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프리카와 남미, 인도 그리고 동남아시아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그 중요성이

더해가고 있는 기아는 더 이상 기아라고 하기에는 규모나 시사하는 면에서 우리에게

많은 것들을 던져준다. 아이러니한 것은 전 세계적으로 생산되는 식량은 현재 인구의

약 2배인 120억을 부양하고도 남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굶주림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작가는 이러한 현상이 단순히 빈곤국가들의 식량 부족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자유시장경제 체제가 낳은 구조적 유통경제에 의해 발생했으며, 각 국가들이

스스로를 합리화하는 사상적 이념과 무관심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그러한 것들이 해결된다고 기아란 문제가 해결될까? 그것이 그렇게 단순하지만은 않다.

선진국들의 자국 중심적으로 추진한 대외 정책과 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지에서 비롯된

잘못된 역사 인식과 정책의 산물, 그리고 끊임없이 이어지는 내전과 만성적인 영양실조 등

이 모든 것들이 기아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작가는 이러한 모든 문제의 원인이 어디에서부터 비롯되었는지를 날카로운 관찰력과 풍부한

경험으로 명료하고도 정확하게 기술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인 관심과 연구, 그리고 지원만이

해결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누군가의 글을 통해 느끼는 감정들은 제각각이지만

이것 하나만은 확실하다. 모두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할 때라고.

이 책을 통해 독자 여러분들이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