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디블 가족 - 2029년~2047년의 기록
라이오넬 슈라이버 지음, 박아람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맨디블 가족 : 2029-2047년의 기록, 나쁜 일은 한꺼번에 몰려든다>
라이오넬 슈라이버 장편소설
알에이치코리아

한 가족의 삶을 통해 정부와 사회의 역할에 대한 놀라운 통찰과 깨달음을 전하다!
《케빈에 대하여》의 저자 라이오넬 슈라이버가 3년 만에 선보이는 소설 『맨디블 가족』. 저널리스트 출신의 저자는 철저한 자료 조사와 치밀한 논리를 토대로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한 금융 쿠테타와 마주하게 된 2029년의 미국을 배경으로 하여 사회·경제적 혼란에 처한 미국의 디스토피아적 모습을 통해 계급, 인종, 가족의 역학이 서로 밀접하게 맞물리며 위기로 치달아가는 과정을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그려냈다.
인생을 즐길 줄 아는 97세의 걸출한 재담가 더글러스, 자기 책이라면 무덤까지 들고 갈 73세의 소설가 에놀라, 이타심에 불타는 중년의 사회복지사 플로렌스, 그리고 늘 경제 문제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13세의 조숙한 소년 윌링. 미국 중산층 맨디블 가족은 2029년의 어느 날 미국 대통령 단테 알바라도의 연설을 듣고 크게 당황한다.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한 금융 쿠데타에 맞서 미국 정부가 무혈 전쟁을 선포한 것이다.
하룻밤 사이에 전지전능했던 달러의 환율이 곤두박질치고, 방코르라는 새로운 기축통화가 이를 대체하면서 미국은 보복성 채무불이행을 선언한다. 각종 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정부의 통화 과다제작 정책은 고삐 풀린 인플레이션을 초래하고, 서민들 통장에 남아 있던 수백만 달러의 저축도 순식간에 집어삼킨다. 가장으로부터 막대한 유산을 물려받을 날만을 바라보고 있던 맨디블 가족은 하루아침에 자신들의 생득권이 잿더미로 변해버리자 단순한 실망을 넘어 생존의 위협을 느끼기 시작하는데…….

 

 

<맨디블 가족>의 저자 라이오넬 슈라이버는 전작 <케빈에 대하여>로 잘 알려져 있다.
영화 <케빈에 대하여>를 익히 들어 알고 있었는데 소설이 원작인 줄은 몰랐다. 친구들의 극찬에 조만간 봐야지, 봐야지 하며 미루고 있던 영환데 꼭 찾아봐야지. <케빈에 대하여>는 소시오페스 아들을 둔 어머니의 독백이다. 아들과 어머니, 사회가 원하는 모성은 천부적인 것일까.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작품이라고 한다. 이번작 <맨디블 가족>역시 자본주의의 절대적 가치인 ‘돈’에 집중한다. 세계를 이끄는 국가 미국의 화폐인 달러의 가치가 급감하게 된다면 과연 어떤 일이 벌어지게 될 것인가!
2029년, 미국에 대응할 국가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과 강대국의 반열에 올라선 러시아가 금융 쿠테타를 주도하다. 올해로부터 11년 뒤인 2029년의 미래를 배경으로 한 소설 <맨디블 가족>은 절대적인 가치에 있던 달러의 추락을 소재로 미국에 살고 있는 중산층 가족을 이야기한다.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면 당연히 인플레이션이 발발하게 되고 이는 곧 서민들의 삶의 질 하락으로 이어진다.
제대로 먹지도, 씻지도 못하는 사람들. 뒤바뀐 삶에 순응하는 자와 그렇지 않은 자. 유토피아가 디스토피아로 한순간에 변모하게 된다면 과연 어떤 일이 벌어지게 되까.
현제 베네수엘라가 인플레이션 상태이며 이 상황은 더 악화되어 가고 있다. 이는 책 속의 11년 후인 2029년의 미래의 미국에만 국한 된 이야기는 아니라는 것이다. 자본주의의 극에 달한 지금, 우리는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 많은 깨달음을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