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소년을 위한 우리 미술 블로그 - 삼국시대부터 현대까지, 교과서에 숨어 있는 우리미술 이야기
송미숙 지음 / 아트북스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미술, 음악 등은 인간 기본적인 감정에 기초하기 때문에 누구나 멋진 그림과 음악을 접하고 싶은 욕구가 있으며 그런 작품과 만나면 즐거워지는가 보다. 미술사, 음악사..전문적으로 알고 있기는 어렵지만 조금이라도 그 줄거리를 안다면 예술 작품을 접할 때 남들이 보지 못하는 많은 부분을 보게 되는 기쁨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교과서에 수록된 우리 미술 작품에 대한 시대별 정리와 대표적인 표현 기법 등을 소개하고 있는데 기존의 설명문적인 미술 입문서와는 달리 블로그의 옷을 입었다.

세세하게 들여다 보기 전 큰 그림을 그리고 들어가는 프롤로그, 블로그 메뉴로 시대별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했고, 미술 용어들을 알기 쉽게 설명한 팁, 본문에서 다루지 않은 표현 기법, 화가 이야기 등을 담은 돋보기까지 구성되어 있다.

우리 청소년들이 좀 더 쉽게 우리 미술을 접할 수 있는 안내서인 동시에 성인들도 미술 감상하는 법을 친절하게 배울 수 있는 입문서 역할을 한다. 어렵지 않게 설명되어 있고 숨은 뒷 얘기 등도 재미있어 책장을 덮기가 아쉬울 정도로 재미있게 읽어 나갔다. 우리 미술 작품들을 많이 만나볼 수 있었던 점도 좋았고 화가 이야기도 몰랐던 부분을 알 수 있어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되었다. 그리고 앞으로도 어떤 작품들을 볼 때 어떤 식으로 보아야할지 감상법이라든지 포인트들을 짚을 수 있게 조금은 안목이 높아지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이암의 그림이다. 조선 시대에 가장 사랑스럽고 품위있는 동물 그림을 그린 화가로 알려져 있다고 한다. 왕족이었다고 하는데 작가는 왕족으로서의 평온했던 삶이 반영되어 있는 듯, 따뜻하고 동화같은 분위기의 동물 그림을 그렸다고 평했다.)
몇가지 오류(고려 미술 블로그 메뉴 코멘트에 고구려 내용이 들어가 있고, 낙관이 낙성관지의 준말인데 낙관성지로 잘못 표기되었으며 한 문장이 연달아 두 번 나오는 등..)가 있었는데 사람이 하는 일이다 보니 그럴 수 있다고 여겨지는 수준이기는 하지만, 좋은 책 내용이 더욱 빛나도록 다음 판에서는 수정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