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처, 문화로 쓴 세계사 - 하버드대 마틴 푸크너의 인류 문화 오디세이
마틴 푸크너 지음, 허진 옮김 / 어크로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화가 '소프트파워' 제고를 위한 강력한 수단으로 주목받으면서

문화를 배타적으로 소유하려는 각 민족, 각 나라의 갈등 역시

첨예해지고 있다.


문제는 문화가 과연 자산처럼 저작권과 소유권을 주장 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인가 하는 것이다.



고유해보이는 문화일지라도 그 기원을 따라가다보면

다른 문화와의 무수한 접목이 있었다는 것이 당연한데

문화를 (막대한 부가가치를 가진)하나의 자원으로 인식하는 관점이

퍼지면서 점점 '원조'와 '고유성'을 따지며 타 문화를 폄훼하거나

자신들의 문화만을 추켜세우는 갈등이 심해지고 있다.



그 어떤 문화도 고립된 상태에서 존속할 수는 없기에 문화에

순혈주의란 존재할 수 없다.


문화에 순혈주의를 강조하는 관념은 자신들의 문화가 지나온 과정에서

무수한 융합과 차용의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양분을 부정하는 것이며

그런 문화는 빈약해질 뿐이다.



저자는 문화를 대하는 요즘의 이런 관점들에 일침을 가하면서

문화가 전파되고 공유되며 재발견되어 온 역사를 15가지 이야기로 소개한다.


이집트의 네페르티티 왕비 이야기에서는 누가 문화 '원조'인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문화 바탕을 통해 무엇을 이룩해냈느냐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플라톤의 이야기에서는 때로는 모방이 문화 보존과 전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소카왕 이야기에서는 타 문화를 접했을 때 수반되는 파괴와 재창조의 이야기를,

폼페이 이야기에서는 타 문화를 받아들이는 행위에서 승패의 관점이 얼마나 편협한가를

이야기 한다.


15가지 이야기 중 들어본 이야기도 있고 생소한 이야기도 있었는데

생소한 이야기의 경우 저자가 이 이야기를 선정한 이유와 그 안에 담긴

메세지가 쉽게 와닿지 않아 두세번을 읽어야 하는 경우도 적지않았다.



하지만 고대 이집트부터 현대의 나이지리아, 유럽 중동 일본을

넘나드는 이야기들을 읽다보니 저자가 주제로 삼은 '인류문화'의

거대한 스케일을 새삼 느낄 수 있었고 그 앞에서 문화의 독점을 논하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지도 다시금 깨달았다.



책을 읽으면서 든 생각은 요즘 문화강국을 표방하며 각국이 내세우고

갈등하는 문화라는 것이 결국 오락.음식,옷 등의 소비성 문화들 위주라는 것이다.


문화란 그 문화요소들을 향유하는 사람들의 정체성과 가치관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며, 문화를 계승한다는 것은 각 세대가 문화의 매개자로서

이런 문화의 정수精髓를 보존하고 후대에 전달한다는 것일텐데 요즘 유행처럼

너도나도 내세우는 '문화컨텐츠'라는 게 결국 돈이 되는 것들 뿐이지 않은가 싶다.



에필로그에서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문화는 그것을 보존하고 계승하려는

노력이 경주되지 않으면 너무도 쉽게 잊혀질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고

문화의 우열, 경제성만을 따지지 말고 우리 다음 세대를 위해 문화의 본질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그 다양성을 지키려는 노력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