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현대사를 만든 세가지 사건 - 1919, 1949, 1989
백영서 지음 / 창비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안문이라는 장소와 1919년, 1949년, 1989년의 사건들로 중국현대사를 풀어가는 이 책을 읽다보면 중국이란 국가가 가지는 의미나 분위기를 생각해보게 된다. 나에겐 중국은 학문의 개념으로 받아들여지는 나라이고, 최근엔 통제가 잘 되는 나라의 느낌이 강하다.

각론하고 이 책은 읽기 평이한 책은 아니다. 그래서 더 집중할 시간이 필요하고, 오래 읽은 책이었다. 대학에서 중국어와 중국문학을 공부했었기에 중국역사를 알고있다고 생각했지만 까먹기도 했어서 공부하는 마음으로 읽었다. 그리고 흐름의 파악을 위해 대학생때 공부하던 중국현대문학사책을 옆에 두고 같이 읽었다.

천안문은 하늘의 명을 받아 나라와 백성을 평안히 다스린다 라는 뜻을 담고 있고, 그러기에 아마도 천안문은 이전에도 그리고 앞으로도 상징적인 공간이 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1919년은 5.4운동으로 천안문은 저항의 장소가된다. 신청년이 등장하고 이들은 발본적 변혁을 추구하고자 했었다. 소단체에서 그리고 평민이라는 개념 속에서 혁명을 꾀했다.

1949년의 천안문은 경축의 장소가 된다. 1949년 10월 1일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일이다.

1989년의 천안문은 다시 저항의 장소가 되었고, 천안문사건이 일어났다. 신자유주의의 확산에 대응하여 사회주의나라들의 몰락과 개혁 이후 중국의 공산당의 불안함이 무력진압으로 표출된 사건이라고 생각한다. 저자가 정리해주신 것처럼 한국에서는 유혈진압을 겪었기에 천안문사건이 더 크게 다가왔고 교육의 장에서도 더 강하게 배웠던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나니 예전에 봤던 중국의 영화들을 다시 보고싶기도했다. 과거를 그렸던 영화들인데 투쟁 속에서 소멸되는 개인의 모습들이 기억에 남아있다. 일곱 해의 마지막이라는 소설 속 주인공이 사상검토를 받고 자백을 강요받던 모습도 겹쳐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버 드림
사만타 슈웨블린 지음, 조혜진 옮김 / 창비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피버드림은 읽다보면 나와 다비드의 대화의 흐름을 끊고 싶지않아서 집중하게 되는 책이다. 이 책의 이야기로 넷플릭스에도 오픈된다고하는데 어떻게 표현했을지 너무 기대가 된다. 벌레, 구조거리, 금색비키니, 물 등 모든 단어들이 상징성을 가지고 있고 모두 마법같아보인다. 현실에 없을 듯한 일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소설 속 일이 현실 속에 있을까봐 두렵기도 하다.

📍너를 차에서 내리게 하고, 지금 당장 그곳을 떠나고 싶은 마음뿐이야. 너는 의자에 꼿꼿이 앉아서 마치 애원하듯이 그이의 눈을 쳐다봐. 나는 남편을 통해 보고 있어, 네 눈 속에 있는 다른 사람의 눈을. 안전벨트를 매고 좌석 위에 올린 책상다리. 살며시 니나의 두더지 인형으로 향하는 손, 인형을 잡으려는 듯 인형의 다리 위에 올려놓은 지저분한 손가락.

소설 속 나는 남편을 통해 다비드 속의 또다른 누군가를보고있다니!
나와 다비드 그리고 니나는 모두 어디로 간거고 어떻게 이야기는 더 흘러갈 수 있을지.

소설이 끝난 뒤에도 그 이후의 일들이 펼쳐질 소설 속 세상이 너무 궁금하고 더 들여다보고 싶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뭐든지 나라의 가나다 보림 창작 그림책
박지윤 지음 / 보림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이 재밌어했어요
그림 속의 한글도! 찾고 과일 동물들 표정도 보면서 따라하기도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