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라차차! 조선을 떠받친 작은 거인들 - 장애를 극복한 조선 시대 인물 이야기 지구의아침 역사 1
정창권 지음, 우연이 그림 / 지구의아침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갖고 있는 장애에 대한 편견!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차별을 받는 일이 많은 모습들이 부끄럽게 느껴지는 책을 읽어 보았어요 누구든 언제든지 장애를 입을 수 있기에 선입견을 두는것은 옳지 않지요

조선시대에는 장애인으로써 삶이 어떨까요? 장애를 극복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을 읽어보았습니다 장애의 유무보다 그 사람의 능력을 더욱 중요시 했기에 장애는 문제가 되지 않았다는 그시대 인물들을 만나보아요 안질을 알았던 세종은 안질로 간혹 눈이 침침하거나 흐릿하여 앞이 잘 보이지 않았지만 본인의 불편함 보다 백성들이 먼저기에 책을 놓지 않았어요

세종은 오늘의 시각장애2급임에도 훈민정음 창제와 서책을 편찬하여 무리하여 시력을 많이 잃었다고해요 백성들의 글 읽는 소리만으로도 흐뭇해했던 세종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알 수 있어요

어머니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자신의 왼쪽 허벅지살을 베어 낸 뒤 한쪽다리를 절게한 조선의 장수 황대중은 한쪽다리마저도 나라를 지키기위해 싸웠어요 한산대첩에서 오른쪽 다리마저 적의 총탄에 맞아 양쪽 다리를 모두 절게하게 되지요

두다리가 불편했던 황대중의 효심과 충성심에 장애인이기에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는 편견을 깨주었어요 장애가 있음에도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받친 황대중의 활약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조선시대 장애를 극복한 12명의 인물이야기는 신분과 장애를 구애받지 않고 꿋꿋이 자기의 할일을 잘 해냈어요 이야기는 쉽고 재밌게 이어지고 그림이 함께 보는 재미를 더합니다 본문의 어려운단어는 한번 더 뜻을 확인 할 수 있어 이야기의 이해를 도와요 조선시대 그들이 활약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차별화하지 않고 사회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지요 책을 통하여 장애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더 노력하는 모습을 본받아야할꺼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