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살로 읽는 세계사 - 중세 유럽의 의문사부터 김정남 암살 사건까지, 은밀하고 잔혹한 역사의 뒷골목 현대지성 테마 세계사 5
엘리너 허먼 지음, 솝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살로 읽는 세계사
엘리너 허먼 지음
솝희 옮김
현대지성

역사와 관련된 책들이 많아지면서 뻔하지 않은 독특한 주제의 책들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책은 독과 독살이라는 주제로 유럽의 역사를 주로 다루고 있죠. 마지막 부분의 김정남 사건만 제외하면 전부 유럽의 역사입니다.

독살은 자연사와 구분하기 힘들고, 독살이라는 것이 밝혀져도 범인이 누군지 찾기도 어렵기 때문에 본인은 우아한 척하면서 정적을 제거하는데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독살인지 자연사인지 모르기에 독살이 많았지만, 오히려 오랜 시간이 흐른 먼훗날에는 약간의 샘플로 독살인지 알아낼 수 있다는게 아이러니합니다. 비록 범인이 누구인지까지는 밝혀낼 수 없지만.

책은 독살로 의심되는 사례를 설명하고, 당시 부검결과, 그리고 현대의 부검결과를 비교하며 사실에 접근해갑니다. 당시에 그렇게 부검이 광범위하게 일어났는지는 처음 알았습니다. 시신을 훼손해서는 안되고, 높은 지위에 있으면 더욱 금기되어 있었던 우리나라와는 달리 오래 전부터 시신을 해부하는 일이 자연스러웠고, 특히 왕이나 왕족의 경우 여러 명이 참관하고, 그 결과를 자세히 남겼던 유럽. 서양의 의학이 발전했던 이유기도 할 것 같습니다.

그래야 했던 이유가 독살에 대한 의심과 그 의심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두려움이라는 어두운 이유이긴 하지만요.

그리고, 사람을 샬리는 의사가 당시에는 잘못된 지식과 처방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죽였을까라는 생각도 듭니다.

책에서도 의사가 처방한 약을 거부하고, 대놓고 의사들이 많은 사람들을 죽인다고 말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 당시 그 사실을 꿰툻어 보았다니 보통 사람이 아니긴 했던 것 같습니다.

끊임없는 독살에 대한 의혹. 하지만, 책에 열거된 사례들 중에는 독살보다 비소나 다른 중금속 같이 유해물질인 줄 모르고 남용한 독성물질에 의한 중독이나 불결한 환경으로 병을 얻어서 사망한 사례가 많습니다.

그리고, 각종 화학 물질과 방사선 물질, 플라스틱과 중금속에 노출된 현대인들. 중세 유럽인들의 무지가 어리석어 보이다가도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미래에서 지금을 돌아보면 각종 유해물질을 거리낌없이 사용하는 현재 인류가 어리석어 보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독살로읽는세계사 #엘리너허먼 #솝희 #현대지성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