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처구니 이야기 - 2005년 제11회 황금도깨비상 수상작 비룡소 창작그림책 28
박연철 글.그림 / 비룡소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어처구니가 맷돌 손잡이를 가리키는 말인 줄로만 알고 있었어요.

맷돌을 돌리려 보니 손잡이가 없으니 얼마나 어처구니가 없겠어..라고 생각하며 당황하거나 어이가 없을 때 '어처구니가 없다'라는 말이 참 잘 어울리는 말이다라고 생각하고 있었지요.

이번에 비료룡소에서 나온 어처구니 이야기를 읽으면서 어처구니에 관한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네요.

"아..그렇구나.." 이러면서 고개를 끄덕끄덕..

책을 읽고 나면 "손 없는 날..", "어처구니 없다" 등의 우리 말 뜻을 정확하게 알 수 있어요.

저처럼 고개가 끄덕여지실 거예요.

 

말썽꾸러기 '어처구니'들이 하늘나라 임금님에게 소환되지요.

대신 못되 귀신 '손'을 잡아 오면 풀어준다고 하였어요.

어처구니들은 힘을 모아 손을 잡기로 하였는데..

그만 꾀쟁이 손행자때문에 손을 놓쳐요.

그래서 하늘나라 임금님은 어처구니들을 잡아 궁궐 추녀에 올려 손으로부터 궁권을 지키게 했대요!

그래서 새로 알게 된 어처구니의 사전적 의미는 우리 한옥의 용마루끝과 처마끝에 마무리하는 십장생의 동물형상이라고 하네요.

책 속에 나오는 어처구니들의 각 성격이랑 이름이랑 잘 맞아 떨어지고 그림도 참 독특하네요.

배경으로 우리나라 전통 문양도 활용되어 고전적인 느낌이 강해요.

말썽꾸러기 어처구니들이 떡하니 추녀에 붙어 있는 모습을 보니 웃음도 나오고요.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 삼천갑자 동방삭 - 세상에서 가장 긴 이름 비룡소 전래동화 23
소중애 글, 이승현 그림 / 비룡소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 삼천갑자 동방삭~

우리 딸에게 물어보니 처음 들어본다고 하네요.

어른들은 다 아실 거예요.

예전에 TV 개그 프로그램에서 재미있는 톤으로 이 이름을 부르며 개그를 보여주신 분도 생각나구요.

귀하게 얻은 자식이 오래오래 살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아 지은 긴 이름이라죠.

비룡소에서 옛이야기 그림책으로 나온 것을 보게 되어 감회가 새롭네요.

 

자식이 없어 고민하던 사람이 아들을 얻어 무병장수하라는 기원에서 이 이름을 붙여줍니다.

사람들이 간편하게 "김수한무"라고 부르면 제대로 이름을 부르라고 호통도 치지요.

그러던 어느날 아이가 물에 빠지게 되고, 이 긴 이름을 부르다 보니 시간도 너무 지체되어 아버지는 긴 이름이 능사는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제가 원래 알고 있던 이야기는 아이가 죽는다는 것이었는데요.

비룡소에서 나온 책은 아이들 동화답게 아이를 살리는 행복한 결말이었어요.

자식이 건강하게 무탈하게 오래 오래 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 이름이었지만 자칫하면 긴 이름떄문에 아이를 잃을 뻔 하기도 했어요!

너무 과한 욕심과 애정은 도리어 해가 될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 개그 프로그램에서 나왔던 운율대로 아이에게 알려줬더니 재미있어 하면서 ‘김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 삼천갑자 동방삭’ 하고 따라 하네요. 절대 잊지 않을 이름이 될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포그래픽 학습 백과 4 : 인체 인포그래픽 학습 백과 4
존 리처드.에드 심킨스 지음, 이한음 옮김 / 길벗스쿨 / 2013년 6월
평점 :
절판


우리가 어떤 자료를 보거나 블로그 글, 신문 기사들을 볼 때 방대한 양의 활자보다 선호하는 것은 한장의 사진입니다.

글보다는 그림!

우리의 시선을 사로잡으면서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 바로 그림이지요.

길벗스쿨에서 인포그래픽 학습 백과가 나왔어요.

인포그래픽은 아시다 시피 인포메이션과 그래픽의 합성어라서, 정보를 답은 그림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복잡한 내용을 간단명료한 그림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강렬한 시각 자극을 통해 정보를 빨리 이해시키고 또 오래 기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예전엔 집마다 백과사전을 구비하곤 했는데요.

요즘은 무엇이든 인터넷 검색을 하지요.

아이가 학교 숙제를 하다가도 모르는 것을 물어 오면 "인터넷 찾아봐"할 정도니까요.

그래도 책장에 이 책이 꽂혀 있다면 바로바로 빼내어 궁금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좋을 것 같아요.

검색을 하더라도 원하는 정보를 찾으려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반면에, 인포그래픽 학습 백과만 있으면 찾아보기(목차)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금새 찾아갈 수 있거든요.

 

 

 

그림으로 배우니 복잡한 설명도 긴 말도 필요없습니다.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어요.

또 그림으로 기억하기 때문에 선명한 이미지로 기억하여 기억이 오래 답니다.

재미있는 그림이라 아이들도 거부감없이 정보의 바다에 풍덩!

또 다양한 그림에서 정보를 분석해내는 능력이 길러지기 때문에 수학에서 나오는 표와 그래프와 같은 단원은 거저 먹고 들어갑니다. ^^

(우주, 지구, 생물, 인체, 사회, 기계·탈것) 초등학생들이 궁금해 한다는 6가지 주제를 선정했다고 하는데, 우리집은 아이들이 제일 관심있어 하는 인체와 사회를 먼저 구입해서 읽어보고 있어요.

아이들이 당장 다른 책도 사달라고 할 정도로 반응이 뜨겁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포그래픽 학습 백과 5 : 사회 인포그래픽 학습 백과 5
존 리처드.에드 심킨스 지음, 이한음 옮김 / 길벗스쿨 / 2013년 6월
평점 :
절판


우리가 어떤 자료를 보거나 블로그 글, 신문 기사들을 볼 때 방대한 양의 활자보다 선호하는 것은 한장의 사진입니다.

글보다는 그림!

우리의 시선을 사로잡으면서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 바로 그림이지요.

길벗스쿨에서 인포그래픽 학습 백과가 나왔어요.

인포그래픽은 아시다 시피 인포메이션과 그래픽의 합성어라서, 정보를 답은 그림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복잡한 내용을 간단명료한 그림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강렬한 시각 자극을 통해 정보를 빨리 이해시키고 또 오래 기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예전엔 집마다 백과사전을 구비하곤 했는데요.

요즘은 무엇이든 인터넷 검색을 하지요.

아이가 학교 숙제를 하다가도 모르는 것을 물어 오면 "인터넷 찾아봐"할 정도니까요.

그래도 책장에 이 책이 꽂혀 있다면 바로바로 빼내어 궁금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좋을 것 같아요.

검색을 하더라도 원하는 정보를 찾으려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반면에, 인포그래픽 학습 백과만 있으면 찾아보기(목차)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금새 찾아갈 수 있거든요.

 

 

 

 

 
 

  

그림으로 배우니 복잡한 설명도 긴 말도 필요없습니다.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어요.

또 그림으로 기억하기 때문에 선명한 이미지로 기억하여 기억이 오래 답니다.

재미있는 그림이라 아이들도 거부감없이 정보의 바다에 풍덩!

또 다양한 그림에서 정보를 분석해내는 능력이 길러지기 때문에 수학에서 나오는 표와 그래프와 같은 단원은 거저 먹고 들어갑니다. ^^

(우주, 지구, 생물, 인체, 사회, 기계·탈것) 초등학생들이 궁금해 한다는 6가지 주제를 선정했다고 하는데, 우리집은 아이들이 제일 관심있어 하는 인체와 사회를 먼저 구입해서 읽어보고 있어요.

아이들이 당장 다른 책도 사달라고 할 정도로 반응이 뜨겁답니다. ^^

 

모르는 용어가 나오면 참고할 수 있도록 "용어 및 단위 설명"도 있구요.

 

찾아보기도 매우 잘 되어 있어서, 아이들이 혼자서도 필요한 정보를 잘 찾아볼 수 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래서 이런 전통 과학이 생겼대요 - 전통에서 배우는 과학 원리 그래서 생겼대요 시리즈
우리누리 지음, 이창우 그림 / 길벗스쿨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길벗스쿨의 "그래서 이런 말이..." , "그래서 이런 지명이.." 등의 "그래서" 시리즈를 좋아합니다.

3학년 아이인데, 집에 6권 정도 있구요.

항상 새 책이 나올 때마다 관심있게 보고 있습니다.

이번에 본 책은 "그래서 이런 전통과학이 생겼대요"입니다.

역사를 좋아하는 아이라서 아이가 과학을 좀 더 쉽고 재미있게 받아들일 것 같아 선택한 책입니다.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생활 과학 책이네요.

그리고 전통에서 과학 원리를 배울 수 있게 되어 있어요.

분야를 크게 4개로 나누어, 의식주 속에서, 도구와 무기 속에서, 문화재 속에서, 그리고 하늘 과 땅 연구 분야 속에서 과학 원리를 깨우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마솥" 부분에서는 무거운 뚜껑으로 압력을 높여 보다 높은 온도에서 끓게 해 밥이 고슬고슬해진다는 원리를 배울 수 있어요. "누비옷"에는 공기를 가둬서 보온성을 높이는 원리도 숨어 있답니다.

"물레방아"는 물의 위치 에너지로 곡식을 빻는 기구예요. 평범하게 또는 당연하게 생각했던 물건이나 도구 속에서 숨어 있는 과학 원리를 찾아내는 재미가 제법 쏠쏠하네요.

과학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 설명하니 어렵지 않게 받아들일 수 있답니다.

재미난 4컷 만화와 함께 도입이 되고 설명부에 차근차근 소개되는 개념이 참 마음에 들어요.

아이에게 조근조근 이야기해주는 문체라서 읽는 동안 딱딱하지 않고 부드러웠어요.

아이와 함께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답니다.

아이들 뿐만 아니라 어른이 읽어도 좋지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