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리아 전쟁기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지음, 김한영 옮김 / 사이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더 이상 말이 필요없는, 전쟁사에 있어 가히 완벽이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뛰어난 용병술을 발휘하여 알프스 이북의 저 광대한 갈리아 전역과 북으로는 브리타니아를,

서로는 이베리아 반도와 동으로는 라인 강 건너 게르만 족까지 정복한  카이사르는 로마가

낳은 유일한 천재로 불릴 정도로 위대한 장군이다. 그런 그를 가장 잘 알린 두 권의 책 중 하나가

바로 이 갈리아 전역을 정복하면서 쓴 갈리아 전쟁기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일반적인

전쟁 서적과는 달리 자신을 "카이사르"라는 3인칭 주어를 사용하여 전쟁을 바라봄으로써

글을 읽는 이로 하여금 전쟁에 대해 객관적인 입장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하였으며,

간단명료하면서도 전투 상황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글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마치 전쟁의

한 쪽 모퉁이에서 전투를 관망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게끔 한다. 또한 그는 어느 한 쪽에 치우쳐

전쟁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객과적인 입장에서 적과 아군의 뛰어난 점과 부족한 점을 하나하나

기록하였으며, 무엇보다 적의 심리 상태를 날카롭게 분석하여 전장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정확히 꿰뚫는 그의 관찰력과 판단력, 그리고 판단이 섬과 동시에

행동하는 그의 결단력과 신속함에는 정말 감탄사가 나오지 않을 수 없다. 광범위한 전장을

심리전과 뛰어난 기동을 바탕으로 기습을 통해 신속히 제압하는 그의 용병술은

오늘날 전쟁 기술의 관한 한 최고의 고전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게다가 당시의 각 부족의 문화와 생활 풍습, 가치관, 사회 구조 등을 정확하게 묘사하여

문사로서의 자질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문학사적으로도 그 의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7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갈리아를 정복한 카이사르는 크라수스의 죽음으로 붕괴한 3두 정치와

함께 로마 내에 일고 있는 반 카이사르 파의 기운을 감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갈리아를 떠나

루비콘 강에 이르게 되고, 여기서부터

"나아가자 신들이 기다리는 곳으로,

 주사위는 이미 던져졌다."

라는 유명한 명언과 함께 후편인 <갈리아 내전기>로 이어지게 된다.

 

 폼페이우스가 이미 지중해와 동방을 점령하여 매그너스라는 칭호를 부여받은 상황에서

더 이상 공화정으로는 로마를 지탱할 수 없다고 판단한 카이사르에게 공화정을 타파하고

제정을 세우기 위해서 정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 가야할 길은 이미 정해져있었다고 할 수

있다. 갈리아로 향한 그의 발걸음이 의도적이었든 아니었든 간에 그가 이후로 행한 모든 것들은

읽는 이로 하여금 가히 전율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1000년 역사의 기반을 마련하게 된 그

첫 출발을 갈리아 전쟁기를 통해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다면 그 또한 유쾌한 일이 아닐 수가

없다. 글을 읽는 사람에게 있어 이보다 더한 즐거움은 없을 거라고 생각하며 

이 글을 모두에게 올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