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의 씨앗
왕자오자오 지음, 황선영 옮김, 황리 그림 / 하늘파란상상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겨울 어느 날 노스님께서 동자승들을 불러 모아 씨앗을 하나씩 나누어 줍니다.

수천 년 된 아주 귀한 씨앗이라고 합니다.

본, 정, 안이라는 세 동자승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싹을 틔우려 하지요.

추운 겨울이었음에도 제일 먼저 싹을 틔우고자 한 본은 언 땅에 씨앗을 심어버립니다. 씨앗이 싹을 내지 않자 본은 크게 실망하지요.

정은 멋진 싹을 틔우기 위해 책을 많이 읽고 고민합니다. 그가 선택한 것은 금 화분! 가장 귀하고 좋은 화분에 씨앗을 심어 싹은 틔우지만 싹은 이내 죽어버립니다.

정의 실망감은 이루 말할 수 없었겠죠.

너무 소중해 금 뚜껑을 덮어 키운다고 공기와 햇빛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 까닭입니다.

반면, 안은 평소와 다름없이 일상 생활을 해나갑니다. 

묵묵히 주어진 일을 해나가고, 도대체 안은 씨앗에 대해 관심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느덧 시간이 흘러 따뜻한 봄날이 되었습니다.

안은 이제 씨앗을 연못 한쪽에 심습니다. 따뜻한 날씨 덕에 안이 심은 씨앗은 곧 싹이 트고 잘 자라 마침내 아름다운 연꽃을 피웁니다.

 

저 또한 이와 비슷한 경험을 했습니다. 저의 경우는 본과 같았는데요.

어느 봄날 멋지게 핀 한련화에 반해 씨앗을 구해 덜퍼덕 심어 버렸습니다.

그런데 한련화는 이른 봄에 심어야 하는 것이었어요.

여름 무더위에 약하고 장마철엔 특히 시들하기 때문이지요.

늦은 봄에 심은 한련화는 싹은 틔웠지만 금방 무더위와 만나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누렇게 변해가 꽃을 피울 수 없었답니다.

꽃을 보고 싶은 마음 조금만 참고 날씨가 좀 선선한 때를 골라 키웠더라면 하는 후회를 뒤늦게 해보았지요. 

 

작은 씨앗의 이야기이지만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는 참으로 위대합니다.

하루하루 바삐 살아가다 보면 어디로 가고 있는지 무엇을 위해 살아가는지 놓치기 쉽습니다. 때를 기다릴 줄 아는 것, 느리게 살아도 결국은 성취해내는 것을 보면 결코 빠르게빠르게 재촉하는 것이 현명하지 못한 것임을 한번 더 알게 되어요.

한박자 쉬어가게 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