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심리학 - 너의 마음속이 보여
송형석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의 마음 속이 보여! 송형석, <위험한 심리학>

책을 받았는데 비닐 포장이 되어 있었다. 뭘까? 하고 뒤집어보니 부록으로 또 다른 책 한 권이 들어있었다. <위험한 심리학>과 부록 < 문제 인간 대비책>. 책과 부록이 정말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지난 서평 책이었던 <뉴런하우스>는 소설 형식의 심리서였다면 이번에 읽은 <위험한 심리학>은 전형적인 심리학 도서다. 이 책은 2009년에 청림출판에서 출간되었던 책을 알에이치코리아에서 최신 개정증보판으로 새로 출간한 것이다.

“나는 왜 네가 이유 없이 싫을까?”
이상한 사람과는 슬며시 거리 두기
오래갈 사람과는 편안히 거리 찾기

여러 방송을 통해 이미 상대의 심리를 날카롭게 분석하고 행동 패턴까지 정확하게 예측하며 큰 놀라움을 안긴 바 있는 이 책의 저자 송형석 박사. 그는 수십 년간 정신과 의사로 다양한 내담자들을 만나며 알게 된 ‘사람의 본심 읽는 법’을 이 책에서 다각도로 소개한다. 아무런 사전 정보 없이 처음 만난 사람을 파악하려면 무엇을 눈여겨봐야 할까? 저자는 열 가지의 단서에 주목하라고 말한다. 그중 특히 강조하는 것이 ‘선입견’과 ‘모순점’이다.
흔히 우리는 상대의 외모나 말투, 표정 등을 보면 특정한 선입견을 떠올리곤 한다. 그런 선입견을 그대로 상대에게 덧씌우는 것은 무척 위험한 일이다. 다만 그는 이 선입견을 바탕으로 그것의 정반대 가설을 함께 세운 후 하나씩 퍼즐을 맞춰가라고 조언한다. 예를 들어, 화려한 외모의 여자를 봤을 때 ‘콧대가 높을 것’라는 선입견을 떠올렸다면, 그와 정반대되는 ‘자존감이 낮을 것’이란 가설도 함께 떠올려야 한다.
이런 가설들을 세운 후 상대의 말투, 말의 속도나 대화 간격, 질문에 대한 반응 등을 살피는 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것이 바로 ‘모순점’이다. 내가 세운 가설에 완전히 어긋나는 부분을 발견했을 때, 거기에 상대의 중요한 성격 특성이 숨어 있다고 보아야 한다. 내성적이고 조용한 사람이 특정 질문을 듣고 몹시 흥분해 말이 많아졌다면, 바로 이것이 그의 취향이나 역린을 보여주는 것이란 이야기이다. 저자가 제시한 열 가지 단서를 토대로 퍼즐을 맞춰가다 보면, 전체적으로 상대가 어떤 사람인지 그 윤곽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위험한 심리학>의 저자는 송형석 박사로 MBC 예능인 무한도전, JTBC 김제동의 톡투유 등 미디어에 많이 출연한 유명 박사다. 근데 나는 무한도전도 안보고 톡투유도 안봤다는 게 함정. 책도 읽었으니 한번 찾아봐야지!
심리라고 하면 사람의 내면을 통찰하고 꿰뚫어본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 책은 나의 내면에도 집중하지만 나와 남과의 관계에 더 집중한다. 그리고 그 가운데에는 선입견과 모순점이 존재한다. 타인의 외모만 보고 생겨버리는 선입견, 선입견에서 발생하는 모순점을 통해 바로 심리를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요 근래 집에서 트러블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사실 겉으로만 보면 문제는 명확하지만 이 책을 읽고 보니 근본적인 원인은 나랑 정말 안 맞기 때문인 것 같다.
거리두기. 이상한 사람과는 슬며시 거리를 두고 오래갈 사람과는 편안한 거리를 찾는 것이 이 책의 목표라면 나도 슬며시 거리를 둘 수 있는 방법을 다시 책 안에서 찾아봐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