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하늘 빨간지구 - 기후변화와 인류세, 지구시스템에 관한 통합적 논의
조천호 지음 / 동아시아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후변화는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이야기해줍니다. 기후변화는 식량과 물, 에너지, 환경, 보건 등 사회 기반 체계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파란하늘 빨간지구』 p11


대기과학자이며,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이었던 저자는, 국립기상과학원에서 30년 간 일하면 축적한 기후의 변화에 대해 지구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최근 '인류세'라는 용어가 유행처럼 여기저기서 많이 사용되는 걸 들었으나 용어의 뜻에 대해 정확하게 몰랐는데, 이 책을 통해서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지구에 미치는 인간의 영향력이 자연의 거대한 힘과 겨룰 정도가 되는 인류세에 들어섰습니다. 인류세에서 물질적 진보는 세상을 더 문명화된 곳으로 만드는 데 기여했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기후변화에 시달리는 지구에서는 무질서와 불확실성으로 과거에서 미래를 이어주던 끈이 닳아 없어져가고 있습니다. 이제 과거는 미래의 안내자가 되어주지 못합니다.

『파란하늘 빨간지구』 p11



그리고 좀 더 정확하게 개념을 이해하고자 네이버 지식백과를 이용했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인류세Anthropocene란, 크뤼천이 2000년에 처음 제안한 용어로서, 새로운 지질시대 개념이다. 인류의 자연환경 파괴로 인해 지구의 환경체계는 급격하게 변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지구환경과 맞서 싸우게 된 시대를 뜻한다. 시대 순으로는 신생대 제4기의 홍적세와 지질시대 최후의 시대이자 현세인 충적세에 이은 것이다. 인류세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인류에 의한 자연환경 파괴를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지구환경은 급격하게 변화하였고, 인류세는 환경훼손의 대가를 치러야만 하는 현재 인류 이후의 시대를 가리킨다. 인류로 인해 빚어진 시대로, 인류라는 말이 붙은 것이다.


충적세는 홀로세Holocence라고도 불리는데, 1만 2000년 전에 빙하기를 뒤로하고 맞이한 현재의 따뜻한 간빙기다. 홀로세는 인류가 자연과 조화로운 '완전한 시대'라는 뜻으로, 인류는 홀로세를 맞이하여 한곳에 정착을 해 농사를 짓고 다음 해를 기약할 수 있게 되었다. 인류가 7만 년 전 아직 빙하기였을 때, 아프리카를 벗어나 새로운 삶을 찾아나선 이후, 아시아와 호주, 시베리아, 미 대륙까지 전 대륙에 퍼져나간 이후 처음으로 맞게 된 기후 안정기였다. 지금 한국이 지구에서 가장 뚜렷한 사계절이 나타나는 위도지만, 사실 이 정도의 기후 안정성을 가진 것이 지구의 원래 모습은 아니었던 것이다. 지구는 빙하기와 간빙기를 반복하고 있고, 인류는 간빙기에 문명을 꽃 피우고 삶을 영위하기 시작했고, 무엇보다 미래를 기약할 수 있게 되었다. 지구의 모습, 세계지도가 오늘 날 우리가 보는 것과 같은 모습을 띠게 된 것은 약 7000년 전부터다. 그 전에는 해수면이 지금과 같이 높지 않아, 1만 5천 년 전에는 아시아와 북미 대륙이 붙어 있어 인류가 걸어서 아시아에서 북미 대륙으로 걸어서 이주하기도 했다. 이것만 보더라도 현재의 대륙과 해수는 1만 5천 년 전과 굉장히 다른 모습이고 점차 변화했다는 것인데, 그럼 성경의 구약에 나오는 인물들이 경험하고 인식하던 세계와 현재의 우리가 경험하고 인식하는 세계가 매우 달랐을 가능성이 높다. 같은 지구에 살았으면서도 전혀 다른 지구를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한 가지 놀란 점이 소빙하기가 14세기에 시작되어 19세기 중반까지 이어졌다는 점이다. 현재 21세기이고, 약 200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소빙하기였다니! 소빙하기에 유럽도, 아시아도 어려움을 많이 겪었는데, 우리 나라는 고려 말로, 많은 이들이 가뭄과 기근, 전염병으로 고통을 겪었다고 한다. 이 고통의 시기에 이성계가 조선왕조를 열어, 새로운 시대가 열게 되었다. 자연이 주는 고통으로 다른 나라들도 새로운 왕조가 시작되는 등 여러 역사적 변화를 경험했다.

유럽은 소빙하기에 기근에 시달리던 농민들이 농촌을 떠나 도시로 유입되었고, 전염병이 여러 도시로 퍼지게 되었다. 이 때의 전염병이 '흑사병'이었다. 흑사병으로 인해 유럽 인구는 1/3, 파리와 런던에서는 절반 가량 줄어들기도 했다. 그리고 시작된 희생양 찾기는 마녀 재판, 마녀 사냥으로 이어졌고, 마녀로 오인 받은 여성들 뿐 아니라, 유대인들도 악마로 몰려 죽임을 당했다. 소수민족인 유대인과 사회적 지위가 낮은 하류층 여성들을 그런 식으로 낙인과 혐오를 앞세워 죽인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역사적으로 척박한 기후에서 인간이 선택한 삶의 방식과 자신의 안녕을 위해 손쉽게 지구 환경을 파괴하여 미래에 어떤 변화를 겪을지 예상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점, 인류가 지구에 있었던 일들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 그리고 지구-인간의 관계를 꿰뚫는 인상 깊었던 구절.


우리가 지금 일으키는 지구 위기와 기후변화 속에서도 생물권은 새로운 판을 벌일 것이다. 지구는 스스로 자신을 돌본다. 자연은 우리 없이 살아남을 수 있지만, 우리는 자연 없이 살아남을 수 없다.

『파란하늘 빨간지구』 p57


인간이 배출한 온실가스와 방사능 폐기물로 인해 현재의 지구는 위협 당했고, 이런 양적인 변화는 다시 돌아갈 수 없는 질적인 변화로 이어질 것이고, 지구는 더 이상 인간에게 호의적이지 않을 수 있다. 지구는 인간이 필요했던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인간에게 지구의 환경이 필요했을 뿐. 그리고 그 대가는 미래의 인류가 겪는 문제다. (현재 우리가 과거의 사람들이 해놓은 환경 오염으로 고생하는 것처럼 말이다.) 결국 인류세는 인간으로 인해 지구의 변화를 경험한 시대로, 인류가 인류의 운명을 구할 수 없는 걸 의미한다. 이 책에서 언급한 사례들을 읽어보면 SF에서 나오던 것처럼 한 명의 뛰어난 인간은 물론, (적어도 아직까지는) 거대한 과학 시스템으로도 인간을 구원할 수는 없다는 것을 아이러니하게도 과학적 예측을 통해 알 수 있다. 이 책을 읽고 무엇보다 확실해지는 건, 인간의 한계, 미미함을 인정하는 것, 현재의 삶을 적절하게 포기할 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다.

인류세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 궁금하다면, 이 책을 꼭 읽어보시라!


지구가 기후변화의 위험에 직면해 있지만, 그 원인은 사뭇 간단하다. 이상화탄소를 과다 복용해서 건강을 잃은 탓이다. 지구공학은 여기에 약을 처방하는 셈이다. 가장 단순하고도 안전한 해법은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건강한 몸에는 그 어떤 약도 필요 없다. 지구공학을 만병통치약으로 찾을 게 아니라, 지구를 건강하게 회복시키면 된다.

『파란하늘 빨간지구』 p236

기후변화는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이야기해줍니다. 기후변화는 식량과 물, 에너지, 환경, 보건 등 사회 기반 체계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 P11

지구에 미치는 인간의 영향력이 자연의 거대한 힘과 겨룰 정도가 되는 인류세에 들어섰습니다. 인류세에서 물질적 진보는 세상을 더 문명화된 곳으로 만드는 데 기여했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기후변화에 시달리는 지구에서는 무질서와 불확실성으로 과거에서 미래를 이어주던 끈이 닳아 없어져가고 있습니다. 이제 과거는 미래의 안내자가 되어주지 못합니다. - P11

우리가 지금 일으키는 지구 위기와 기후변화 속에서도 생물권은 새로운 판을 벌일 것이다. 지구는 스스로 자신을 돌본다. 자연은 우리 없이 살아남을 수 있지만, 우리는 자연 없이 살아남을 수 없다. - P57

지구가 기후변화의 위험에 직면해 있지만, 그 원인은 사뭇 간단하다. 이상화탄소를 과다 복용해서 건강을 잃은 탓이다. 지구공학은 여기에 약을 처방하는 셈이다. 가장 단순하고도 안전한 해법은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건강한 몸에는 그 어떤 약도 필요 없다. 지구공학을 만병통치약으로 찾을 게 아니라, 지구를 건강하게 회복시키면 된다. - P2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