법서에 대한 내용은 흥미로웠다. 작가들이 글 쓰는 수업도 받고 합평도 하면서 글 쓰는 법을 배우는 건 알았지만 이런 작법서들이 있고 어떤 부분은 참고하기도 한다는 건 처음 알게 되었다. 작가들도 이론 적인 부분을 공부하는지 잘 몰랐는데, 또 다른 세계를 엿본 것 같은 기분이다. 


김초엽 작가는 '배우고 탐험하는 일, 무언가를 넓게 또는 깊이 알아가는 일, 세계를 확장하는 일, 그 모든 것이 나에게는 쓰기에 여정에 포함된다.' 라고 책에서 말한다. 작가의 책 읽기의 과정을 보면서 작가는 어떤 시선으로 어떤 필요에 의해 책을 읽는지 조금은 이해가 되는 것 같다. 픽션보다 논픽션을 많이 읽는 작가. 필요해서 찾아보는게 아니라, 많이 읽고 그 안에서 나만의 이야기를 찾는다는 작가의 말이 기억에 남는다 


P.234 어떤 책들이 우리를 생각지도 못했던 낯선 세계로 이끈다면, 책방은 그 우연한 마주침을 가능하게 하는 통로다. 좀더 많은 책이 그렇게 우연히 우리에게 도달하면 좋겠다.


우연한 책들 과의 만남을 기다리는 작가의 마음이 작가의 새로운 책을 기다리는 나의 마음과도 같다. 시간이 지나고 또 어떤 소재를 가지고 새로운 이야기를 써줄지 기대가 된다. 


이 책을 읽는 중 김초엽 작가의 신간소식을 들었다. 이번에는 또 어떤 이야기로 나에게 다가올까?

이제는 글쓰기가 작가 안에 있는 것을 소진하는 과정이라기 보다는 바깥의 재료를 가져와 배합하고 쌓아 올리는 요리나 건축에 가깝게 느껴진다. 배우고 탐혐하는 일, 무언가를 넓게 또는 깊이 알아가는 일, 세계를 확장하는 일. 그 모든 것이 나에게는 글쓰기의 여정에 포함된다. - P42

그런 책을 읽을 때마다 나는 우리 각자의 앎이 결코 동떨어져 있지 않다는 사실을, 누구도 오직 홀로만 탁월할 수 없다는 사실을 생각한다. 그리고 그것이 얼마나 우리에게 다행한 일인지를 생각한다. - P115

어쩌면 내가 잘 알지 못하는 재미있는 세계가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으로 마음을 아주 약간 열어놓는것 그것은 소설가로 살아가고 싶은 나에게 무엇보다 필요한 태도였다. 좋아하는 세계를 자꾸 의식적으로 넓혀나가지 않으면, 소설도 내가 편애하는 자그만 세계에 갇히고 말 테니까. - P232

이제는 조금 알 것 같다. 나에게는 떠날 곳과 돌아올 곳이 둘다 필요하다는 것을. - P2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