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보는 미술관 - 나만의 감각으로 명작과 마주하는 시간
오시안 워드 지음, 이선주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혼자 보는 미술관(나만의 감각으로 명작과 마주하는 시간)_오시안 워드

“모를수록 잘 보이고, 낯설수록 더 재밌다”

편견과 부담을 벗은 채 만나는 명작의 다채로운 장면들

“누구에게도 방해받지 않을 때, 명작은 탁월하게 아름다워진다”

신선함과 즐거움으로 안내하는 고전 미술 가이드

친절한 도슨트의 설명을 들으며 갤러리를 누비는 감상도 즐거워 보이지만, 혼자 뚜벅뚜벅 걸어 들어와 한참을 작품 앞에 머무는 사람을 보면 어쩐지 더 눈길이 간다. 오롯이 작품을 느끼는 사람에게서는 왠지 모를 여유도 보이고, 특별한 즐거움도 숨겨져 있는 듯하다. 미술관에서 나만의 감각으로 나만 아는 감동을 받고 싶은 사람을 위해, 홀로 감상하는 사람들을 위한 한 권의 가이드를 소개한다. 새로 나온 책 《혼자 보는 미술관(원제:Look Again)》이다.

이 책은 당신에게 두 가지 용기를 제안한다. 다른 사람의 감상평에서 한 발짝 멀어질 용기, 잘 알지 못해도 선뜻 작품에 다가갈 용기. 큐레이터로 일하며 평론가로 활동 중인 작가 오시안 워드는 액자 속에 작품이 있다고 해서 감상하는 사람의 시선까지 편견에 갇힐 필요는 없다고 이야기한다. 이 책은 명작 이면에 숨은 다채롭고 새로운 면모들을 오롯이 마주할 수 있게 돕는, 오직 감상자만을 위한 한 권의 큐레이터가 되어줄 것이다.

모를수록 잘 보이는 미술의 역사

모두의 칭송을 받는 ‘불후의 명작’을 마주할 때면 괜히 더 마음이 쭈그러든다. 문외한이라고 솔직히 털어놓아도, 왠지 남들보다 뒤처지지 않을 정도는 알아야 할 것 같다. 이런 불안에 대해 작가는 옛 거장들의 작품을 보는 지금 우리의 방식이 지나치게 전형적이라고 지적한다. 비평가의 멋진 감상문을 읽지 않고 작품을 보면 제대로 된 관람이 아닌 걸까? 미리 보고 익힌 탓에 정작 진짜 관람은 시시껄렁해지고 감동마저 내 것 같지 않을 때, 작가는 당신을 해방시켜줄 새로운 눈을 소개한다. 시대의 암울한 분위기를 인물의 눈가에 잡힌 주름에서 먼저 알아채고, 직감으로 색과 구도의 의도를 추측해본다. 작품에 숨겨진 다양한 요소들을 분류하거나 시비를 가리는 데 얽매이지 않고 말이다. 어설픈 지식을 짜내어 고심하기보다 무지한 눈으로 작품을 볼 때, 우린 미술 작품 속에 숨은 역사를 더 많이, 더 쉽게 배울 수 있다.

낯설수록 더 재미있는 아름다움

책을 펼쳤을 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자연스레 읽어나가는 것처럼, 그림을 볼 때도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중심을 차지하는 존재가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하지만 비현실적으로 그려진 대상에, 비슷한 간격으로 그려낸 존재들에, 얽히고설킨 인물의 몸에서 느껴지는 기이함에 더 집중해보면 작품은 우리에게 또 다른 문을 열어준다. 작가는 인식론에서 ‘백지 상태’를 의미하는 단어인 ‘타불라 라사TABULA RASA’를 10가지 키워드로 풀어내 우리에게 하나의 감상법으로 제안한다. 마주하는 시간Time, 작품과 나와의 관계Association, 작품을 이루는 배경Background, 이를 통해 이뤄지는 이해Understand까지 되고 나면 다시 보는 과정Look Again이 이어지고, 마침내 평가Assessment할 수 있는 시간이 찾아온다.

여기까지 책의 가이드를 잘 따라오고 나면 틀을 깨고 낯선 시선으로 바라보는 시간을 갖게 된다. 그림의 역동성을 만드는 리듬Rhythm과 작가가 몰래 건네는 메시지를 담은 비유Allegory, 보이지 않는 액자인 구도Structure까지 살펴보고 나면 우리 앞에는 명작만이 가질 수 있는 분위기Atmosphere가 펼쳐진다. 작품을 낯설게 대할수록, 우리는 아무도 느껴보지 못한 고유한 재미와 아름다움을 책의 흐름을 따라가며 마주하게 된다. 이처럼 『혼자 보는 미술관』은 멋진 작품을 눈앞에 두고도 마음껏 누리지 못한 우리에게 의무감과 압박감을 덜어내고 해방감을 선물한다. 우리는 색다른 방식으로 전시한 명작을 살피고 작가의 안내를 받으며. 감상은 스스로의 즐거움을 찾아가는 과정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전시회 관람을 좋아한다. 그래서 종종 혼자 예술의 전당이나 국립중앙박물관 등 전시회가 열리는 곳으로 향하곤 한다. 오로지 나 혼자서. 혼자여야 온전한 나만의 시간을 갖고 나만의 감상을 느낄 수 있으니까.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진행되는 전시회는 혼자 방문하는 걸 좋아한다. 그런데 요즘은 SNS 사진 업로드 용의 미디어 아트 전시나 포토스팟 전시가 많아서 전시회장을 잘 찾지 않고 있다. 그러다가 마주한 바로 이 책, <혼자 보는 미술관>. 책을 읽다 보니 간만에 미술관에 가고 싶어졌다. 미술관에서 내가 좋아하는 인상주의 풍경화를 실컷 보고 싶어졌다. 내가 보고 싶은 그림이 있을 지는 모르겠지만 전시회의 계절 겨울이 찾아오고 있으니 올해가 가기 전에 전시회에 한 번 다녀와야겠다. 역시 이번에도 나 홀로.

 

 

 

 

<혼자 보는 미술관>은 단순 도록 느낌의 책이 아니다. 그래선지 책을 읽으면서 나만의 감상에 큐레이터의 시각과 친절한 설명이 함께 동반되는 느낌이었다. 이 책의 저자 오시안 워드는 큐레이터로 일하는 전문가이기도 하면서 인식론에서 백지상태를 의미하는 타볼라 라사를 10가지 키워드로 풀어내 독자에게 새로운 느낌의 미술 감상법을 알려준다. 저자가 알려주는 데로 타볼라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잘 따라간다면 틀에 박혀 있던 시선에서 벗어나 온전히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고 작가가 몰래 건네는 메시지는 물론 명작만이 가질 수 있는 분위기를 온 몸으로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쌀쌀한 겨울, 따뜻하게 몸과 마음을 녹여주는 전시회의 계절, 그러니까 올 겨울엔 미술관을 방문해서 오시안 워드가 알려준 타볼라 라사를 기억하며 미술품을 바라보아야 겠다. 그러고 나서 <혼자 보는 미술관>을 읽는다면 고전 명작에 대한 나의 시야가 더 넓어질 수 있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