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글박물관에 가자! - 이야기로 만나는 한글 세상 궁금해요 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지음 / 시공주니어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글의 우수성과 독창성이야… 우리나라 뿐 아니라 이미 세계가 인정하죠. ^^
세계에서도 가장 뛰어난 문자로 평가 받고 있는 한글을 쓰는 유일한 민족이기에 언제나 저 스스로는 자랑스럽기만 하답니다.

모든 배움에 있어 가장 필요한 건 경험과 그 경험으로 인한 동기부여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기에 한글을 지금 한창 신나게 배우고 있는 아이에게도 ‘한글을 잘 읽고 잘 쓰고’의 문제가 아닌 ‘한글이 얼마나 멋진 글자이고 언어’인가를 알려주고 싶었답니다.
그래서 준비한 책 ‘국립 한글 박물관에 가자’. 랍니다.


책 ‘국립 한글 박물관에 가자’는 2014년 10월 9일 한글날에 맞춰 문을 연 국립한글박물관(National Hangeul Museum)을 그대로 옮겨놓은 책이랍니다. 한글을 만들고 지켜 낸 과정뿐만 아니라 박물관에 전시된 다양한 한글 유물들을 통해 과거부터 지금까지의 교육, 종교, 예술 등의 일상에 한글이 얼마나 깊게 스며들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책이랍니다.

‘한번 가봐야지… 한번 가봐야지….’ 하며 아직 다녀오지 못한 그곳 ㅎㅎ ‘국립 문자 박물관’!!
마음 속으로만 갈망하던 곳인데….  충분히 대리만족 시켜 줄 수 있었던 책이었네요 ^^

 


책은 ‘한글 바라기’(한글만 바라본다는 순우리말)라는 모둠 친구들이 국립한글박물관에 와서 학예사 선생님을 만나고 한글이 걸어온 길을 소개하는 형식이랍니다.
 1장.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2장.’쉽게 익혀서 편히 쓰니’, 3장 ‘세상에 널리 퍼져 나아가니’로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한글이 없었던 시절의 생활상, 그리고 훈민정음 만들어진 이야기, 훈민정음에 담긴 시대적 이야기들과 비밀들, 한글의 우수성이 듬뿍 묻어있는 실생활에 활용된 예들,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 한글의 가치를 담은 이야기들 시대적 흐름 순서에 맞게 구성되어져 있어 보기 편했고, 평소 확실히 알지 못했던 한글에 담긴 이야기들을 속 시원히 알아갈 수 있었답니다.

 

 

 

‘백성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문자를 만들겠노라.’


한글이 우수한 건, 모든 소리를 글자로 적을 수 있고, 배우기 쉽기에 영리한 사람이건 평범한 백성이건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일거예요. 백성을 너무나 사랑하셨던 세종대왕님… 그리고 집현전 학자들의 노고가 그대로 묻어나는 글자죠. 
하지만… 이런 쉽고 우수한 한글이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없었던 배경도 책에선 자세히 설명이 되어져 있답니다.


한글 창제 후 3년간…. 조선은 세워진 지 약 50년밖에 되지 않은 나라이다 보니 강대국인 중국의 눈치를 봐야했고 중국의 문자인 한자와 중국 문화를 따르는 건 당연한 일이었겠죠. 그래서 새로운 문자 한글을 쓰는 건… 즉~ 중국과 맞서는 것으로 비춰질까 봐 많은 학자들이 반대했었고, 세종 스스로도 고민이 많았을 거라 짐작이 됩니다.

하지만…. 1443년 계해년 겨울, 세종 대왕은 백성을 위해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셨고,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의미로 ‘훈민정음’이라 이름지으셨다 합니다.

 


570년이 넘는 우리의 역사와 사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갚진 글자이며,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에 등재되어 있을 만큼 가치 있는 훌륭한 ‘한글’이기에 우리아이들도 단지 우리나라 글이기에 ‘읽고 쓸 줄 알아야 한다’ 라는 편견에서 벗어나 한글의 우수성을 먼저 알고 한글과 더 친숙해 질 수 있는 계기, 한글을 자랑스럽게 여길 수 있을 계기가 책을 통해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책을 통해 한번 접하고 ‘국립한글박물관’에 다녀온다면 더 많은 걸 배울 수 있을 듯 합니다.
한글이 얼마나 과학적이고 뛰어난 글자인지 안다면 분명 우리 아이들 스스로가 한글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건 물론 더하여 우리 문화와 역사에 대해 많은 자부심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
많은 배움과 감동이 듬뿍 들어있는 책이었고 고마운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