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설헌 -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문희 지음 / 다산책방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중기 천재 여류시인 허난설헌의 부활이다. 그것도 확실한 부활. 2011년 11월 초에 초판 1쇄를 찍고 같은 달에 24쇄까지 찍었다. 연일 베스트셀러 고공행진이다. 격세지감. 시댁의 구박을 받으며 한줄 한줄 써내려간 난설헌의 삶은 500년 뒤, 같은 땅에서 남녀노소를 울린다. 허씨 집안이 지하에서 껄껄, 웃을 일이다. 

뛰어나다
-아름다운 언어와 뛰어난 감정묘사
-조선시대를 사대부, 그리고 사대부가 여인의 삶으로 조명하다
-난설헌의 도교적 세계관에 대한 독특한 표현, 상상력

아쉽다 
시인으로서 당대 문인들과 수학하고 교류한 내용
시에 대한 난설헌의 관점에서의 해석
시대와의 얽힘
시점이 다소 혼란스러움
시댁 식구, 특히 시어머니를 좀 더 입체적인 인물로 설정해 타고난 품성은 고우나 자의식이 강한 난설헌과 시기심이 많으나 평범한 시어머니 간의 긴장관계를 좀 더 팽팽히 했더라면...
2400자 원고에서 1400자로 줄이면서 내용이 많이 빠지고 구성과 스토리가 듬성듬성해진 것이 느껴진다. 

그리고 몇가지 감상들
-허엽이 수많은 '올가미'를 이고 갔기에, 가족들 모두가, 특히 난설헌이 희생양이 됐다. 애초에 시집을 가지 않았더라면, 신분은 사대부가에 못미치나 학식과 인품이 높고 뜻과 정이 통하는 사내와 혼인했더라면, 안동 김씨가문이 아닌 사윗감을 보고 혼인했더라면...재능을 손질하고 꿈을 키워주었으되 자라서는 사대부 여인의 억압된 삷 속에 갇혀있기를 종용한 부모님 때문이다. 
-모든 삶의 고통을 문학에만 쏟아부엇기에 명작을 탄생시킨 시인이 되었겠지만, 좀 더 진취적이고 개혁적인 인물이었더라면 어떻게 했을까? 난설헌의 수동성이 답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