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글박물관에 가자! - 이야기로 만나는 한글 세상 궁금해요 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지음 / 시공주니어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달엔 좀 특별한 책을 만나보았어요.

"국립한글박물관에 가자!"란 책인데요,

제목을 봐서는 한글박물관에 대한 이야기일 듯 한데요 내용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드신 후 750여 년 동안 한글이 어떤 길을 걸어왔는지 소개하고 있답니다.


우리는 태어나서 말을 하고 글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접했던 한글인데요,

처음 한글이 만들어진 조선시대 상황과 만들어지는 과정, 왜 과학적이라 이야기 하는지 모두 이 책에 들어 있었지요.

아이들과 함께 읽어보면서 한글에 대해서 더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도 좋을 것 같았어요.

 

국립한글박물관은 한글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2014년 10월 9일 한글날에 문을 열었다고 해요.

그전에 국립중앙박물관에 갔을 때 한창 공사 중인 걸 보고 다음에 문을 열면 와야겠다 생각했었는데요,

어쩌다보니 아직도 가보지 못 한 곳이네요.

꼭 아이들과 가보고 싶었던 곳인데요.

이제 날씨도 따뜻해지고 슬슬 나들이를 시작할 때가 되었는데요, 아이들 손 잡고서 나들이 장소로도 좋을 것 같아요.

 

 

이 책은 크게 3장으로 이뤄져 있어요.


1장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2장 쉽게 익혀서 편히 쓰니

3장 세상에 널리 퍼져 나아가니

 

 

우리 문화 조사 숙제로 한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 누리, 나로, 대한, 고운.

모둠의 이름을 한글바라기라 하고 국립한글박물관으로 한글에 대해서 알아보러 갑니다.

처음엔 시큰둥 하던 아이들도 학예사 선생님과 함께 하는 박물관 관람으로 조금씩 한글에 대해 알아가는데요,

체계적으로 한글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저희 아이들도 한글바라기 친구들과 함께 하는 동안 한글에 대해서 새롭게 많이 알게 되었답니다.

 

나라의 근본은 백성이요,

백성들이 편하게 사는 세상이 세종 대왕이 생각하는 세상.

이런 세종 대왕이 생각이 근본이 되어 훈민정음이 창제 되었는데요,

이런 배경이 훈민정음 해례본에 잘 나와 있어요.


훈민정음 해례본을 보니 중학교 교과서에서 봤던 기억이 어렴풋이 나는데요,

그 때도 훈민정음에 대해서 배웠었는데 지금 이 책을 통해서 다시 보니 새롭게 느껴지네요.

너무나 익숙해서 너무 소홀히 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어요.

 

 

한글 자음이 발음 기관의 모양을 닮았다고 하는데,

진짜 신기하게도 자음의 모양과 발음 기관의 모양이 비슷해요.

지금처럼 과학이 발전하지 못 했던 옛날에 어떻게 이런 것을 발견 했는지 참 신기하기도 합니다.


또, 한글의 모음은 세상을 담았다고 해요.

세상은 하늘과 땅과 사람으로 구성이 되는데요, 모음에 하늘과 땅과 사람을 담아서 만들었다고 해요.

 


이렇게 보니 한글 참 대단한 글자라 다시 한번 느껴지는데요,

이렇게 멋지고 소중한 한글이 요즘에는 외계어에 외래어에 묻히는 것 같아 반성하게 되는 시간이네요.

현앤윤맘도 가끔은 그런 말들을 사용하는데요,

앞으로는 제대로 된 한글을 사용하도록 노력해야겠다 생각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