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신세계 메타버스를 선점하라 - 앞으로 인류가 살아갈 가상 세계를 위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
자오궈둥.이환환.쉬위엔중 지음, 정주은 옮김, 김정이 감수 / 미디어숲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지털 신세계 메타버스를 선점하라
자오궈둥, 이환환, 쉬위엔중 지음
정주은 옮김
미디어숲

메타버스가 무엇인지는 몰라도 메타버스라는 단어는 많이 듣게 됩니다. 메타버스와 관련된 책들도 꽤 많이 나와있습니다. 이 책은 지은이를 보면 알겠지만, 메타버스 관련 내용을 중국인이 쓴 것입니다.

중국 사람이 썼다는 이유만으로 책이 좋다 나쁘다를 섣부르게 이야기해서는 안되겠죠. 그렇다고, 무시해서도 안될 겁니다.

중국을 좋아하든, 싫어하든 현재를 이야기할 때에도, 미래를 이야기할 때에도 중국이 중요한 한 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니까요.

그러면 메타버스가 무엇일까요?

대략적인 느낌은 알겠는데, 정확한 정의는 쉽지 않습니다.

메타버스라는 용어는 닐 스티븐슨이 1992년에 쓴 SF소설 스노우 크래쉬에서 처음 나왔습니다. 스틴븐슨이 그린 메타버스가 기본이 되죠.

하지만, 현실에서 사용하는 메타버스 정의가 스노우 크래쉬의 메타버스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메타버스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지만,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레디 플레이어 원(Ready Player One, 2018)에 나오는 오아시스가 메타버스를 가장 잘 보여준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혹자는 숀 레비 감독의 프리 가이(Free Guy, 2021)의 프리 시티가 메타버스를 가장 잘 보여준다고 하기도 합니다.

스노우 크래쉬의 메타버스, 레디 플레이어 원의 오아시스, 프리 가이의 프리 시티. 모두 메타버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비슷하면서도 약간씩 다른데, 그들 중 어느 하나만 메타버스라고 할 수는 없죠.

사실 사람마다 메타버스가 무엇인지 생각하는게 조금씩 다르고, 통일된 정의도 아직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정의라는 것 자체가 아직은 없습니다.

메타버스가 중요해질 거라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 하지만, 메타버스가 실제로 어떻게 만들어져 갈지도 아직은 잘 알 수 없습니다.

디지털 신세계라고 할 수 있는 메타버스는 가능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시작이고, 진행 중이죠.

그렇기 때문에 메타버스에 대해 단정적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메타버스 관련 여러나라 사람들이 쓴 다양한 서적들을 읽어보는 것이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됩니다.

이 책은 그 중 하나입니다. 메타버스가 무엇인지 알 것 같으면서도, 책을 보면서 오히려 어렵다는 느낌도 드네요.

책이 어렵게 씌여져 있다는 뜻은 아니고, 거대한 바닷속을 헤메는 느낌이랄까요?

너무도 많은 것이 가능해서 그러겠죠.

그런데, 책에서 정부 중심의 중앙화된 관리, 구글의 기업 모토 'Don't be evil' 그리고, 탈중앙화를 언급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내용 자체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강력하게 공산당이 통제하는 중국의 사람들이 그런 이야기를 하니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들기는 합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디지털신세계메타버스를선점하라 #자오궈둥 #이환환 #쉬위엔중 #정주은 #미디어숲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