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시대 일자리의 미래 - 세계 1위 미래학자가 내다본 로봇과 일자리 전쟁
제이슨 솅커 지음, 유수진 옮김 / 미디어숲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봇시대 일자리의 미래
제이슨 솅커 지음
유수진 옮김
미디어숲

로봇과 인공지능이 가져올 미래에 대해 많은 사람들은 무조건 낙관적인 로보토피아나 인류의 종말로 이어지는 로보칼립스적인 전망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래를 다루는 영화나 소설들 중에는 로보칼립스적 세계관을 갖는 경우가 많죠. 보다 자극적이니까요.

로보칼립스 vs 로보토피아

저자가 예상하는 미래는 로보칼립스나 로보토피아 같은 극단적 형태가 아닌, 로보칼립스적인 부분도 지니고 있고 로보토피아적아 부분도 지니고 있는 그 중간 어디쯤으로 훨씬 현실적인 전망이라고 할 수 있죠.

저자는 로봇이 인류에게 가져올 변화가 크기는 하지만, 산업혁명이 가져왔던 충격을 넘어서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대장장이를 의미하는 스미스(Smith)라는 성을 가진 사람들 중 누구도 지금은 대장장이가 아니라는 말을 반복하며 산업혁명이 가져온 일자리의 변화를 이야기합니다.

산업혁명은 인류가 겪은 최초의 커다란 변화였고, 아무도 예상치 못했던 충격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로봇과 인공지능으로 인해 사라지게 되는 직업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그 방향을 예상하고 있기에 산업혁명만큼 큰 충격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거라는 것이죠.

산업혁명으로 많은 직업이 사라졌지만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면서 혼란을 딛고 발전해 왔듯이 로봇시대에 사라지는 직업은 많겠지만 새로운 직업이 생기며 이를 보완하고 혼란의 시기는 산업혁명 때보다 짧을 거라고 저자는 전망을 합니다.

그동안 읽었던 많은 글들이 산업혁명의 충격이 별거 아니라 여길만큼 인공지능으로 인한 변화가 클거라고 전망하는 거에 비하면 다소 심심한 전망이죠.

다만, 로보칼립스로 가지 않을 거라는 전망에는 인류의 올바른 대응이라는 전제가 깔려있기도 합니다.

이전 책에서도 보편적 기본소득(Universal Basic Income)의 위험에 대해 언급했었던 저자는 이 책에서도 로봇이 일자리를 차지하면서 로봇이 번 돈을 사람들에게 나눠주는 보편적 기본소득에 대한 주장이 대두하는 것을 우려합니다.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된 보편적 기본소득에 대한 논쟁은 위험이 될 수도 있다고 보죠.

저자가 생각하는 대안은 교육입니다. 세상이 변할수록 그 변화를 이겨내기 위해서 필요하기에. 어쩌면 뻔할 수도 있지만 끊임없이 배워야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에는 같은 의견입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로봇시대일자리의 미래 #제이슨솅커 #유수진 #미디어숲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