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왜 쇼츠를 멈추지 못할까 - 10대를 위한 실전 미디어 리터러시 ㅣ 발견의 첫걸음 12
김아미 지음 / 창비 / 2025년 6월
평점 :
이 책을 다 읽고 든 생각. '청소년 시절의 내가 읽었다면 정말 좋았을 책이다.'
내가 청소년 때 한창 싸이월드와 페이스북이 유행했다. 특히 나는 싸이월드를 열심히 했는데, 하루 방문자 수가 높은 친구의 미니홈피를 보면서 부러워하곤 했던 기억이 난다. 그 당시에는 투데이 수와 일촌 수, 일촌평과 방명록 수가 내 인기와 원만한 인간관계를 증빙해주는 지표나 되는 듯 굴었다. SNS를 사용할 때 내가 이 SNS를 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겠구나, 내 경험을 떠올리며 정말 많이 공감했다. SNS 속 클릭 한 번보다 내 옆의 사람이 건네는 따뜻한 눈빛과 포옹 한 번이 더 귀하다.
내가 숏폼으로 제일 많이 접하는 콘텐츠는 뭘까 생각해보니 단연 광고가 제일 많다. 짧은 시간에 소비자의 지갑을 열기 위해 광고들은 제품의 장점만을 지나지게 부각하고, 단점은 꽁꽁 숨긴다. 나도 숏폼 속 내용만 믿고 충동구매를 했다가 실패한 경험이 왕왕 있다. 그 뒤로 숏폼 속 광고를 유심히 살펴보니 허위/과장 광고가 정말 많았다. 불가능한 일을 가능한 것처럼 속이거나, 빅사이즈 옷이라고 해놓고 44사이즈 모델을 등장시키거나, 이걸 사지 않으면 뒤떨어지는 주부라고 몰아가거나. 짧은 시간에 몰아치는 정보 속에 냉정한 판단력을 읽은 소비자는 그저 속수무책으로 당할 뿐이다.
자습 시간에 교실에서 이 책을 읽고 있으면 애들이 꼭 한 마디씩 보탠다. "샘, 이거 제가 읽어야 되는 건데요!" 요즘 10대는 정말 숏폼 중독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숏폼에 열광한다. 친구들끼리 재밌는 릴스가 있으면 서로 DM으로 공유하기도 한다. 지금까지는 자극적인 숏폼에 중독되는 건 문제라고 단순하면서도 막연히 생각해왔다. 그런데 생각보다 숏폼의 파급력은 컸다. 기승전결에서 '전'까지 가는 집중력과 인내심을 잃게 된다는 것. 소설을 긴 호흡으로 읽는 수업을 할 때, 나는 시작 전부터 걱정이 앞선다. 이렇게 긴 지문을 대체 어떻게 읽히지? 그 걱정의 기저엔 당연히 요즘 애들은 자극적이고 짧은 콘텐츠를 좋아한다는 생각이 있었다. 숏폼 열풍이 이렇게 내 수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구나 한편으로 마음이 씁쓸해졌다. 많은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우리는 무언가를 긴 호흡으로 읽고 보는 연습을 반드시 해야 할 것 같다.
미디어 리터러시. 이젠 당연하게도 문해력은 글에만 존재하는 용어가 아닌 시대가 왔다. 우리 학생들이 미디어를 끊을 수 없다면, 대신 똑똑하게 쓸 수 있는 청소년이 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