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 미제라블 - 인간의 마음을 울리는 사랑
빅토르 위고 지음, 최은주 옮김 / 서교출판사 / 201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결국 이 책을 관통하는 큰 주제는 사랑이 아닐까.

장발장이 전과자임을 표시하는 황색 통행증 때문에 손가락질 받고 모두가 그를 업신여기자 사회에 대해 깊은 증오심을 품게 되었다. 하지만 비앵브뉘 주교의 깊은 사랑으로 장 발장은 양심의 눈을 뜨게 된다. 또한 딸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모든 것을 바치는 순수한 팡틴. 코제트와 마리우스의 관계를 반대했으면서도 결국 코제트를 위해 다친 마리우스를 메고 파리의 하수도를 헤쳐나가는 장발장.

제목 레 미제라블의 해석은 익히 알려져 있듯이 .. ‘불쌍하고 가련한 사람들이다. 불쌍한 사람들이라는 의미뿐 아니라 사회에서 소외된 이들을 조명하는 제목이다. 내 삶을 살기에 급급해서 생각하지 못했던 이 사회에서 소외된 이들을 생각하는 것 또한 일종의 이웃 사랑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저 선의로 주변 사람을 대하는 사람, 그리고 선의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사지로 내모는 사람들, 인간의 불신과 그 불신을 만들어 낸 그 사람의 상황들, 서로에게 각박해 질 수밖에 없는 사회 상황들. 참 많은 사회의 관계, 그리고 근본적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사랑이라면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 생각하게 된다.

1862년 출간했던 책임에도 불구하고 이 사회에 적용해서 생각해볼 것들이 이렇게나 많다니, 고전 명작에는 이유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